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 Project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__TOC__ | |
− | * | + | =='''2022: [http://dh.aks.ac.kr/~gwangju/wiki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
− | * | + | * 광주광역시에 산재한 문화예술자료와 근현대문화유적(1940년 이후, 역사의 격변기를 살아온 광주 시민들의 생활과 문화의 흔적을 담고 있는 문화재와 미래유산)을 발굴 및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아카이브''' |
− | * | + | * 정보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나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맨틱(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 |
+ | * 글과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2D, 3D 어셋을 제공하고, 이를 자유롭게 활용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을 촉진하는 '''디지털 어셋 공유 플랫폼''' | ||
+ | * 가치와 의미를 지닌 데이터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유발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하여, 주체적으로 지식 체계를 설계하는 미래세대(디지털 원어민)와 소통 가능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 ||
− | |||
− | |||
− | |||
− | |||
− | |||
+ | =='''2020-2022: [http://dh.aks.ac.kr/hanyang2/wiki/ 한양도성 타임머신 빅데이터 편찬연구]'''== | ||
− | + | 문화재청 한양도성 타임머신 사업<ref>‘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재청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수행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이다. “한양도성 600년 문화유산을 3D 데이터로 만들고, 그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이동통신사·포털·게임사 등이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ref>대상 고건축물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역사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 정보를 광범위하게 조사·추출하여 데이터화 하고, 데이터 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 자료의 내용을 분석·응용·확장할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 |
− | + |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2020-2021: [http://dh.aks.ac.kr/~mokpo/wiki/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 | |
− | + | ||
− | + |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전을 위해 근대건축자산에 대한 학술조사 및 실측조사를 통해 보존의 토대를 마련하고, 정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일원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 |
− | + | ||
− | + |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물리적 형상 및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식 정보 데이터와 이곳에서 살아 왔던 주민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스토리텔링 자원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고 최첨단의 3D 가상현실 기술환경에서 서비스함으로써 목포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범국민적인 이해, 국제적인 홍보, 교육·문화적 활용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
− | + | ||
− | + | ||
− | + | =='''2020-2021: [http://dh.aks.ac.kr/~tutor/wiki/index.php/광화문_현판 동양고전 AI 의미 기반 정보화 및 활용 방안 연구 - 古宮 懸板의 典故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 | |
− | + | ||
− | +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운궁 등 조선시대의 왕궁에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그것의 懸板에 담긴 지식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古宮을 관람하는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漢文과 東洋古典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합니다. | |
− | + | ||
− | + | ||
− | + | =='''2020-2021: [http://dh.aks.ac.kr/~metaArchive/wiki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 구축 연구]'''== | |
− | + | ||
− | + | 4차산업혁명 시대, 비대면 사회의 공공박물관 전시 서비스 혁신을 위해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들이 협력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수행하는 연구로서,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와 교육적 활용 전략 제시를 목표로 합니다. | |
− | + | ||
− | + | *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큐레이션 모델 설계 | |
− | + |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소장 유물 및 관련 지식의 메타아카이브 구현 시범 콘텐츠 개발 | |
− | + |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의 교육적 활용 전략 연구 | |
− | + | ||
− | + | ||
− | + | =='''2020-2021: [http://dh.aks.ac.kr/~aksphoto/wiki 한국문화재 사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연구]'''== | |
− | + | ||
− | + | 역사학자 장득진 선생이 촬영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증한 “한국문화재 사진” 자료(사진 파일 개수: 약 24만 개, 데이터량: 1.66 TB, 이하 “한국문화재 사진”이라 함)의 내용을 검토하여 체계적인 구조의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함으로써 한국문화 교육·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콘텐츠와의 연계 서비스가 이루질 수 있게 합니다. | |
− | + | ||
− | + | ||
− | + | =='''2015-2021: [http://dh.aks.ac.kr/~heritage/wiki 공공번역 프로젝트 -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 편찬 연구]'''== | |
− | + | ||
− | + |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하여 그 내용이 체계적인 데이터로 기술되게 하고, 그 데이터가 올바른 외국어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을 편찬합니다. | |
− | + | ||
− | + | * 단순히 국문 해설문의 문장을 그대로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독자가 한국의 문화유산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
− | + | * 각 문화유산의 기본 정보와 관련 지식, 그리고 해당 문화유산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전문 용어 등의 표현에 일관성을 유지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해설문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년 9월 13일 (수) 13:27 기준 최신판
목차
2022: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광역시에 산재한 문화예술자료와 근현대문화유적(1940년 이후, 역사의 격변기를 살아온 광주 시민들의 생활과 문화의 흔적을 담고 있는 문화재와 미래유산)을 발굴 및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아카이브
- 정보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나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맨틱(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
- 글과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2D, 3D 어셋을 제공하고, 이를 자유롭게 활용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을 촉진하는 디지털 어셋 공유 플랫폼
- 가치와 의미를 지닌 데이터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유발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하여, 주체적으로 지식 체계를 설계하는 미래세대(디지털 원어민)와 소통 가능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2020-2022: 한양도성 타임머신 빅데이터 편찬연구
문화재청 한양도성 타임머신 사업[1]대상 고건축물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역사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 정보를 광범위하게 조사·추출하여 데이터화 하고, 데이터 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 자료의 내용을 분석·응용·확장할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 ↑ ‘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재청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수행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이다. “한양도성 600년 문화유산을 3D 데이터로 만들고, 그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이동통신사·포털·게임사 등이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20-2021: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전을 위해 근대건축자산에 대한 학술조사 및 실측조사를 통해 보존의 토대를 마련하고, 정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일원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목포시 근대문화유산의 물리적 형상 및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식 정보 데이터와 이곳에서 살아 왔던 주민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스토리텔링 자원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고 최첨단의 3D 가상현실 기술환경에서 서비스함으로써 목포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범국민적인 이해, 국제적인 홍보, 교육·문화적 활용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2020-2021: 동양고전 AI 의미 기반 정보화 및 활용 방안 연구 - 古宮 懸板의 典故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운궁 등 조선시대의 왕궁에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그것의 懸板에 담긴 지식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古宮을 관람하는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漢文과 東洋古典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합니다.
2020-2021: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 구축 연구
4차산업혁명 시대, 비대면 사회의 공공박물관 전시 서비스 혁신을 위해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들이 협력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수행하는 연구로서,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와 교육적 활용 전략 제시를 목표로 합니다.
- 공공박물관 메타 아카이브 큐레이션 모델 설계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소장 유물 및 관련 지식의 메타아카이브 구현 시범 콘텐츠 개발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의 교육적 활용 전략 연구
2020-2021: 한국문화재 사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연구
역사학자 장득진 선생이 촬영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증한 “한국문화재 사진” 자료(사진 파일 개수: 약 24만 개, 데이터량: 1.66 TB, 이하 “한국문화재 사진”이라 함)의 내용을 검토하여 체계적인 구조의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함으로써 한국문화 교육·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콘텐츠와의 연계 서비스가 이루질 수 있게 합니다.
2015-2021: 공공번역 프로젝트 -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 편찬 연구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하여 그 내용이 체계적인 데이터로 기술되게 하고, 그 데이터가 올바른 외국어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문화유산 영문 해설문을 편찬합니다.
- 단순히 국문 해설문의 문장을 그대로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독자가 한국의 문화유산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각 문화유산의 기본 정보와 관련 지식, 그리고 해당 문화유산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전문 용어 등의 표현에 일관성을 유지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해설문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