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화석포(六花石砲)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21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와 조선시대의 화약 병기로, 둥근 형태의 돌로 만든 포환을 발사하는 무기.

개설

육화석포(六花石砲)는 조선시대의 완구(碗口)와 비슷한 것으로, 둥근 형태의 돌로 만든 포환을 발사하는 무기로 추측된다. 완구는 대포의 탄환이 나가는 구멍인 포구(砲口)가 밥그릇[碗] 모양으로 생겨서 붙은 이름이다. 완구는 사거리가 짧고 수평 발사가 불가능하지만, 구경(口徑)이 크고 무거운 돌을 발사하기 쉬워서 고려 말기에 최무선이 개발한 육화석포 이후에 조선후기까지 성이나 요새를 공격할 때 주로 쓰였다.

연원 및 변천

고려 말에 이르러 끊임없이 침입하는 왜구들을 막기 위해 화기를 제조하는 일이 사회적 급선무였다. 최무선의 건의로 1377년(고려 우왕 3)에 화약과 화기 제조를 담당할 전문기구인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이 화통도감에서 육화석포를 비롯하여 18종의 각종 화기와 발사물이 제작되었다. 이때부터 고려의 화약 및 화기의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문헌자료가 간략하여 화포의 형태나 성능, 특성, 위력 등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의 완구포와 비슷한 것으로 추측된다. 발사될 때 나오는 불꽃이 여섯 가지 색깔을 낸다 하여 ‘육화석포’라 불린 것 같다. 이러한 형태의 화포는 조선시대에 성이나 요새를 공격하는 공성용 화포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형태 및 용도

완구는 포구가 밥그릇 모양처럼 생겨 완구라고 한다. 완구는 포신 속의 빈 부분인 포강이 없고, 약실과 포탄을 담는 완구만 있기 때문에 사거리가 짧고 수평 발사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구경이 크고 무거운 돌을 쏘기에 적합하여 성이나 요새를 공격하는 공성용 화포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사편찬위원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두산동아, 2007.
  • 김기웅 외, 『한국무기발달사』, 국방군사연구소, 1994.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박재광, 『화염 조선-전통 비밀 병기의 과학적 재발견』, 글항아리, 2009.
  • 이강칠, 『한국의 화포-지화식에서 화승식으로』, 동재, 2004.
  • 채연석, 『한국초기화기연구』, 일지사, 198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