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산부(楚山府)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평안도 초산부 지역을 관할하던 관청이자 행정구역.

개설

초산부(楚山府)는 조선 경종 때 국경지대의 변경을 강화하기 위해 이산군(理山府)을 이산부로 승격하여 도호부사를 두어 관할하게 하였고, 후에 초산부로 행정구역 이름을 바꾸었다. 1895년(고종 32)에 강계부 초산군이 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말 조선초에 여진족이 모여 살던 고을을 모아 종4품 관아인 이주(理州)를 설립하여 국경 고을을 관할하도록 하였다. 강을 사이로 국경을 맞대고 있는 변경 지역으로 독자적인 수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부로 승격하여 이산부라 하였다가 초산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직 및 역할

초산부는 이주(理州)로 출발할 때 종4품의 지주사(知州事)를 두었고, 조선이 건국한 후 1466년(세조 12)에 관제 개편에 따라 종4품의 군수(郡守)로 바꾸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군수와 훈도(訓導) 각 1인을 두었으나 이후에 훈도를 폐지하였다. 경종 때 이산부로 승격되면서 종3품의 도호부사를 두었고, 영조 말에 고을 이름을 초산부로 바꾸고 종3품의 도호부사를 두어 관할하였다. 도호부는 읍격(邑格)상 군수와 목사의 중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고려시대에는 군사적 성격이 강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일반 행정기구로 변화하여 전국에 설치되었으며 후기로 갈수록 그 수가 증대되었다. 초산부가 변경 지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조선초기에는 강계도우익병마(江界道右翼兵馬)를 겸하였으며, 이후 도호부사는 독진(獨鎭)으로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를 겸임하였다. 조선후기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초산부 소속 관원으로는 좌수 1명, 별감 3명, 좌·우병방군관 2명, 각창 감관 13명, 천총 2명, 파총 3명, 초관 13명, 영장 2명, 교련관 3명, 기고관 4명, 기패관 59명, 성정기패관 82명, 보수별장 3명, 아전 51명, 통인(通引) 23명, 사령 10명, 군뢰(軍牢) 45명, 관노 48명, 관비 21명이 있었다.

변천

초산부는 고려시대에 여진족이 살던 두목리(豆木里)로서 공민왕 때 고려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조선이 건국한 후 1402년(태종 2)에 두목리, 산양회(山羊會), 도을한(都乙漢), 봉획대(烽𤐰臺) 등 각처에 여진인 마을을 합쳐서 1읍을 삼아 이주(理州)라 부르고 종4품의 지주사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에 종2품의 관리가 파견되는 고을 이외의 지명에 주(州) 자를 가진 고을을 대상으로 지방행정구역을 개정할 때 군현 이름 가운데 주 자가 있는 지명은 산(山) 자나 천(川) 자로 바꾸도록 하였다(『태종실록』 13년 10월 15일). 이에 고을 이름을 이주에서 이산으로 바꾸었고, 1435년(세종 17)에 강계부에 소속시켰다. 1466년에 관제 개편을 하면서 지군사를 군수로 바꾸었다. 1724년(경종 4)에 부로 승격하여 이산부가 되었고 도호부사를 두었다. 『경국대전』에는 종4품 관아인 이산군으로 기록되었고, 『대전회통』에는 초산부로 기록하고 과거 이산이었다고 명기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영조 때까지 이산부로 나오고, 정조 때부터는 초산부로 기록되어 있어 1775년(영조 51)에서 1777년(정조 1) 사이에 고을 이름이 바뀐 것으로 확인된다. 1895년에 지방제도를 개편할 때 강계부 초산군이 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차문섭, 『조선시대 군제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73.
  • 이존희, 「조선초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와 계수관」, 『동국사학』15·16 합집,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