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함(公緘)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공함 |
한글표제 | 공함 |
한자표제 | 公緘 |
동의어 | 공함(公函), 공찰(公札), 서면신문서(書面訊問書) |
관련어 | 사함(私函), 공함답통(公緘答通), 함사(緘辭) |
분야 | 정치/사법/재판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태조~순종 |
집필자 | 이미선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공함(公緘)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2년 6월 1일 |
사헌부에서 당상관이나 부녀자 등을 심문할 때, 직접 소환하지 않고 죄상에 대해 서면으로 취조하던 일 또는 그 문서.
내용
관청에서 공함(公緘)을 보내어 심문하면 관청에 직접 출두하지 않고 이에 대한 진술을 서면으로 제출하였는데, 이를 함사(緘辭)라 하였다. 지방에 있는 관원을 심문하거나, 사인(私人)으로서 피치 못할 사정으로 출두할 수 없는 경우에 이처럼 서면으로 취조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내외법이 엄격하게 강조되었기 때문에 사대부가 여성의 경우 진술을 위하여 관청에 출두시킬 수 없었으므로, 공함과 함사를 통해 심문을 하였다.
용례
故監察李叔援妻權氏 與叔援兄伯撰爭家舍奴婢 憲府初以公緘劾權氏 以書劾問 謂之公緘 復進訟庭 取辭以啓 上曰 刑憲官招兩班婦女于公廳取辭 婦女亦或自詣訟辨 甚爲未便 且朝官所犯雖小 一二度書問之後 勒令招來取辭 亦未便 自今兩班婦女 自進訟庭者一禁 刑憲官亦勿招進婦女及朝士取辭 但以書覈問可也 其令詳定所議啓(『세종실록』 12년 6월 1일)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