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撥路)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후기에 파발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설치한 노선.

개설

조선시대의 파발제는 변경의 긴급한 군사 정보 등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마련한 군사 통신 제도였다. 그에 따라 지방 행정 중심지나 군사 거점 등의 교통 요지에 발참(撥站)을 설치하고, 발참과 발참을 연결하는 파발로를 형성하였다. 전국의 파발로는 서발(西撥)·북발(北撥)·남발(南撥) 등 3개 노선으로 편성되었다. 서발은 기발(騎撥), 북발과 남발은 보발(步撥)로 조직되었다. 기발은 25리마다 참(站)을 두었으며, 참마다 발장(撥長) 1명, 색리(色吏) 1명, 군졸 5명, 말 5필이 배치되었다. 그에 비해 보발은 30리마다 참을 두었고, 참마다 발장 1명과 군졸 2명이 배속되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국가 통신망의 대동맥 역할을 담당한 발로(撥路)는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와 『대동지지(大東地志)』를 비롯해 『만기요람(萬機要覽)』·『여지도서(輿地圖書)』·『청구도(靑邱圖)』 등을 통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대동지지』에 따르면, 전국의 파발로는 한양과 의주를 연결하는 서발, 한양과 함경북도 경흥군의 서수라를 잇는 북발, 한양과 동래를 연결하는 남발 등 3개 노선으로 편성되었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시 본선(本線)에 해당하는 직로(直路)와 지선(支線)에 해당하는 간로(間路)로 나뉘기도 하였다.

서발은 직로인 서북로와 간로인 강계일로(江界一路)·위원일로(渭原一路)·벽동일로(碧潼一路)로, 북발은 직로인 동북로와 간로인 후주일로(厚州一路)·무산일로(茂山一路)로 구성되었다. 그에 비해 남발은 한양과 동래를 연결하는 직로뿐이었다. 또 서발은 말을 타고 가서 군사 정보나 왕명을 전달하는 기발을 채택하였고, 북발과 남발은 사람이 달려가서 소식을 전하는 보발로 조직되었다. 『대동지지』를 바탕으로 전국의 발로 조직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파발 3대로

1. 서발

1) 직발: 기발

○ 서북로(한양~의주, 41참, 총 거리 1,050리)

한양 기영참(畿營站)-양주 검암참(黔巖站) 23리-고양 벽제참(碧蹄站) 22리-파주 분수원참(焚修院站) 20리-파주 마산참(馬山站) 20리-장단 동파참(東坡站) 20리-장단 조현참(調絃站) 30리-개성 청교참(靑郊站) 25리-개성 청석동참(靑石洞站) 25리-김천 병전기참(餠廛岐站) 25리-김천 관문참(官門站) 20리-평산 관문참 30리-평산 석우참(石隅站) 25리-평산 안성참(安城站) 25리-서흥 관문참 30리-서흥 서산참(西山站) 23리-봉산 산수원참(山水院站) 22리-봉산 관문참 25리-봉산 동선참(洞仙站) 20리-황주 관문참 20리-황주 저복참(貯卜站) 20리-중화 관문참 25리-평양 대정참(大井站) 25리-평양 관문참 25리-평양 부산참(斧山站) 25리-순안 관문참 25리-영유 냉정참(冷井站) 30리-숙천 관문참 30리-안주 운암참(雲巖站) 30리-안주 관문참 30리-박천 광통원참(廣通院站) 25리-가산 관문참 25리-정주 구정참(求井站) 30리-정주 관문참 30리-곽산 운흥참(雲興站) 30리-선천 임반참(林畔站) 30리-선천 청강참(淸江站) 30리-철산 차련참(車輦站) 30리-용천 양책참(良策站) 30리-의주 소곶참(所串站) 30리-의주 관문참 30리

2) 간발

가) 강계일로(18참, 총 거리 510리)

동북 안주관아참(安州官衙站)-영변 수모노참(修毛老站) 30리-영변 관문참 30리-영변 국사참(國司站) 30리-영변 천수참(天水站) 30리-영변 개평참(開平站) 30리-희천 관문참 30리-희천 법흥참(法興站) 30리-희천 복죽참(福竹站) 30리-희천 흑참(黑站) 30리-희천 백산참(白山站) 30리-강계 파원참(坡院站) 30리-강계 입석참(立石站) 20리-강계 무주참(武州站) 20리-강계 성간참(城干站) 30리-강계 고암참(高巖站) 30리-강계 부노지참(夫老只站) 30리-강계 양파참(梁坡站) 20리-강계 관문참 30리

나) 위원일로(13참, 총 거리 470리)

영변 국사참(國司站)-운산 관문참 30리-운산 니성동참(泥城洞站) 30리-운산 장성동참(長城洞站) 40리-초산 우현참(牛峴站) 30리-초산 우장참(牛場站) 30리-초산 판원참(板院站) 40리-초산 고읍참(古邑站) 50리-초산 건참(乾站) 50리-초산 관문참 50리-위원 계동참(界洞站) 30리-위원 사덕참(四德站) 30리-위원 관문참 30리-위원 고보참(古堡站) 30리

다) 벽동일로(12참, 총 거리 440리)

동북 안주관문참(安州官門站)-박천 관문참 40리-영변 율현참(栗峴站) 30리-태천 관문참 30리-구성 부연참(釜淵站) 30리-구성 관문참 30리-구성 팔영참(八營站) 40리-삭주 대관참(大館站) 25리-삭주 계반참(界畔站) 25리-삭주 관문참 30리-창성 관문참 40리-벽동 소길호리참(小吉號里站) 60리-벽동 관문참 60리

2. 북발

1) 직발: 보발

○ 동북로(한양~서수라, 64참, 총 거리 2,300리)

한양-양주 두험천참(豆驗川站) 50리-포천 안기참(安奇站) 50리-영평 양문참(梁文站) 30리-철원 풍전참(豊田站) 40리-금화 관문참 50리-관문참 50리-고금성 창도참(昌道站) 30리-신안참(新安站) 40리-회양 관문참 30리-안변 고산참(高山站) 50리-안변 인두문참(引豆門站) 30리-안변 방하산참(方下山站) 30리-덕원 관문참 40리-문천 관문참 30리-고원 관문참 50리-영흥 관문참 40리-정평 초원참(草原站) 40리-정평 봉대참(蓬臺站) 50리-함흥 평원참(平原站) 50리-함흥 덕산참(德山站) 50리-홍원 신은참(新恩站) 50리-홍원 대문참(大門站) 30리-북청 구원기참(舊院基站) 30리-북청 오천참(五川站) 30리-북청 대현참(大峴站) 30리-이원 나하동참(羅下洞站) 30리-이원 시리참(施利站) 30리-이원 곡구참(谷口站) 30리-단천 충신원참(忠信院站) 30리-단천 기원참(基原站) 30리-단천 마곡참(麻谷站) 50리-길주 영동참(嶺東站) 60리-길주 임명참(臨溟站) 60리-길주 산성원참(山城院站) 30리-길주 대평참(碓平站) 30리-명천 고참(古站) 35리-명천 명원참(明原站) 45리-경성 운위원참(雲委院站) 35리-경성 주촌참(朱村站) 35리-경성 영강참(永康站) 30리-경성 오촌참(吾村站) 45리-경성 수성참(輸城站) 45리-부령 장항참(獐項站) 35리-부녕 관문참 35리-부녕 허고원참(虛古院站) 30리-회령 고풍산참(古豊山站) 30리-회녕 독덕참(獨德站) 30리-회녕 관문참 30리-회녕 고령참(高嶺站) 25리-종성 방원참(防垣站) 35리-종성 관문참 30리-종성 동관참(潼關站) 25리-은성 영달참(永達站) 30리-은성 관문참 30리-은성 황척파참(黃拓坡站) 25리-경원 훈융참(訓戎站) 25리-경원 관문참 30리-경원 안원참(安原站) 30리-경원 건원참(乾原站) 25리-경원 아산참(阿山站) 25리-경흥 아오지참(阿吾地站) 30리-경흥 관문참 20리-경흥 무이참(撫夷站) 25리-경흥 조산참(造山站) 35리-경흥 서수라참(西水羅站) 20리

2) 간발

가) 후주일로(13참, 총 거리 540리)

북청 오천참-북청 제인참(濟仁站) 75리-북청 황수원참(黃水院站) 40리-갑산 종포참(終浦站) 30리-갑산 웅이참(熊耳站) 40리-갑산 호린참(呼獜站) 30리-갑산 허천참(虛川站) 40리-갑산 허린참(虛獜站) 40리-삼수 적생참(積生站) 50리-삼수 인차외참(仁遮外站) 35리-삼수 나난참(羅暖站) 30리-삼수 갈파지참(乫坡知站) 40리-삼수 구갈파지참(舊乫坡知站) 20리-후주(厚州) 70리

나) 무산일로

· 부녕 허고원참-부녕 폐무산참(廢茂山站) 30리-무산 마전참(麻田站) 50리-무산 관문참 50리-무산 양수만동참(梁水萬洞站) 25리-무산 혈암참(穴巖站) 30리-무산 풍산참(豊山站) 30리-회녕 볼하참(乶下站) 25리-회녕 관문참 50리

· 회녕 관문참-종성 행영무안참(行營撫安站) 15리-은성 취암참(鷲巖站) 30리-은성 덕명참(德明站) 35리-경흥 아오지참 30리

· 동북 행녕-경원 연기참(燕基站) 70리-경원 관문참 50리

· 동북 행녕-종성 세천참(細川站) 20리-종성 관문참 50리

3. 남발

1) 직발: 보발(한양~동래, 31참, 총 거리 920리)

한양-광주 신천참(新川站) 20리-광주 율목참(栗木站) 20리-광주 검북참(黔北站) 20리-광주 경안참(慶安站) 20리-광주 쌍교참(雙橋站) 20리-이천 고척참(高尺站) 20리-이천 대포참(大浦站) 20리-이천 소사참(素沙站) 20리-음죽 관문참 20리-충주 임오참(林烏站) 20리-충주 숭선참(崇善站) 40리-충주 단월참(丹月站) 50리-연풍 안부참(安富站) 50리-문경 요성참(聊城站) 40리-문경 견탄참(犬灘站) 40리-함창 덕통참(德通站) 20리-상주 낙원참(洛源站) 30리-상주 낙동참(洛東站) 40리-선산 영향참(迎香站) 40리-인동 양원참(楊原站) 40리-칠곡 고평참(高平站) 40리-대구 관문참 30리-대구 오동원참(梧桐院站) 30리-청도 오서참(鰲西站) 40리-청도 유천참(楡川站) 40리-밀양 관문참 30리-밀양 무흘참(無訖站) 20리-양산 내포참(內浦站) 30리-동래 소산참(蘇山站) 30리-동래 관문참 20리-동래 부산참(釜山站) 20리

참고문헌

  • 남도영, 『韓國馬政史』, 한국마사회 한국마사박물관, 1997.
  • 남상호, 「조선시대 파발제-군사통신제 발달」, 『韓國軍事史 13』, 경인문화사,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