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루(箋漏)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22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시대 창덕궁 자격루의 수수호(受水壺)에 설치된 나무 잣대인 전(箋)과 물을 담은 쇠 항아리인 누(漏)의 합성어로서 물시계를 의미하는데, 전(箋)에는 주야의 시각이 표시되었음.

개설

전루(箋漏)의 전(箋)은 대나무 조각으로 만든 찌를 지칭하는데 이는 화살같이 생겨 전(箭)이라고도 하며, 누(漏)는 동호(銅壺)에 물을 담아서 시각을 정하는 데 쓰는 쇠 항아리이다. 물시계는 고대로부터 사용되었는데, 조선 세종 대에 이르러 장영실이 전루(箋漏)를 이용하여 자동시보 장치인 자격루를 개발하였고, 이 자격루는 경복궁의 보루각에 설치되었다. 이후 자격루는 창덕궁에도 설치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와중에 경복궁의 자격루는 소실되었다. 하지만 창덕궁의 자격루는 병화를 면했다.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은 창덕궁의 자격루를 1616년(광해군 8)부터 다시 시보를 시작하였다. 당시에 흠경각과 보루각을 중건한 건축 보고서인 『흠경각영건의궤』와 『보루각개수의궤』가 외규장각에 보관되었는데, 병인양요 와중에 소실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인정, 파루 제도가 폐지된 뒤 물시계 부품은 경복궁에서 창경궁제실 박물관 야외 전시관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이왕가 박물관의 전시품이 되어 덕수궁 광명문 안으로 옮겨져 오늘에 이르렀다.

형태

김돈(金墩)의 기문(記文)에 의하면, 자격루에는 3개의 파수호(播水壺)와 2개의 수수호(受水壺)가 있었다. 원기둥 모양의 수수호 두 개는 하단에 배치되고 그 상단에는 파수호 세 개가 층층이 배열되었다. 수수호의 크기는 길이 11척 2촌(약 3.4m)이고 원의 직경 1척 8촌(약 56㎝)이며, 수수호에는 각각 전(箋)이 설치되었다. 전의 길이는 각각 10척 2촌(약 3.1m)이었다. 전(箋)의 면(面)은 12시(時)로 나누고, 시(時)마다 8각(刻)으로 나누어 초정(初正)의 나머지를 백 각으로 나누고 한 각을 12분(分)으로 만들었다. 전(箋)에는 밤 시각을 측정하기 위한 야전(夜箭)도 있었는데, 전을 거북모양의 부표에 꽂아 수수호 안에 띄워두었다. 전(箋)의 좌우측에 끼워져 있는 동판에는 12시와 5경 5점을 알려주는 쇠구슬 고임장치가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미리 정해진 시각이 되면 작은 구슬을 낙하시켜주는 물시계 장치, 12시와 5경 25점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알림장치, 그리고 이 두 가지 장치를 접속해주는 연결기구가 있었다.

이 같은 자격루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파수호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수호로 들어가 전(箋)이 떠오르면 부력이 지렛대와 쇠구슬에 전해지고, 쇠구슬이 떨어졌다. 작은 구슬 37개와 구슬통 37개, 작은 구슬을 순서대로 낙하시켜주는 구멍기구 37개, 큰 구슬 37개를 순서대로 방출시켜주는 숟가락 모양의 지렛대 기구 37개가 작동하여 두 개의 보시기계, 즉 현대 시계의 “알람 기능”을 맡는 기구에 동력을 공급하였다. 12개의 큰 구슬은 차례대로 12시 기계를 작동시켜 인형이 종을 울리게 하고, 이어서 12개의 팻말을 잡은 보시인형이 배열된 수직축 바퀴를 30도씩 회전시켜주는 탈진기구(escapement)를 작동시켜 보시인형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켰다. 25개의 큰 구슬 가운데 5개는 10개의 숟가락 기구와 10개의 통로 개폐 기구를 작동시켜 경의 숫자대로 북을 울려 5경과 매경의 초점을 알렸다. 나머지 20개는 5개의 숟가락 기구와 8개의 통로 개폐 기구를 작동시켜 징을 울려 매경의 2, 3, 4, 5점을 알렸다. 이러한 시보과정은 저장된 37개의 큰 구슬이 모두 낙하될 때까지 반복되었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조선 시대 한양에는 통행금지가 있었다. 밤 10시쯤 통행금지를 알리는 인경 종을 28번 쳤는데, 인경 시간은 보루각의 자격루에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인경의 타종은 보루각에서 시작되어 종루, 남대문, 동대문으로 이어졌고 도성의 4대문은 인경 소리와 함께 닫혔다. 인경 이후에는 딱딱이를 든 순라군들이 순찰을 돌았다. 새벽 4시경에는 통행금지의 해제를 알리는 파루(罷漏) 북을 쳤다. 인경은 종으로, 파루는 북으로 친 이유는 밤과 낮이 음양으로 다르듯 잠자고 일어나는 시간을 알리는 인경과 파루도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쇠로 된 종은 음으로 밤과 잠을 상징하였고, 나무와 가죽으로 된 북은 양으로 낮과 활동을 상징하였다. 실제로 조선건국 직후에는 파루에 북을 쳤다. 그러나 가뭄에는 파루에도 종을 쳤는데, 음기가 부족해 가뭄이 발생한다고 여겨 종으로 음기를 북돋으려는 방책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가뭄이 반복되었으므로 이러한 방책은 거의 일상화되었고, 이로 인해 점차 인경과 파루를 종과 북으로 구분하던 원칙도 사라졌다.

참고문헌

  • 『新增東國輿地勝覽』
  • 남문현,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