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액지(太液池)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창덕궁 후원에 조성한 사각형의 못.

개설

태액지(太液池)는 창덕궁 후원 초입에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조형 원리에 따라 조성한 방지원도(方池圓島)의 대표적인 연못이다.

위치 및 용도

창덕궁 후원 초입부에 위치한 주합루(宙合樓) 일원에 위치해 있다. 「동궐도(東闕圖)」에는 배가 묘사되었고,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에는 “연못 안에 채색하고 비단 돛을 단 배가 있어 정조는 꽃을 감상하고 고기를 낚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정조가 태액지에서 배를 타거나 낚시를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변천 및 현황

조성 연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다만 『궁궐지(宮闕志)』에서 숙종이 손수 지은 시 「택수재(澤水齋)」에 ‘앞으로는 네모난 못에 면하여 다가섰고’라는 구절을 통해 숙종대에 택수재와 함께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형태

창덕궁 후원의 대표적인 사각형 연못으로 동서 길이가 34.5m, 남북 길이가 29.4m에 이른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 사상이 반영되어 네모난 연못[方池] 안에 둥근 섬[圓島]이 있는 형태로 한국을 대표하는 정원으로 일컬어진다.

장대석으로 쌓아올리고, 남쪽 모서리에는 잉어 한 마리를 조각하였다. 이것은 ‘잉어가 변해 용이 된다.’는 뜻의 중국 고사인 ‘어변성룡(魚變成龍)’을 함축한 것이다. 장원 급제를 위해 고생하며 공부하는 선비를 잉어로 비유했고, 과거에 급제하여 높은 관직에 오르는 것을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잉어가 물 위로 튀어 오르는 모습으로 조각하였다. 맞은편 주합루로 통하는 문인 어수문(魚水門)을 통과하여 주합루에 오르도록 되었는데, 연못의 잉어가 튀어 올라 어수문(등용문)을 통과해서 용이 되어(장원급제) 주합루에 오른다는 것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정조는 부용정(芙蓉亭)의 작은 누각으로 거둥하여 태액지에 가서 낚싯대를 드리웠다. 신하들도 못가에 빙 둘러서서 낚싯대를 던졌는데, 붉은색 옷을 입은 사람들은 남쪽에서 하고,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들은 동쪽에서 하고, 유생들은 북쪽에서 하였다. 왕이 낚시로 물고기 네 마리를 낚았으며, 신하들과 유생들은 낚은 사람도 있고 낚지 못한 사람도 있었다. 한 마리를 낚아 올릴 때마다 음악을 한 곡씩 연주하였는데, 다 끝나고 나서는 다시 못 속에 놓아주었다. 밤이 되어서야 자리를 파했다(『정조실록』 19년 3월 10일).

헌종대에 쓰인 『궁궐지』에 「밤에 부용정의 소루에 오르다[夜登芙蓉亭小樓]」라는 시의 소서에 국왕이 태액지에서 배를 띄워 신하 19명과 피리를 불며 술을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참고문헌

  • 『궁궐지(宮闕志)』「동궐도(東闕圖)」『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 이광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수류산방, 2007.
  • 최종덕,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눌와, 2006.
  • 한영우,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열화당,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