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생전(延生殿)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2:5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복궁 강녕전의 동소침.

개설

연생전(延生殿)은 경성전(慶成殿)과 함께 강녕전(康寧殿)의 동서 소침을 이루는 건물이다.

위치 및 용도

연생전은 경복궁 내전의 강녕전 동쪽에 서향으로 배치되었다. 강녕전의 동소침(東小寢)으로 침전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되었다.

변천 및 현황

조선 개국 직후에 경복궁의 동소침으로 지어졌으며(『태조실록』 4년 9월 29일), 판삼사사(判三司事)정도전(鄭道傳)이 연생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전각의 이름은 하늘과 땅은 만물(萬物)을 봄에 낳게 하여 가을에 결실하게 하는 천지의 운행(運行)에 근거하여 동소침 연생전과 서소침 경성전으로 정하였다. 왕이 천지가 생성하는 것을 본받아서 그 정령을 밝히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태조실록』 4년 10월 7일).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고종대에 이르러 복구되었다. 연생전은 다시 1876년(고종 13)에 불타 전소되었다(『고종실록』 13년 11월 4일). 고종대에 중건할 때 서사관(書寫官)은 이재원(李載元)이었으며(『고종실록』 2년 9월 17일), 재차 중건할 때에는 상량문제술관(上樑文製述官)에 김재현(金在顯), 서사관에 이순익(李淳翼), 현판서사관(懸板書寫官)에 민정식(閔正植)을 제수하였다(『고종실록』 25년 5월 19일). 1917년에 창덕궁 내전 화재를 복구하는 데 재목이 소용되면서 훼철되었다가(『순종실록』 10년 11월 27일) 1995년에 복원되었다.

형태

조선 개국 직후 창건 당시에는 ‘동소침 3칸’으로만 기록되었다. 조선전기의 경복궁을 그린 여러 그림에 묘사되었는데, 창건 당시에는 연침 즉 강녕전의 앞을 가로로 지나는 행각에 연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전기의 모습을 묘사한 「경복궁고도(景福宮古圖)」 등에는 강녕전과 교태전(交泰殿) 사이의 행각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형태가 다르다.

「북궐도형(北闕圖形)」에는 퇴칸을 포함하여 정면 7칸, 측면 4칸의 규모로 그려졌다. 강녕전의 동쪽에 동향으로 배치되었으며, 정면 북쪽 퇴칸으로부터 강녕전 남쪽 퇴칸에 복도가 연결되었던 흔적이 있다. 『진찬의궤(進饌儀軌)』 등의 도판 자료에서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경복궁 내전에서 일어난 화재를 전후하여 연생전과 강녕전 사이를 연결하던 복도의 형태는 정식의 구조체였던 것이 간이 구조로 바뀌었다.

서향한 경성전의 중앙부에는 정면에 2칸의 대청이 있고 퇴칸을 포함하여 남쪽으로 2칸, 북쪽으로 3칸의 온돌방이 각각 연결되어 비대칭적 구성을 하였다. 서쪽 전면부를 제외하면 온돌방 주변의 퇴칸도 모두 방이었다. 팔작의 기와지붕이며, 지붕마루에 회를 바르는 양성바름, 즉 양상도회로 지붕마루를 장식하고 잡상을 얹었다. 사각형 기둥에 이익공을 얹은 구조이다. 마주 보는 경성전과 동일한 형태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세종대에 연생전에 벼락이 쳐서 궁녀인 사기(司記) 차씨(車氏)가 죽는 일이 있었다(『세종실록』 26년 7월 10일).

참고문헌

  • 『진찬의궤(進饌儀軌)』「경복궁고도(景福宮古圖)」「경복궁배치도(景福宮配置圖)」「북궐도형(北闕圖形)」
  • 경세진·조재모, 「조선후기 궁중연향시 숙설소와 중배설청의 배치와 운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24권 6호, 2015.
  •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