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곡령(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6월 15일 (목) 12:02 기준 최신판


방심곡령(方心曲領)
복식구분 기타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대례복, 제복



정의

복식구성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상황

형태[2]

  • 둥글게 굽어 목에 걸 수 있는 윗부분(曲領)과 모나게 생겨서 가슴 부분에 닿게 하는 아랫부분(方心)으로 된 이중구조.

기타[3]

  • 둥근 모양은 하늘을 상징하고, 모난 모양은 땅을 상징.
  • 조선시대 방심곡령에는 곡령 부분 양 옆에 끈이 하나씩 달리는데, 왼쪽은 녹색이고 오른쪽은 홍색.
  • 곡령의 뒷부분이나 옆의 어깨에 닿는 부분에는 연봉매듭 모양의 단추를 달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함.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황제 방심곡령(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황태자 방심곡령(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방심곡령(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자 방심곡령(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손 방심곡령(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방심곡령(왕실남성)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방심곡령(왕실남성) 면복각 A는 B에서 소장한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1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1~82쪽.
  3.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2~8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