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柴胡)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1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호(Bupleurum falcatum) 또는 그 변종의 뿌리를 말린 것.

개설

시호(柴胡)는 심폐부의 기혈 소통을 좋게 하고[和解表裏], 간기(肝氣)를 소통시키며[疏肝], 기운이 나게 하는[升陽] 등의 효능이 있다. 예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의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재 중 하나이며, 사상의학서인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는 소양인들에게 잘 맞는 약재라고 하였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주로 감기 증상에서 오한과 발열이 반복되어 나타날 때, 전염병이 들어서 오한과 발열이 반복될 때 자주 쓰던 약재이다. 열병으로 뼈마디가 화끈거리며 아픈 증상에도 효과가 좋다. 피부에 생기는 열감을 없애 주고 이른 새벽에 한 번씩 왔다가 없어지는 조열(潮熱)을 없앤다. 간에 생긴 열증을 내려 주며, 학질 및 옆구리 통증에도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기운을 나게 할 때에는 술로 축여 볶아[炒] 쓴다. 기침이 나고 땀이 날 때에는 꿀물로 축여 볶아 쓴다. 간담의 화를 내리려고 할 때에는 꼭지를 버리고 저담즙(猪膽汁)에 버무려 볶아 쓴다.

시호라는 이름에서 ‘시(柴)’의 고자(古字)는 ‘자(茈)’인데 시(柴)와 자(紫)는 두음의 차이가 있다. 옛날에는 자호(茈胡)라고 하였으며 후대에 와서 시호를 구분하여 썼다. 자호의 ‘자(茈)’는 음이 ‘시(柴)’인데 자호는 산에 서식한다. 어릴 때의 싹은 운고(蕓膏), 산채(山菜), 여초(茹草)라고 하여 나물로 먹는다. 늙으면 땔감으로 쓰는데 이때의 식물을 시호(柴胡)라고 한다.

참고문헌

  •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 강병수 외, 『(원색)한약도감: 임상을 위한 한약활용의 필독지서』, 동아문화사, 2008.
  • 신전휘·신용욱, 『향약집성방의 향약본초』,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 『(운곡)한약재의 기원 및 산지 총람』, 한국학술정보, 2009.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