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책(木柵)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목책 |
한글표제 | 목책 |
한자표제 | 木柵 |
동의어 | 성(城) |
관련어 | 토성(土城), 석성(石城), 성책(城柵), 변진(邊鎭) |
분야 |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고대~조선 |
집필자 | 김종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목책(木柵)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즉위년 8월 19일 |
나무 말뚝을 박아 만든 울타리.
내용
역사적으로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만든 성(城)을 가리키기도 한다. 급히 방어시설을 만들거나 임시로 성을 만들 경우, 또한 대량의 노동력을 구할 수 없는 변방이나 도서(島嶼) 지방에서 사용하였다. 한국의 성곽은 토성(土城)·석성(石城)이 흔히 알려져 있으나, 목책으로 울타리를 만드는 경우도 많았다. 우리나라에서 목책 관련 유적은 부여 송국리 유적을 비롯한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부터 확인되고 있다. 문헌자료에 따르면 삼한(三韓)의 진한(辰韓)에도 성책(城柵)이 있다고 하였고, 『삼국사기』에도 고구려·백제·신라에서 모두 목책을 사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대 시기에는 목책 관련 사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실은 알기 어렵다.
고려시대 역시 목책에 관한 사료가 그다지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것에 비해, 『조선왕조실록』에는 목책에 관한 많은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언급된 목책을 보면 동해안 2개, 남해안 6개, 서해안 1개, 두만강 연변 21개, 압록강 연변 33개, 내지(內地) 6개로 모두 69개이다. 이 목책들이 만들어진 시기를 보면 15세기가 59개, 16세기 8개, 17세기 2개로 15세기가 전체의 86%를 차지하고, 이 중에서 세종대가 36개로 전체의 52%나 차지한다. 이는 세종대에 4군 6진 설치라는 영토 확장이 강력히 추진되면서 변진(邊鎭)의 설치가 본격화되었는데, 이에 따라 자연히 목책의 설치가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
용례
兵曹議曰 二島之地 膏腴可耕 宜置木柵 以庇農民 上從之 仍命待豐年設木柵(『세종실록』 즉위년 8월 19일)
참고문헌
- 閔德植, 「朝鮮時代의 木柵」, 『忠北史學』11·12합집,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