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감(司禮監)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1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명대 황제의 일정 관리 및 황제 문서의 수발, 황궁 내 대소사를 관장하였으며, 조·명 관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환관기구.

개설

사례감은 명대 황제 중심의 정치구조에서 황제 문서를 관장하여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였다. 문서 중심의 행정체계에서 기인한 사례감의 영향력 행사는 국내 정치뿐만 아니라 조선에 대한 외교 정책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 출신 환관이 사례감의 태감으로 있으며, 황엄과 같이 조선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개인적인 치부(致富)를 위하여 조선을 압박하는 사례도 있었다. 사례감은 황제의 명을 바탕으로 조선의 외교 활동에 깊이 관여된 환관기구로 조·명 관계사에 중요한 관청이었다.

조·명 관계와 사례감

사례감은 명대 환관조직인 12감(監), 4사(司), 8국(局) 중 12감의 수장 역할을 하던 관청이었다. 특히 조선과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조선의 외교문서 전달체계에서 최종적인 검열 및 심의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조선의 외교문서를 전달하면 예부를 거쳐 사례감 소속의 문서방을 통하여 황제에게 전달되는 절차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문서방, 사례감의 태감은 조선의 외교문서를 검열하고 황제에게 올리는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이 있었다.

또한, 사례감은 황제와 관련된 각종 의식을 주관하는 기구로 수양대군의 경태제(景泰帝) 배알(『단종실록』 1년 9월 21일)과 같이 조선 사신이 황제를 배알하는 절차도 사례감에서 절대적인 결정권을 갖고 있었다. 또한, 황제의 명을 받아 조선 사신을 대상으로 건주위의 사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고(『성종실록』 11년 3월 28일), 명나라에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 조선의 사신 파견 여부를 결정하기도 하였다(『중종실록』 22년 12월 4일). 이러한 점에서 사례감 태감을 사례감 근시노공(司禮監近侍老公)이라 부를 정도로 조선이 대명 관계에서 가장 중시하였던 명나라의 기구였다.

실제 조선 사신이 명나라에서 사례감 환관을 만나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사신이 수집하는 각종 정보에서 사례감은 중요 기구로 인식되어 세세한 사정까지 보고서에 수록되었다. 또한, 이들 사례감 환관이 사신으로 조선에 오면 이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대표적인 조선 출신 사례감 태감은 황엄(黃儼)·김영(金英)·장흠(張欽)·노유령(盧惟寧) 등이 있었다.

의의와 평가

명대 정치 운영에서 사례감은 환관 정치를 대표하는 기구로, 조·명 관계에서 외교 정책의 수립, 시행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들 사례감 환관이 조선에 사신으로 오면 조선은 각종 예우를 우대하여 시행하고, 다양한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조·명 관계사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사례감은 조선시대 외교를 파악하는 중요한 매개체였다.

참고문헌

  • 『명사(明史)』
  • 김경록, 「명대 공문제도와 행이체계」, 『명청사연구』 26, 2006.
  • 김경록, 「조선시대 대중국 외교문서의 접수·보존체계」, 『한국사연구』 136, 2007.
  • 김경록, 「조선시대 사대문서의 생산과 전달체계」, 『한국사연구』 134, 2006.
  • 김경록, 「조선시대 사신접대와 영접도감」, 『한국학보』 117, 2004.
  • 김경록, 「조선후기 사대문서의 종류와 성격」, 『한국문화』 35,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