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토왕국(賓土王國)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48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 지배기 때의 호르친 6호쇼 중 하나.

개설

빈토왕국이란 청나라 지배기 때의 호르친([科爾沁], Qorčin)의 좌익전기(左翼前旗)를 가리켰다. 좌익전기는 호르친 부족으로 구성되었는데 호르친은 몽골제국 시기 몽골 대칸의 직속군대 중 하나였다. 이 군대를 속어에서는 ‘빈투왕기[氷圖王旗]’라 불렀다. 이후 청대에 이르러 빈투왕기를 구성하던 부족, 즉 호르친들의 거주지를 가리켜 빈토왕국이라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호르친은 몽골제국 이후 시기 몽골 동부 지역에서 거주하던 부족이었다. 호르친은 몽골어로 ‘활통 및 화살통을 휴대하고 다니는 사람’을 뜻하였다.

칭기즈칸은 1189년 친위대인 케식을 설치하였는데, 이때 호르친도 케식에 포함되었다. 칭기즈칸은 자신의 동생인 하사르([哈撤兒], Qasar)에게 호르친을 예속시켰다. 이후 1206년 칭기즈가 몽골을 통일시켜 대칸으로 추대되었을 때 하사르 휘하의 호르친은 대칸을 호위하게 되었다.

이후 호르친은 하사르의 후예가 통치하는 부족을 지칭하게 되었다. 그때 호르친은 모두 13개의 오톡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또 좌·우익으로 양분되었다. 초기에는 훌룬부이르 이동(以東) 지역에 거주하였으며 15세기 초 아다이(Adai) 칸 때에는 오이라트에게 밀려 남진하여 대흥안령을 넘어 눈강(嫩江) 유역에서 유목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눈강 유역의 호르친은 논 호르친(Non Qorčin)이라 불리게 되고 옛 땅에 남은 호르친은 아르 호르친(Aru Qorčin)이라 불리게 되었다.

당시 호르친은 동몽골의 6만호에도 소속되지 않은 특별한 행정단위로 편성되었고, 200,000여 명의 속민으로 구성된 대칸의 특수부대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강력한 군사력을 토대로 대칸의 권력을 보호하였고, 대칸과 활발하게 협력하여 몽골 통일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 17세기 초에 호르친은 남진하여 오늘날 내몽골 지림(Jirim) 아이막 지역에 유목하면서 예전처럼 몽골 대칸의 통치를 받았다.

설립 경위 및 목적

1590년대 건주여진(후금)의 누르하치가 강력해지자 여진의 여러 세력이 그에게 대항하였다. 여진의 부족 통일을 원하지 않았던 호르친은 반(反)누르하치 세력과 연합하여 누르하치와 싸웠으나 패배하였다.

이때 몽골의 대칸 릭단은 호르친의 항쟁을 지원하기는커녕 후금과 내통한다는 구실로 호르친을 토벌하였다. 그러자 후금은 이 사건을 이용해 호르친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즉, 후금은 호르친에 대하여 군사위협을 가하면서 동시에 회유정책을 실시해 간 것이었다.

결국 1624년 호르친의 수령 우우바(Uuba)는 몽골의 릭단 칸과 할하의 지속적인 압박을 피하기 위하여 후금과 상호보호 맹약을 맺게 되었다. 이 맹약은 표면상 릭단 칸을 반대하는 ‘동등한’ 동맹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후금이 남몽골을 복속시키고 호르친이 후금에 종속되는 불평등 동맹이었다. 1625년 릭단 칸이 호르친을 침입하자, 호르친은 후금의 군사적 원조를 받았고 그다음 해에는 우우바가 자기 부족을 데리고 투항해 후금에 복속되었다. 후금은 우우바에게 투시에투 칸(Tüsiyetü qan)이라는 칭호를 수여하였다.

조직 및 역할

1627년 우우바의 5촌 당숙인 홍고르(Qongγor)가 후금에 사신을 보내 통교하였으며 1636년 그에게 자삭(jasaγ) 빈토 군왕(郡王)의 작위를 수여하여 호르친 좌익전기를 통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빈토왕국은 나머지 5개의 호쇼와 함께 지림(Jirim) 맹에 예속되었다.

5개의 호쇼는 우익전기(자삭투 왕 호쇼), 우익후기, 좌익중기(左翼中旗, 다르한 왕 호쇼), 좌익전기(빈투 왕 호쇼), 좌익후기였다.

변천

호르친부 왕공들은 몽골의 여러 세력 중에서도 제일 먼저 후금에게 항복한데다가 대대로 청나라 황족과 혼인하였기 때문에 다른 몽골 귀족보다 지위가 가장 높았다.

1638년(인조 16) 조선에서 소를 사기 위하여 몽골 땅으로 성익(成釴)을 보냈는데, 그가 빈토왕국에 도달하였다(『인조실록』 16년 6월 9일).는 기록이 있다.

참고문헌

  • Хөрвүүлсэн Ц. Цэрэндорж, Манжийн үнэн магад хууль, Бит пресс, 2009. (Ts. 체렝도르지 역주, 『만주실록(滿州實錄)』, 비트프레스, 2009.)
  • Хөрвүүлсэн Ц. Цэрэндорж нар, Зарлигаар тогтоосон гадаад монгол, хотон аймгийн ван гүнгүүдийн илтгэл шастир, Согоо нуур, 2007. (Ts. 체렝도르지 등 역주, 『흠정외번몽골회부왕공표전[欽定外藩蒙古回部王公表傳]』, 소고오 누우르, 2007.)
  • Ван Мандуга, Монголын түүхийн толь, ӨМАХХ, 1999. (왕 만두가 주편, 『몽골사 사전』, 내몽골인민출판사, 1999.)
  • 이용범, 「成釴의 蒙古牛 貿入과 枝三·南草」, 『震檀學報』 28, 震檀學會, 196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