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Workshop 20201008 전준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발표 자료 (PDF Download)) |
(→발표 자료 (PDF Download))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전준영_발표자료_발표문.pdf 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명의경험록(名醫經驗錄)』을 중심으로-]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전준영_발표자료_발표문.pdf 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명의경험록(名醫經驗錄)』을 중심으로-] | ||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 |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전준영_발표자료_피피티.pdf]]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전준영_발표자료_피피티.pdf 전준영_발표자료_PPT] |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2020년 10월 8일 (목) 03:48 판
목차
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명의경험록』을 중심으로-
전준영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석사과정)
연구 개요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의안(醫案)이라는 임상 사례를 담은 한의학 자료를 통해 기존에 제공하고 있는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의 폭을 확장시키고 질병과 처방 그리고 치료효과로 연결되는 새로운 형태의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당 아카이브는 비단 의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한의학 지식에 적용 가능한 모델이며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해 이용자들에게 가시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현대의약품들은 대부분 그 구성성분과 효능을 쉽게 알 수 있다. 아스피린(aspirin)이나 타이레놀(Tylenol)과 같은 단일제제에서부터 다양한 성분이 조합된 복합제제까지 이러한 경향은 모두 비슷하다. 이는 대부분의 약품들이 특정 질병을 대상으로 만들어졌으며 연구를 통해 복용 후 인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 밝혀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한의학에서는 처방되는 한약은 현대의약품과는 성격이 다르다. 한약은 대부분 복합제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성분을 알기 쉽지 않다. 대표적인 예로 우리가 쉽게 복용하는 쌍화탕(雙和湯)을 들 수 있다. 쌍화탕은 기본적으로 백작약(白芍藥), 숙지황(熟地黃), 황기(黃耆), 당귀(當歸), 천궁(川芎), 계피(桂皮), 감초(甘草), 생강(生薑), 대조(大棗)로 이루어져있고 흔히 감기와 피로회복을 위해 처방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쌍화탕이 위의 약재로 구성된다는 것과 약재의 어떠한 성분이 인체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지 못한다. 성분분석표를 참고하거나 웹 검색을 통해 구성약재를 확인하여도 추가적으로 각 약재의 성분과 치료효과를 찾아야한다.
기존의 한의학 연구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확인하는 연구나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과 같은 의서에 수록된 처방을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한의학 지식을 표준화, 규격화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한국한의학연구원이나 특허청, 경희대학교 산하 한의약융합정보센터 등은 각자의 형태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한의학에서는 변증론치(辨證論治)를 기반으로 환자를 치료한다. 사람은 저마다 다르므로 같은 원인으로 병이 생겨도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체질, 성격, 성별, 사회적 지위 등 한 사람의 속성을 파악해 질병을 치료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증론치에 대한 정보는 의안에 잘 나타나는데 의안이 임상 사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는 시스템들은 대부분 의서와 약리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만 변증론치에 의거한 변용된 치료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역대 의가들은 임상 사례를 담고 있는 의안을 매우 의안을 강조해왔다. 특히 운철초(惲鐵樵)는 의안에 대해서 “의서의 진실한 가치는 방약에 대한 의론에 있지 않으니, 의론은 빈말이 많지만 약효는 사실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의안을 선별하여 새기는 것이 간절하다”라고 언급해 의서 보다 의안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또한 현대 한의학계가 근거중심의학을 지향하는 만큼 임상 데이터의 축적과 활용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의안자료를 활용해 본고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의 모델은 연구자 및 임상의에게 질병의 진단과 치료, 전변예후, 유행병력(流行病歷) 및 의학사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특히 방제, 약물의 응용범위, 응용방향, 가감변화, 배오 제량범위, 제형(劑型) 등의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한의학 지식아카이브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제공함에 따라 치료효과와 처방 그리고 질병으로 연결되는 종합적인 정보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논문 목차
Ⅰ. 연구개요 1. 배경 및 목적 2. 대상 및 방법 Ⅱ. 『명의경험록』의 내용 및 특징 Ⅲ. 『명의경험록』 모델에 의한 온톨로지 설계 1. 클래스 및 개체 속성 설계 2. 관계성 설계 Ⅳ. 현행 아카이브 검토 및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Ⅴ. 결론
발표 자료 (PDF Download)
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명의경험록(名醫經驗錄)』을 중심으로-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창졸산(倉卒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