"DH Workshop 20201008 이한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발표 자료 (PDF Download))
(발표 자료 (PDF Download))
59번째 줄: 59번째 줄:
  
 
<br/>
 
<br/>
ftp://student@digerati.aks.ac.kr/
+
 
 
[[분류:DH Workshop 20201008]]
 
[[분류:DH Workshop 20201008]]

2020년 10월 8일 (목) 10:03 판

DH Workshop

=왕실 여성 문화 전시의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 - 후 브랜드의 2019년 궁 전시를 중심으로=

이한나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연구 개요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브랜드가 대중과 소통하고,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는 데에 기여해온 오프라인 전시를 바탕으로 어떤 컨셉 하에 문화유산 정보를 활용해 이를 주제에 수렴하는 전시로 맥락화 했는지를 살펴보고, 반대로 이렇게 맥락화된 전시물들이 디지털 큐레이션 작업을 통해 오프라인 전시에서 드러나지 않았거나, 전시의 맥락에 맞게 취사선택된 정보 외에 연관 지식들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오프라인 전시의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비대면 환경에서도 유효하고 지속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디지털 전시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제 Ⅱ장에서는 먼저 그 대상이 되는 후 브랜드의 전시에 대해 살펴본다. 어떤 대주제 하에 전시 컨셉이 잡혔는지, 시기와 장소에 맞게 해당 주제를 어떤 요소를 가지고 구성했는지와 함께 구체적으로 전시된 물품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오프라인 전시의 특징과 한계점에 대해 짚어본다. 제 Ⅲ장에서는 Ⅱ장에 언급된 전시로 구현된 문화 콘텐츠가 어떤 지식 콘텐츠를 기반으로 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지털 큐레이션 작업을 수행해볼 것이다. 온톨로지 설계도를 통해 대상자원을 클래스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클래스에 속하는 개체들이 공통의 속성을 갖도록 하고, 그 개체들이 다른 개체들과 맺는 관계를 명시적으로 기술할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디지털 큐레이션의 결과물은 이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콘텐츠를 재구성하고, 맥락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전시와 관련한 노드에 해당하는 지식 자원은 논문 및 단행본과 함께 웹사이트에 공개된 백과사전류 등을 참조할 것이다. 이어서 설계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오프라인 전시를 보완, 확장하는 가능성을 살펴본다.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오프라인 전시는 관람자가 실물을 대면하기 때문에 작품이 가지는 규모감과 색채, 디테일, 아우라를 여실히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생생한 체험이 된다. 특히 왕실 여성 문화 전시와 같이 ‘궁’이라는 장소적 맥락과 ‘왕실 여성 문화’라는 내용적 맥락이 잘 맞아떨어지는 이와 같은 전시는 오프라인에서 개최되기 때문에 그 의미와 효과가 극대화되기도 한다. 반면 해당 장소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물리적인 이유로 현장에 가지 못하는 경우 전시를 관람 할 수 없다. 또한 궁이라는 장소적 특성으로 전시를 기대하지 않고 오는 경우도 있고, 전 연령, 다양한 국적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곳이기 때문에, 관람자의 관심사, 흥미도, 이해도 등은 매우 다르다. 따라서 기획자가 의도한 동선대로 관람을 한다고 하더라도 기획 의도나 배경, 보다 깊이 있는 지식을 전달하기는 어렵다. 또한 기간이 정해져 있어 전시 일정이 종료되면 철거된다. 몇 개월에 걸친 기획·제작기간에 비해 실제로 관람객과 만나는 시간은 8~9일 정도뿐이다. 따라서 전시가 끝나면 전시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어떤 콘텐츠가 새로 소개 되었는지 알고 싶은 비관람객에게 전시 컨텐츠 전체를 다시 소개할 수가 없다. 특히 관람객의 경우 관람 전, 중, 후의 기간에 따라 얻고자 하는 지식의 종류가 다를 수 있는데, 이 모든 지식 탐구 욕구를 현장에서 채워주기는 어렵다. 또한 최근 COVID-19와 같은 이슈로 실내외에서 대면 행사를 할 수 없게 되면 오프라인 전시는 진행될 수 없다. 일반인 대상의 양질 콘텐츠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큐레이션을 고려할 수 있다. 오프라인 전시 콘텐츠를 온라인에 맞게 큐레이션된 정보를 제공한다면, 최근 비대면으로 문화콘텐츠를 향유하게 된 현실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전시의 컨셉과 브랜드 이미지에 따라 취사선택되었거나 변주된 부분들은 디지털 상에서 각각의 데이터가 서로 연결 되도록 설계한다면 깊이 있는 교육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뿐더러, 오프라인에서 보다 중요하게 설명되지 못한 부분을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통해 분량에 구애받지 않고 지식들을 연결해 설명 할 수도 있다. 철저한 고증과 상상력을 더한 연출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 콘텐츠를 만들어내야 하는 이와 같은 전시라면 그 효과는 보다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논문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Ⅱ. 왕실 여성 문화 오프라인 전시 내용 및 특징 
1. 주제 및 내용
(1) 왕과 왕후, 비밀의 연향을 열다, 왕후의 美의 비밀
(2) 왕후, 비밀의 공간-대조전의 문을 열다  
2. 특징 및 한계점

Ⅲ. 왕실 여성 문화 전시의 디지털 큐레이션 
1. 오프라인 전시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 구현 전략 
2. 온톨로지 설계
(1) 클래스 및 속성 설계
(2) 관계성 설계
3.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시각화
4.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서비스 시나리오

Ⅳ. 결론


발표 자료 (PDF Download)


Pdf-icon.png 왕실 여성 문화 전시의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

  • Pdf-icon.png

[2020/%ED%95%99%EC%9C%84%EB%85%BC%EB%AC%B8%EC%A4%91%EA%B0%84%EB%B0%9C%ED%91%9C/%EC%9D%B4%ED%95%9C%EB%82%98_%EC%84%9D%EC%82%AC%EB%85%BC%EB%AC%B8%20%EC%A4%91%EA%B0%84%EB%B0%9C%ED%91%9C%EC%9E%90%EB%A3%8C.pdf

이한나_석사논문 중간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