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Workshop 20201008 김선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발표 자료 (PDF Download))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발표 자료 (PDF Download)== | ==발표 자료 (PDF Download)== | ||
+ | <br/> | ||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2020-10-08DHWorkshop예시.pdf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2020중간발표 김선미_ppt.pdf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교류를 위한 문헌-인물 데이터 모델 설계.ppt]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2020 중간발표 김선미_본문.pdf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교류를 위한 문헌-인물 데이터 모델 설계.hwp] | ||
+ | |||
+ | <br/> | ||
+ | ※ 인문정보학 FTP 서버의 '''/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 폴더에 pdf 파일(ppt 파일을 pdf 파일로 export)을 저장하고, 위와 같이 호출하면 됩니다. | ||
+ | <br/> | ||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2020년 10월 8일 (목) 08:36 판
목차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교류를 위한 문헌 인물 데이터모델 설계 -여성 대상 전기문학을 중심으로-
김선미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석사과정)
연구 개요
연구 목적
조선시대 지식인 계층은 문자생활을 통해 끊임없이 교류하고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비단 편지를 주고받는 직접적 교류행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으며 시회를 통한 정서적 교감, 간역 등을 통한 학맥 확장 등의 행위도 포함하는 포괄적 교류행위였다. 『한국문집총간』편목색인에서 제공하는 전기류 문헌은 쌍방적 교류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대상이 되는 인물과 인물에 대해 서술하는 저작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교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내용적 측면으로는 상대방에 대해 평론, 의논(議論)하는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여러 연구활동에서 인물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연구할 때 없어서는 안될 사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과 인물을 잇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인물 관계를 밝혀서 데이터 사이에 어떠한 연관 관계가 있었는가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보다 많은 종류의 문헌-인물관계를 파악하는 연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내용
『한국문집총간』에서 제공하는 전기문학 데이터와 이에 상응하는 인물 데이터는 양이 지나치게 방대하므로 한 사람의 힘으로 데이터를 수집, 보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을 여성인물에 관한 전기문학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여성 대상 전기문학은 당시 혼맥을 통한 가문과 가문의 결합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조선 전~후기에 걸쳐 여성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모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전기문학이 갖고 있는 갈래별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신분제가 붕괴되어 한문으로 된 글을 향유하는 계층이 늘어났지만 전기문학에 대해서는 여전히 종류와 형식에 따른 신분의 차이가 존재했으므로 기존에 행해져 온 연구를 통해 이를 정리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수집한 데이터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연구와 어떤 점이 부합되고 어떤 점은 부합되지 않는가를 파악하였다. 이미 기존에 선행된 연구를 기준으로 본 연구는 인물과 문헌, 인물과 인물 사이의 관계 유형을 발견하는데 주목하고 의미 있는 요소로 재정립하는 온톨로지 모델을 설계하였다. 먼저 인물과 문헌 정보 요소를 기술하는 각각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래스를 설계하였다. 관계 데이터 설계 부분에서는 크게 문헌-인물-문집 사이를 연결하는 저술관계, 인물과 인물의 혈연과 교유에 더해 특정인에 대한 청탁을 포함하는 인물관계 두 가지로 나누었다. 동시에 타 데이터와의 맵핑을 통한 데이터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이 연구를 통해 구축한 문헌-인물 데이터는 전기류 자료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성격의 한문 텍스트를 연구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현재 구축한 데이터만으로 원문 자료에 담긴 맥락을 온전하게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앞으로 여러 연구자들과 협업을 통해 차츰 개선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연구 논문 목차
I. 서론 1. 연구목적 및 배경 2. 연구 방법 II. 전기문학의 특징 1. 전기문학의 종류와 형식 2. 전기문학 속의 인물관계 3. 여성 대상 전기문학의 특징 III. 문헌인물관계 온톨로지 설계 1. 유관 선행모델 분석 (1) 중국역대인물전기자료 데이터베이스(China Biographical Database(CBDB) (2) 한국사 LOD (3)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Encyclopedic Archives Project) 2. 온톨로지 설계 (1) 클래스 및 데이터 속성 (2) 관계 속성 1) 저술관계 설계 2) 인물관계 설계 IV. 문헌-인물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1.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축 (1) 데이터 수집 및 처리 (2) 시맨틱 제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2. 문헌-인물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활용 예시 (1) 이섭 처 안동 김씨 대상 전기문학과 노론 대신들의 관계망 (2) 은진 송씨 가문 여성 전기문학과 가문 위선 사업 (3) 『정일당유고』에 드러난 윤광연의 인물 관계 V. 결론
발표 자료 (PDF Download)
김선미_ppt.pdf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교류를 위한 문헌-인물 데이터 모델 설계.ppt
중간발표 김선미_본문.pdf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교류를 위한 문헌-인물 데이터 모델 설계.hwp
※ 인문정보학 FTP 서버의 /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 폴더에 pdf 파일(ppt 파일을 pdf 파일로 export)을 저장하고, 위와 같이 호출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