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한합방성명서(日韓合邦聲明書)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3:1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일진회(一進會) 회장 이용구(李容九)가 일본 천황과 통감부에 대한제국과 일제의 합방을 청원하였던 성명서.

개설

1909년(순종 2) 12월 3일 경성의 종로구 상업회의소에서 일진회와 대한협회의 정견위원회가 개최되었다. 회의는 결렬되었지만 저녁에 재차 일진회의 임시 총회가 열렸다. 일진회장 이용구는 임시 총회에서 합방론을 주장하면서 시국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였고 참석한 일진회 회원들은 만장일치로 결의하였다. 이용구는 12월 4일에 일진회 회원의 명의로 순종과 내각, 통감부에 일한합방상주문(日韓合邦上奏文)을 제출하고 1,000,000명 회원의 연명이라는 일한합방성명서를 발표하였다. 성명서의 발표와 함께 한일 병합 요구가 공개적으로 진행되었고 국내 여론은 찬반으로 분열되어 갈등을 빚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義] 제3대 통감이 부임하면서 적극적인 한일병합 정책이 추진되었다. 그는 일진회를 비롯한 친일단체를 이용하여 대한제국 내 여론을 분열시켜 강제 병합의 토대를 다졌다. 이를 위한 계책으로 일진회의 합방성명서가 나왔던 것이다.

내용

일한합방성명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이 청국과 러시아를 상대로 전쟁에서 승리하여 한국의 안전을 보장해 주었고 독립을 확고히 해 주었다. 그런데도 한국은 정사를 어지럽히고 일본의 호의를 배격하여 스스로 독립할 수 있는 기회를 버렸다. 특히 순종의 즉위 후 시정을 개선할 기회가 있었으나 오히려 헤이그밀사나 안중근 사건이 발생하였으니 모두 한국인이 일본인의 신의를 저버린 것이다. 한국의 정치는 이미 국내인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한일 간의 병합만이 소생할 길이다. 단군으로부터 4,000년의 역사와 태조가 500년 왕업을 창시한 큰 터전인 종묘사직을 길이 편안하게 하고 신성한 민족을 편안하게 하는 방법은 합방뿐이다(『순종실록』 2년 12월 4일).”

변천

일진회는 일한합방성명서 2,300여 통을 한국의 모든 고관 신사들에게 발송하였다. 이완용 내각에서도 일진회의 성명서를 반려하였는데, 전국적으로 찬반 논의가 크게 일었다. 결국 1910년 8월 일제에 의하여 대한제국이 병합되면서 일진회의 소망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일합병 직후 일제는 더 이상 효용 가치가 없어지고 한국인 사이에 적대적인 단체로 찍힌 일진회를 해산시켜 버렸다.

참고문헌

  • 『매일신보(每日申報)』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 1967.
  • 국사편찬위원회, 『통감부문서』 9~10, 1999~2000.
  •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 임경석·김영수·이항준, 『한국근대외교사전』, 성균관대학교, 2012.
  • 서영희, 「『국민신보』를 통해 본 일진회의 합방론과 합방정국의 동향」, 『역사와현실』 69, 2008.
  • 이태훈, 「일진회의 ‘보호통치’ 인식과 ‘합방’의 논리」, 『역사와현실』 78, 2010.
  • 조항래, 「일진회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