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단(紫金丹)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0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백비, 백반, 담두시 등으로 이루어져, 효천을 치료하는 데 쓰는 처방.

개설

『동의보감』에는 두 종류의 자금단(紫金丹)이 제시되어 있다. 하나는 백비(白砒), 백반(白礬), 담두시(淡豆豉)로 구성된 것으로, 비가 오려고 할 때 코고는 증상과 천(喘) 증세가 나타나, 심하면 앉거나 누울 수 없고 음식도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다른 하나는 신비(信砒), 담두시, 돼지고기로 만든 자금단으로, 효천(哮喘)이 심해서 누울 수 없게 된 것이 3년이 지난 사람들에게 복용하게 하는 처방이다.

『보제본사방』에도 자금단이 있다. 다년간 천식(喘息)으로 새벽녘이나 저녁에 기침을 하여 잠을 못 자는 경우를 치료한다. 비석(砒石) 1.5돈, 두시 1.5냥을 함께 짓찧어 삼씨[麻粒]만한 환(丸)을 만들어, 매회 15환씩 취침 전에 납다(臘茶)로 차갑게 하여 복용한다[冷服]. 효과가 느껴질 때까지 복용하며 병의 증상에 따라 적당히 가감한다. 비석은 갈아서 물로 여러 번 걸러서 사용하는 방법인 수비(水飛)를 하고, 두시는 물에 약간 적셨다가 종이로 물기를 빼고 말려서 으깨어 고(膏)로 만든다.

『보제본사방』에 나오는 또 다른 자금단은 식로(食勞)와 기로(氣勞)로 온몸이 노랗게 부으며 수종(水腫)이 되려고 하거나, 또는 오랫동안 현벽(痃癖)을 앓아 얼굴과 눈이 모두 노란 증상을 치료한다. 미초(米醋) 5되[升]에 담반(胆礬) 3냥과 대조(大棗) 50개를 넣고 약한 불로 반나절 동안 달여 대조의 껍질과 씨를 제거한 다음, 황랍(黃蠟) 1냥을 넣고 다시 반나절 동안 달여 고가 되게 한다. 여기에 납다 가루 2냥을 넣고 조합하여 오동나무 열매만한 환을 만들어 매회 20~30환씩 차[茶]나 술로 복용한다. 오래된 장풍치루(腸風痔瘻)가 있으면 묵은 쌀로 끓인 미음으로 복용한다.

『단계심법』에도 자금단이 제시되어 있다. 효증(哮證)이 3년 이상 경과한 것을 치료한다. 아주 곱게 빻은 비석가루 1냥을 질 좋은 돼지고기 20냥과 잘 섞어서 6등분하여 지근(紙筋)을 섞은 진흙으로 싸서 불에 쬐어 말린 다음, 푸른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숯불로 굽는다. 이것을 화독(火毒)이 빠지기를 기다렸다가 곱게 빻아서 더운 물에 담가 증병(蒸餠)으로 녹두만한 환을 만들어 어른은 매회 20환씩, 어린아이는 적당히 감량하여 식전에 뜨거운 차로 복용한다. 돼지고기는 품질이 좋은 것을 조그만 덩어리로 잘라서 쓰는데, 어떤 처방에는 돼지고기가 30냥으로 되어 있다.

『의학입문』의 자금단은 담화천(痰火喘)으로 누워 있을 수가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비석가루 1돈, 으깬 두시 1냥, 질 좋은 돼지고기 4냥을 잘게 잘라 골고루 섞어 3등분하여 황토 진흙으로 싸서 불에 구워 말린다. 이것을 푸른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숯불로 구워 화독이 빠지기를 기다렸다가 가루로 만들어 더운 물에 담가 증병으로 녹두만한 환으로 만들어 어른은 매회 20환, 어린아이는 7환씩 식후에 차로 복용한다.

『증보만병회춘』의 자금단은 효증으로 날이 궂은 날에 발작적으로 목 안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면서 숨이 차며, 심할 때는 앉지도 눕지도 못하고 식사도 할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백비(白砒) 1돈, 따로 으깬 고반(枯礬) 3돈, 쪄서 반죽처럼 으깬 두시 1냥을 조합하여 녹두만한 환을 만들어 매회 7환씩, 발작 직전에 냉차로 복용한다. 중증(重證)일 때는 9환, 어린아이는 1~2환씩 복용한다.

『부과옥척』에는 분만(分娩) 후의 갑작스런 창만(脹滿)으로 음식을 먹을 때 목에 무엇인가가 걸린 듯한 느낌이 있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자금단이 제시되었다. 대자석(代赭石)·차려석(磋礪石)을 각각 같은 분량으로 빻아서 초(醋)로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매회 20~30환씩 술로 복용한다. 흉통(胸痛)이 있는 경우에는 당귀(當歸) 달인 물로 복용한다. 또는 대자석 1냥, 짓찧어 볶은 도인(桃仁) 3돈, 대황 5돈을 박하 달인 물로 반죽하여 환을 만든다.

『상과보요』에 나오는 자금단은 타박상(打撲傷)으로 어혈동통(瘀血疼痛)이 있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몰약(沒藥)·강향(降香)·유향(乳香)·송절(松節)·소목(蘇木)·천오(川烏)·누고(螻蛄) 각 1냥, 자연동(自然銅) 2냥, 혈갈(血竭)·용골(龍骨) 각 5돈을 가루 내어 풀로 환을 만들고 주사(朱砂)로 옷을 입힌다.

중종대에 도승지 송천희(宋千喜)를 보내 남정한 장사를 선위(宣慰)하는데, 약과 갈모[笠帽]를 주고 또 궁내에서 자금단(紫金丹) 3,000정(丁)과 석우황(石牛黃) 60근을 내어 선위사(宣慰使)에게 부쳤다고 한다(『중종실록』 5년 4월 28일).

제조법

생 백비(白砒) 1돈, 백반(白礬) 3돈, 물에 적셔 껍질을 벗기고 쪄서 진흙처럼 간 담두시(淡豆豉) 1냥을 갈아 녹두 크기로 환을 만든다.

효능

효천(哮喘)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 『동의보감(東醫寶鑑)』
  • 『방약합편(方藥合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東洋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編, 『東洋醫學大辭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9.
  • 万友生 外, 『中医方劑大辭典』, 永信文化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