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윤일(宮閏日)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1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원(曆元)인 599년(수 개황 19) 춘분에서 계산하려는 해의 춘분 사이에 들어 있는 윤일(閏日)의 수.

개설 및 내용

<개요>

황도 12궁의 각 궁은 대략 황경(黃經) 30도씩으로 이루어져 있고, 태양이 12궁을 다 돌면 1년이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태양의 운행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태양이 각 궁을 지나가는 데 걸리는 기간이 조금씩 다르다. 이때 1년의 실제 길이인 365.2422일과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에서 정한 1태양년의 길이인 365일을 맞추기 위해 각 궁에 두는 윤일을 궁윤일이라고 한다. 여기서 계산의 기준이 되는 해는 『회회력(回回曆)』과 『칠정산외편』의 역원인 개황 19년 곧 599년이다. 궁윤일은 이때부터 계산하려는 해의 춘분까지 사이에 들어 있는 윤일의 수를 말한다.

<궁윤일 계산 방법>

『칠정산외편』에서는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1태양년을 365일로 정하였다. 따라서 많은 세월이 지나가면 실제 태양년의 날짜와 차이가 커지게 된다. 궁윤일은 바로 이 차이를 보정해주는 값으로, 1년을 365일로 계산한 값에 궁윤일을 더하면 실제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칠정산외편』에 수록된 태양·달·행성 등과 관련된 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역원부터 계산하려는 해까지의 일수(日數)를 구한 뒤, 그 일수로부터 총년(總年)·영년(零年)·월·일을 구해야 한다. 여기서 총년을 구할 때 궁윤일이 필요하다. 궁윤일은 오늘날 음력에서 사용하는 윤달[閏月]과 비슷한 개념이다. 『칠정산외편』에서는 월의 기준으로 태음월을 사용하지만, 궁(宮)의 개념이 들어갈 때는 태양년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궁윤일을 고려하여 1년의 길이를 계산하면 오늘날의 값과 잘 들어맞는다. 궁윤일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궁윤일 = (계산 연도 - 598) × 31일(궁윤준) ÷ 128

이 식에서 598은 계산 연도에서 역원인 599년을 빼고 난 뒤, 1을 더해서 계산 시작점인 599년의 값을 넣기 위한 것이다. 궁윤준(宮閏准)은 128년에 31일이 들어 있으므로, 먼저 31을 곱한 뒤 128년으로 나눈다.

<궁윤일의 검증>

현대 천문학에서 계산한 1년의 길이는 365.24219일이다. 그런데 『칠정산외편』에서는 1태양년을 365일로 정하였다. 따라서 이 두 값의 차이로 인해 수백 년이 지나면『칠정산외편』의 날짜는 계절이 어긋날 정도로 실제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칠정산외편』에서 구한 값에 궁윤일을 더해 보정해주어야 한다.

예) 1447년의 경우

(365.24219 - 365)일 × (1447 - 598) = 205.6193일

==> 두 값의 보정치는 205일임.

==> 1447년에는 205일을 더해주어야 실제 계절과 일치.

참고문헌

  •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
  • 『칠정산외편정묘년교식가령(七政算外篇丁卯年交食假令)』
  • 안영숙, 『칠정산외편의 일식과 월식 계산방법 고찰』, 한국학술정보, 2007.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칠정산외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0.
  •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2011』, 남산당,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