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원사(開元寺)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한산성의 승군 본영이 있던 병영 사찰.

개설

개원사(開元寺)는 인조대에 남한산성을 축조하면서 도총섭(都摠攝)이 머무는 수사찰(首寺刹)로 세운 사찰이다. 당시 성 내에 있던 9개의 사찰과 성 밖에 있던 1개의 사찰에 승병(僧兵)이 나누어 머물렀다. 남한산성의 승군은 도총섭을 비롯하여 원거승군(原居僧軍) 138명과 의승(義僧) 356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승군이 머물던 각 사찰에는 군기와 화약이 보관되어 있었으며, 개원사에는 다수의 불경이 소장되어 있었다.

내용 및 특징

개원사는 남한산성 동문 안쪽에 있는 사찰이다. 인조는 1624년(인조 2)에 총융사(摠戎使)이서(李曙)에게 남한산성의 축성을 주관하도록 했는데, 이서는 승군의 도움을 받아 2년에 걸쳐 성곽을 완공하였다. 당시 승려 벽암각성(碧巖覺性)이 팔도도총섭이 되어 전국의 승병을 모아 남한산성의 축성을 지휘하였다(『정조실록』 3년 8월 3일). 이때 산성 축조의 임무를 맡은 승려들은 산성 내에 있던 9개 사찰과 밖에 있던 1개 사찰에 나누어 머물렀다. 10개 사찰 가운데 망월사(望月寺)와 옥정사(玉井寺)는 예로부터 있던 사찰이고, 나머지 8개 사찰은 새로 지었다. 성 내에는 개원사를 비롯하여 한흥사(漢興寺), 국청사(國淸寺), 장경사(長慶寺), 천주사(天柱寺), 동림사(東林寺), 남단사(南壇寺)가 지어졌고, 성 밖에는 영원사(靈源寺)가 지어졌다. 각 사찰에는 군기와 화약이 보관되어 있었고, 개원사는 수사찰로서 승군의 본영(本營)이 있었다.

변천

1624년의 남한산성 축성 이후 승군은 산성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런데 1636년(인조 14) 병자년 12월에 청나라 군대가 갑자기 국경을 넘어 한양 도성으로 침입해오자, 인조와 조정 대신들은 황급히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다. 이때 개원사 승려 삼인(三印)이 말과 소를 한 마리씩 바쳤다. 이에 인조가 소를 잡아서 군사들에게 먹이도록 명하였다(『인조실록』 14년 12월 21일).

『중정남한지』에 의하면, 개원사에 불경(佛經)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를, 1637년(인조 15) 정축년 가을에 사람이 타지 않은 배 한 척이 서호(西湖)에 정박하였는데 대장경을 담은 책함(冊函)이 가득 있었고, 책함에 ‘중원개원사개간(中原開元寺開刊)’이라는 글자가 쓰여 있었다. 그래서 인조가 같은 이름의 사찰에 보내 소장하도록 하여 남한산성의 개원사에 보관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잘못된 것이다. 1681년(숙종 7)의 기록에 의하면, 그 해 6월 5일에 큰 태풍으로 전국적으로 큰 피해가 있었고, 7월 9일에 태풍의 피해에 관해 논의하는 가운데 다음의 내용이 보인다. 6월의 태풍으로 중국 상선이 전라도 바닷가에 표착하였는데, 그 표류선에 불경이 많았고 그 책함 일부는 바닷가에 떠다녔다. 나주 관아에서는 표류선에 있던 불경과, 여러 진과 포구에서 건져낸 경전 1,000여 권을 수습하여 왕실에 올려 보냈다. 그런데 임금이 그 불경을 보고 오래도록 내려주지 않자 민정중과 김수항이 이단의 서책을 오래 두고 임금이 보는 것은 적당하지 못하다고 간언하였다. 이에 임금은 남한산성 사찰에 나누어 주도록 명하였다(『숙종실록』 7년 7월 9일). 즉, 조선후기 개원사에서 소장하던 불경은 1681년의 중국 표류선에 있던 것을 숙종이 하사한 것이다.

당시 중국 표류선의 불경은 명나라 말기부터 청나라 초기까지 중국 절강성 가흥부 등의 여러 지역 사찰에서 간행한 가흥대장경이었다. 이 대장경을 간행한 사찰 중에 개원사가 있었으므로 책함에 ‘개원사개간(開元寺開刊)’이라고 적힌 것도 있었을 것이다. 당시 나주 관아에서 수습하여 왕실로 보낸 경전 외에도 바닷가에 떠밀려온 많은 책함이 있었는데, 인근의 승려들이 건져내어 그 중 일부를 백암성총(栢庵性聰)과 그 제자들이 복각 및 개간하였다. 성총이 1686년부터 1700년까지 10종 159권의 가흥대장경을 복각 내지 개간하였고, 그 후 여러 승려들에 의해 가흥대장경이 복각 내지 개간되어 조선후기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남한산성 개원사에 있던 불경은 1970년의 화재 때 함께 전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1666년(현종 7)에 개원사 화약고에서 불이 일어나 불길이 맹렬했는데 갑자기 반대쪽에서 바람이 불어와 불길이 꺼졌고, 1694년(숙종 20) 겨울에도 불이 나서 군사 물자를 보관하고 있던 누각이 거의 타려고 하는데 갑자기 큰 비가 내려 진화되어 큰 손실이 없어서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겼다고 한다.

남한산성의 승군은 승군총섭(僧軍摠攝) 1인, 승중군(僧中軍) 1인, 교련관(敎鍊官) 1인, 초관(哨官) 3인, 기패관(旗牌官) 1인, 원거승군(原居僧軍) 138명, 의승(義僧) 356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의승은 경기, 강원, 삼남(경상, 전라, 충청), 황해 등 6도에서 매년 6차례로 나누어 2개월씩 입번하였다. 그런데 의승이 입번할 때 여러 절에서 많은 금전을 내었으므로 그 고통을 이기기 어려웠다. 그래서 1755년에 의승의 입번을 면제하는 대신에 입번에 들어가는 금전을 원거승군에게 지급하도록 하여 그 폐단을 없앴다(『영조실록』 31년 8월 14일). 이때 6도의 의승번전(義僧番錢)은 7,039냥(兩) 3전(錢) 7푼(分)이었다고 한다.

개원사의 승군총섭은 충청·경상도 사찰 승려의 과실을 규찰하는 규정(糾正)의 일을 겸하였다. 조선후기에는 국가 공인의 불교 종단이 없었던 대신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있던 봉은사(奉恩寺)와 봉선사(奉先寺), 그리고 도총섭이 있던 남한산성 개원사(開元寺)·북한산성 중흥사(重興寺)·수원용주사(龍珠寺)에 오규정소(五糾正所)가 있었다. 봉은사는 강원도의 사찰, 봉선사는 함경도의 사찰, 중흥사는 황해·평안도의 사찰, 용주사는 전라도 사찰, 그리고 개원사는 충청·경상도 사찰 승려의 규정을 담당하였다.

개원사는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던 1907년 8월 1일, 일본군이 남한산성의 무기와 화약을 모두 수거하고 화약고를 불태우면서 함께 파괴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전보삼, 『남한산성과 팔도사찰』, (재)대한불교진흥원, 2010.
  • 오경후, 「조선후기 승역의 유형과 폐단」, 『국사관논총』107, 국사편찬위원회, 2005.
  • 이종수,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21, 불교학연구회, 2008.
  •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서지학연구』56, 서지학회, 201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