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6월 15일 (목) 12:02 기준 최신판


청석(靑舃)
복식구분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관련복식 대례복



정의

의례용으로 신는 신발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비, 왕세손빈이 착용 하였다.

착용상황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이다.

형태

기본 형태는 남자와 같다. 여자용 역시 남자용과 마찬가지로 신목이 있는 형태에서 점차 신목이 없이 신울만 있는 형태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자용 의 발등에는 장식이 있는데, 장식은 두 종류로 꽃판과 그 위에 놓이는 진주가 있다. 영조 이전까지는 상황에 관계없이 국화동(꽃판)과 진주를 함께 장식하였으나, 영조 시기 정례 편찬 이후 책례, 혼례, 제례, 상례에는 국화동만 장식하고, 존숭진연에는 이전대로 국화동과 진주를 함께 장식 하였다. [2]

조선시대 신분별 석 색상

기타

배색 원칙 신울과 장식인 구(絇), 억(繶), 준(純), 기(綦)의 색상은 오행의 이치를 반영한 색을 사용하는 [[회차|회차(繪次)]의 원칙 적용 하였다. 회차는 그림을 그릴 때 배색하는 원칙으로, 오행의 색을 쓰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對方]에 있는 색을 사용 한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황후 청석 A는 B를 착용한다
황태자비 청석 A는 B를 착용한다
왕비 청석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자비 청석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손빈 청석 A는 B를 착용한다
청석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청석 면복각 A는 B에서 소장한다

참고문헌

  • 석주선, 『화혜리』, 보진재, 1971.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대한제국시대 석(舃)의 고찰 및 한국 석의 형태적 특징의 유래」, 『服飾』 63권 8호,
  •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繪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服飾』 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14, 147쪽.
  •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147쪽.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157쪽.
  3. 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