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白芷)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1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릿대(Angelica dahurica) 또는 항백지(Angelica dahurica)의 뿌리를 말린 것.

개설

백지(白芷)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은유적인 설명이 붙어 있다. 향기가 청결하여 ‘백’이라 하였으며, 모양이 제멋대로 생기지 않고 스스로 수양을 지극히 하여 가장 높은 경지에 가서 그쳤다[止] 하여 ‘지’라고 한다. 찬 기운에 의해 생긴 증상과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고[散風除習], 전신의 기운을 돌게 해서 통증을 가라앉히며[通竅止痛], 종기를 가라앉히고 농을 배출하는[消腫排膿]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 함길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일본에서 보낸 토산물 목록에 붕사(硼砂), 소향유(蘇香油), 홍련견(紅練絹), 동(銅), 장뇌(樟腦) 등과 함께 백지가 포함되어 있다(『세종실록』 5년 10월 15일). 충해의 피해가 많기 때문에 특히 여름철 보관에 주의해야 한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2월과 8월에 채집하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여자의 자궁 출혈, 월경이 막힌 것, 음부가 부은 것, 한(寒)·열(熱)·풍(風)의 사기(邪氣)가 머리에 침범하여 눈물이 나오는 것 등을 치료한다. 살찌게 하며 피부를 윤기 나게 한다. 풍사(風邪)를 없애고 갈증, 토하는 것, 양 옆구리가 그득한 것, 풍증으로 아픈 것, 어지럽고 눈이 가려운 증세를 치료한다. 명치 밑에 어혈이 있어 찌르는 듯 아픈 것을 치료한다. 여자가 구역이 나는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한다. 부인의 음부에서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과 요통을 멈추며 고름을 빨아낸다. 눈이 충혈된 것, 군살이 살아난 것, 태루로 유산하려는 것을 치료한다. 젖가슴에 생긴 종기, 등창, 목 주변 임파선 주위의 종기, 대변 출혈, 치질 등도 치료하고 고름을 빨아낸다. 쇠붙이에 상한 상처, 옴, 버짐 등도 치료하는데 통증을 멈추고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얼굴의 주근깨와 흠집을 없애기도 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는 백지의 다양한 활용법이 나와 있다. 백지는 고약이나 면지를 만들어 쓰면 얼굴에 윤기가 난다. 물에 넣어 끓여서 목욕할 때 사용할 수도 있다. 『세종실록』에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복숭아나무 가지와 잎[桃枝葉], 측백나무 잎[柏葉]과 함께 백지를 함께 끓여서 목욕하라는 기록이 있다(『세종실록』 16년 6월 5일). 『동의보감』에는 백지로 얼굴에 바르는 기름을 만들어 쓰면 얼굴빛을 부드럽게 하며 얼굴의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고 기록되어 있다.

『향약집성방』에서는 선복화를 같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우려되므로 삼가라고 되어 있다.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방약합편(方藥合編)』
  • 강병수 외, 『(원색)한약도감: 임상을 위한 한약활용의 필독지서』, 동아문화사, 2008.
  •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 『(운곡)한약재의 기원 및 산지 총람』, 한국학술정보, 2009.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