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좌(御座)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25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법전이나 편전, 내전, 장전 등에서 공식적인 의식을 거행할 때 왕이 앉는 자리.

개설

조선시대에 국가 의례를 거행할 때 왕이 앉는 자리는 왕의 위엄을 보이기 위해 특별히 마련한 의자 외에도 여러 요소로 구성하였다. 궁궐의 법전(法殿)에는 화려한 장식을 조각한 어탑(御榻)을 설치하였고, 그 위에 용평상(龍平床)을 올린 후 교의를 평상 위에 설치하여 왕이 앉을 수 있도록 하였다. 내전(內殿)에서의 공식 행사에서 왕비나 대왕대비가 앉는 자리도 어좌(御座)라고 하였다.

연원 및 변천

모든 국가 의례의 의주(儀注)에는 의례를 거행하기 전에 정해진 규칙에 의하여 의장과 의물을 배치하는 절차가 마련되어 있었다. 어좌는 통상적으로 의식이 거행되기 하루 전에 액정서(掖庭署)에서 맡아 설치하였다. 이를 의주에서는 “기일 전 1일에 액정서에서 어좌를 근정전(勤政殿)의 북벽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보안(寶案)을 어좌 앞 동쪽 가까이 설치하고, 향안(香案) 2개를 근정전 밖의 왼쪽과 오른쪽에 설치한다.”고 기록하였다(『세종실록』 오례 가례 의식 납비의 책비). 왕이 의식에 직접 참여하지 않아 권정례(權停例)로 의식을 거행하더라도 어좌는 설치하였다(『중종실록』 20년 2월 28일). 어좌는 기본적으로 붉은색이지만, 왕이 상복을 입을 때에는 가마나 의장과 마찬가지로 마포로 감쌌다.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기록화에서는 왕을 직접 그리지 않으므로 왕이 있는 곳은 모두 어좌만 그려 왕의 존재를 표현하였다.

형태

어좌는 왕이나 왕비가 앉는 자리를 의미하는데, 어좌를 설치한다고 하면 우선 용평상을 설치하고 그 위에 용교의(龍交椅)를 올리며, 교의 앞에는 발을 올려 둘 수 있는 답장(踏掌)을 둔다. 어좌의 양 옆에는 청선(靑扇)을 든 근시가 서며, 어좌의 뒤에는 일월오봉병(日月五峰屛)을 설치한다. 어좌의 앞쪽에는 향꽂이를 올린 작은 탁자인 향좌아(香座兒) 2개를 좌우에 설치하였다. 어좌가 놓인 어탑 위에는 청선차비(靑扇差備)를 포함한 근시 4명과 보검차비(寶劍差備) 2명만 올라와 설 수 있었다.

왕실 잔치나 하례 등 내전에서 의식을 거행할 때 왕이나 대왕대비나 중전이 앉는 자리는 어탑 없이 평상과 교의, 답장만 설치하였다. 어좌 뒤에는 십장생도 병풍 등을 설치하였다. 나머지 청선이나 향좌아는 외전에서 의식을 거행할 때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