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Workshop 20201008 이수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발표 자료 (PDF Download))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연구 목적=== | ===연구 목적=== | ||
− | + | 본 연구는 1929년 경복궁에서 개최된 조선박람회의 재현을 위해 관련 기록물을 분 석하고 종합하여 디지털아카이브로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박람회의 실체에 다가서는 출발점은 박람회 참여주체들이 남긴 기록물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조선박람회는 그 혼재적인 경향만큼이나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을 포괄한다. 그러나 조선박람회 관련 기록물은 이용자 입장에서 1) 관련 기록물들이 각각 개별 기관의 소장 원칙에 따라 구축되어 있어 이를 통합해서 살펴보기 어렵고, 때문에 2) 조선박람회라는 역사적 사실을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다. 오늘날 과거의 역사적 사건인 조선박람회 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박람회의 본질적인 성격인 ‘전시(展示)’라는 시각적 특성 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상자원의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제안한다. 디지털아 카이브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자원을 웹이라는 공간 위에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이점 을 갖는다. 기존의 개별 연구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록물들을 담고 있는 아카이브와의 연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김현이 제시한 메타아카이브9)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 |
− | . | ||
===연구 내용=== | ===연구 내용=== | ||
+ | 조선박람회 개최 당시 생산된 기록물의 유형 및 분포 현황을 파악한 뒤, 각 개별 기관에서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콘텐츠의 현황을 조사한다.Ⅱ장에서는 조선박람회라는 조선박람회 기록물 분석 및 조사와 함께 디지털콘텐츠의 구축 현황파악을 통해 대상세계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며 데이터 수집 및 정리 과정에 대해 다룬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인 조선박람회 데이터베이스 편찬에 관한 전략으로서, Ⅱ장에서 밝혀진 사실 관계들을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온톨로지 설계 과정을 다룬다. 온톨로지 설계를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시스템(GIS), 위키 콘텐츠 등을 통해 시각화하여 및 웹에서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소개한다.Ⅳ장에서는 구현된 서비스의 결과물을 제시하고 아카이브 구축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 아카이브 활용방안과 연구의 향후 주요 과제를 제시한다. | ||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 ||
+ | 1929년 박람회의 내용을 가시적으로 구현하여 역사적 사건에 대한 교육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된 조선박람회 기록물을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활용도를 높이고 서비스 구현 결과물을 웹에서 공유함으로써 지식의 확장 가능성 모색할 수 있다. | ||
+ | ==연구 논문 목차== | ||
+ | <pre> | ||
+ | Ⅰ. 서론 | ||
+ | Ⅰ-1. 연구 배경 및 목적 | ||
+ | Ⅰ-2. 연구방법 | ||
+ | Ⅱ. 대상자원 탐색 및 현황 | ||
+ | Ⅱ-1. 기록물 | ||
+ | Ⅱ-2. 디지털콘텐츠 | ||
+ | Ⅱ-3. 인문학적 연구 검토 | ||
− | + | Ⅲ. 조선박람회의 아카이브 구현 전략 | |
− | + | Ⅲ-1. 온톨로지 설계 | |
− | + | Ⅲ-2. 데이터베이스 구축 | |
+ | Ⅲ-3. 서비스 시나리오 | ||
+ | Ⅳ. 아카이브의 활용방안 | ||
+ | Ⅵ. 결론(맺음말) | ||
+ | 참고문헌 | ||
</pre> | </pre> | ||
==발표 자료 (PDF Download)== | ==발표 자료 (PDF Download)== | ||
− | [http://digerati.aks.ac.kr/2020/학위논문중간발표/ |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이수민_중간발표_발표문_1008.pdf]]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이수민_중간발표_발표문_1008.pdf 1929년 조선박람회 재현을 위한 메타아카이브 구축] | ||
+ | *[[파일:Pdf-icon.png|60px|link=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이수민_발표자료_피피티2.pdf]]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학위논문중간발표/이수민_발표자료_피피티2.pdf 이수민_발표자료_피피티] | ||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2020년 10월 8일 (목) 07:42 기준 최신판
목차
1929년 조선박람회의 재현을 위한 메타아카이브 구축
이수민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석사과정)
연구 개요
연구 목적
본 연구는 1929년 경복궁에서 개최된 조선박람회의 재현을 위해 관련 기록물을 분 석하고 종합하여 디지털아카이브로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박람회의 실체에 다가서는 출발점은 박람회 참여주체들이 남긴 기록물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조선박람회는 그 혼재적인 경향만큼이나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을 포괄한다. 그러나 조선박람회 관련 기록물은 이용자 입장에서 1) 관련 기록물들이 각각 개별 기관의 소장 원칙에 따라 구축되어 있어 이를 통합해서 살펴보기 어렵고, 때문에 2) 조선박람회라는 역사적 사실을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다. 오늘날 과거의 역사적 사건인 조선박람회 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박람회의 본질적인 성격인 ‘전시(展示)’라는 시각적 특성 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상자원의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제안한다. 디지털아 카이브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자원을 웹이라는 공간 위에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이점 을 갖는다. 기존의 개별 연구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록물들을 담고 있는 아카이브와의 연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김현이 제시한 메타아카이브9)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조선박람회 개최 당시 생산된 기록물의 유형 및 분포 현황을 파악한 뒤, 각 개별 기관에서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콘텐츠의 현황을 조사한다.Ⅱ장에서는 조선박람회라는 조선박람회 기록물 분석 및 조사와 함께 디지털콘텐츠의 구축 현황파악을 통해 대상세계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며 데이터 수집 및 정리 과정에 대해 다룬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인 조선박람회 데이터베이스 편찬에 관한 전략으로서, Ⅱ장에서 밝혀진 사실 관계들을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온톨로지 설계 과정을 다룬다. 온톨로지 설계를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시스템(GIS), 위키 콘텐츠 등을 통해 시각화하여 및 웹에서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소개한다.Ⅳ장에서는 구현된 서비스의 결과물을 제시하고 아카이브 구축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 아카이브 활용방안과 연구의 향후 주요 과제를 제시한다.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1929년 박람회의 내용을 가시적으로 구현하여 역사적 사건에 대한 교육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된 조선박람회 기록물을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활용도를 높이고 서비스 구현 결과물을 웹에서 공유함으로써 지식의 확장 가능성 모색할 수 있다.
연구 논문 목차
Ⅰ. 서론 Ⅰ-1. 연구 배경 및 목적 Ⅰ-2. 연구방법 Ⅱ. 대상자원 탐색 및 현황 Ⅱ-1. 기록물 Ⅱ-2. 디지털콘텐츠 Ⅱ-3. 인문학적 연구 검토 Ⅲ. 조선박람회의 아카이브 구현 전략 Ⅲ-1. 온톨로지 설계 Ⅲ-2. 데이터베이스 구축 Ⅲ-3. 서비스 시나리오 Ⅳ. 아카이브의 활용방안 Ⅵ. 결론(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