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팔참(東八站)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42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의 압록강과 중국의 산해관 사이에 있었던 여덟 군데의 역참으로 조선 사신이 중국에 왕래하던 교통로.

개설

동팔참은 우리나라 의주에서 요동도사(遼東都司)가 있었던 요양(遼陽)까지의 노상에 설치되어 있던 첨수(甛水)·두관(頭館)·연산(連山)·용봉(龍鳳)·사열(斜烈)·개주(開州)·탕참(湯站)·역창(驛昌) 등 8개 참(站)을 지칭한다. 이는 고려시대 원나라의 요양행성(遼陽行省)을 왕래할 때에 붙여진 명칭으로 추정되는데, 팔참(八站)의 위치와 명칭이 계속 바뀌었기 때문에 당초 원대의 동팔참이 어느 곳을 지칭하는지는 분명치 않다. 이후 명나라 영락제 때에 북경으로 수도를 옮긴 이후 조선의 사행로는 전보다 훨씬 단축되었고, 대개 동팔참로를 경유하는 육로는 거의 고정화되었다. 육로가 주를 이루는 15~16세기의 대명사신로는 크게 네 개 구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단계는 한양에서 의주까지의 국내행로이며, 제2단계는 의주에서 요동도사가 있는 요양까지, 제3단계는 요양에서 산해관까지, 제4단계는 산해관에서 북경까지의 행로이다. 이 가운데 제2단계가 대개 동팔참 지역에 해당하며, 의주를 건너 제일 먼저 이르는 진강성(鎭江城)을 비롯하여 탕참보(湯站堡)·봉황성(鳳凰城)·송참보(鎭東堡)·진이보(鎭夷堡)·연산관·첨수참·낭자산(狼子山) 등 8개 참을 지나 요양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 거리가 380여 리(약 149㎞)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와 원나라 사이에 외교관계가 성립된 이래 중국을 왕래하는 육로는 주로 압록강을 건너 이른바 동팔참 지역을 경유하였다. 고려 말 동팔참 지역은 여진인이 장악하였으므로 원·명 교체기에는 이 지역을 통하여 중국으로 왕래하기 어려웠다. 이에 고려에서는 해로를 통해 중국을 왕래하였는데, 해로는 여진족이나 원의 잔여 세력들로부터는 안전하였지만 풍랑의 위험이 있었다. 1372년에는 홍사범·정몽주 등의 일행이 중국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39명이나 익사하는 큰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1409년부터 육로로 중국에 왕래하게 되면서 동팔참 지역은 또다시 매우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이에 대한 적절한 경영이 필요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동팔참 지역에는 여진인들의 노략질 위협이 많아, 이곳을 지나야 했던 조선 사행단은 늘 위험부담을 안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조선은 지속적으로 사행로를 변경해 달라고 명에 요청했다. 그러나 명나라 입장에서는 여진인들의 노략 위협 때문에 갑자기 사행로를 바꾼다는 것은 스스로 겁약을 드러내는 것이어서 조선의 변경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신 해결책으로 조선과 명의 접경지대와 명의 연산관 중간쯤 되는 내봉(來鳳)에 성을 쌓고 군관을 배치하여 사신을 호송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것은 명나라가 군사적으로 동팔참 지역에 적극 진출하는 것으로 조선 측에서는 전혀 바랐던 바가 아니었다.

명이 동쪽으로 진출하게 되면서 조선의 변방 백성들의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서북 변경지역을 번성시키기 위해 세종대부터 여러 차례 강제적인 사민책(徙民策)까지 시행하였던 것을 상기할 때, 이러한 예기치 않은 사태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귀화자 증가 문제는 고려 말의 상황과는 전혀 다른 현상이다. 원 말기의 혼란기에 요양과 심양을 비롯한 요동 지역의 많은 주민들이 고려로 들어와 명에서는 그들 중 일부를 쇄환해간 일이 있는데 명의 권력 확립과 함께 동북지방에 대한 안정화정책으로 15세기에 들어서는 오히려 조선에서 무거운 부역을 피해 요동 지역으로 이탈해가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던 것이다. 또한 명나라 군사가 접경 가까이 진주하게 되면 조선의 국방상에도 커다란 위협이 된다. 이에 조선은 외교적으로 명의 동팔참 점거를 해결하려고 하였지만 이를 저지할 마땅한 명분이 없어 결국 자체적인 방비와 단속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의 방향을 바꾸었다.

변천

명은 요동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동팔참 지역까지는 통치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었다. 명나라는 여진 지역 통할을 위해 1409년(태종 9) 송화강과 흑룡강이 합류하는 노아간(奴兒干) 지역에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실질적인 통치력을 행사하기란 불가능하였다. 노아간도사는 유명무실해져 여진인들은 결국 명나라에 입조(入朝)나 수직(受職)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자신의 기반을 다지는 데 그쳤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이 지역을 왕래하는 조선의 사신들은 본국으로부터 독자의 호송군을 편성해 동행해야 했다. 더구나 이 지역은 인적이 드물고 교통로가 매우 험하여 통행에 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1436년(세종 18) 12월 조선에서는 요동에 자문을 보내 자유채(刺楡寨)를 경유하는 사신 행로의 변경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사신 행로 변경은 사행로의 험준함보다는 여진인과의 긴장관계가 주된 요인이었다. 조선은 1433년(세종 15)에 파저강 일대의 야인을 정벌함으로써 여진인과 계속 긴장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의 사행로 변경 요청은 뜻대로 진전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은 사신 호송에 많은 병력을 파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계속되고 이후 세조대에 다시 사신 행로 변경을 거듭 요청하였으나 조선의 요청은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참고문헌

  • 김구진, 「조선 전기 한·중 관계사의 시론-조선과 명의 사행과 그 성격에 대하여」, 『홍익사학』4, 홍익대학교 사학회, 1990.
  • 유재춘, 「15세기 명의 동팔참 지역 점거와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보』18, 조선시대사학회, 2001.
  • 叢佩遠, 『中國東北史』제3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