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북문(拱北門)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2:57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덕궁 대보단의 남문.

개설

대보단(大報壇)은 창덕궁 서북쪽에 위치한 제례 시설이다. 1704년(숙종 30) 임진왜란 때 군병을 보내 조선을 도운 명나라 신종(神宗)을 향사하기 위해 만들었다. 명나라 황제를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황단(皇壇)이라고도 칭하였다. 원래 이곳에는 별대영(別隊營)의 창고가 있었는데, 창덕궁 궁장 바깥쪽에 해당한다. 북쪽에는 단유(壇壝)를 설치했고, 단 남쪽에는 중문을 두었고, 중문 남쪽에 남문을 두었으며, 동쪽에 조종문(朝宗門)을 두었다.

최초에 대보단을 건립할 때 동문만 이름을 갖고 있었고 중문과 남문은 따로 이름이 없었다. 1745년(영조 21)에 영조가 대보단 남문에 따로 이름이 없어 원경하(元景夏)에게 이름을 짓도록 했다. 그 결과 대보단 남문의 명칭을 공북문(拱北門)이라고 지어 편액을 내걸었다(『영조실록』 21년 3월 7일). 또 1749년(영조 25)에는 중문의 이름을 열천문(冽泉門)이라고 했다.

공북은 『논어(論語)』「위정편」의 “정치를 덕으로 하는 것은 마치 북극성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어도 모든 별이 이를 향하는 것과 같다[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 共之].”에서 나온 것으로 온 세상의 백성이 천자(天子)의 덕에 귀의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내용

『승정원일기』 1704년(숙종 30) 11월 13일자 기록에는 새로 대보단을 설치할 때 사용할 제기(祭器)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의례를 진행할 때 신하들이 어떤 통로를 이용해야 할지, 대보단의 수직군사를 어떻게 할지에 대한 논의가 실려 있다. 이들 중 통로로 이용할 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당시 남문인 공북문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원래는 대보단에서 제례가 치러질 경우 신하들은 요금문(曜金門)을 통해 창덕궁 내부로 들어와서 명례문(明禮門)을 거쳐 조종문(朝宗門)을 통해 대보단에 출입하도록 계획했다. 하지만 명례문은 창덕궁 후원 안쪽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제례 때 많은 백관이 후원에 번잡하게 출입하는 것은 미안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신 대보단 외면에 작은 문을 하나 만들어서 신하들과 각 관청의 하인들은 이 문을 통해 출입하도록 하자고 했다. 이 제안이 받아들여져 대보단 남쪽에 소문(小門)이 만들어졌다. 이 문은 다른 후원의 문들과 같이 안쪽에서 개폐하게 했다.

또 동절기에 눈을 치우는 군인들은 이 문을 통해 출입하도록 했다. 대보단 남쪽에 소문을 설치하면서 제례에 참여하는 신하나 하인 들은 창덕궁의 서북쪽 출입문인 요금문을 통과할 필요가 없어졌다. 다만 궁궐 외부에서는 공북문을 통해 곧바로 대보단에 진입할 수 있었다. 향축(香祝)은 인정문(仁政門)에서 명례문까지 길을 새로 만들어 명례문을 통해 출입하도록 했다. 그 결과 제례에 참석하는 신하들의 동선과 향축의 동선이 전혀 겹치지 않게 됐다. 대부분의 제향 시설에서 남문은 정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공북문은 남문이지만 기능적으로는 정문과 거리가 멀다.

『궁궐지(宮闕誌)』에 따르면 대보단에는 남행각 14칸이 있는데 여기에 공북문이 포함되었다고 했다. 『황단의(皇壇儀)』 도설에는 공북문 좌우로 동변과 서변 모두 누상누하고(樓上樓下庫)가 5칸이라고 기록하여 동서익랑 5칸씩이 모두 중층으로 만들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서쪽으로 1칸, 동쪽으로 2칸의 낮은 행각이 덧붙여져 있다. 한편 『황단증수의(皇壇增修儀)』 도설에는 공북문 좌우로 동서익랑 5칸이 묘사되었고 여기에 더해 좌우행각이 2칸씩 부가되었다. 그 결과 남행각이 총 15칸인 것처럼 그려졌다. 『궁궐지』의 내용을 참조한다면 『황단중수의』 도설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궐도(東闕圖)」에 묘사된 대보단 남행각은 14칸으로 그려져 『황단의』에 묘사된 것과 크기가 같다. 단지 중층으로 묘사된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공북문을 중심으로 동익랑은 5칸이 중층인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서익랑은 단지 2칸만 중층인 것으로 표현했다.

참고문헌

  • 『궁궐지(宮闕誌)』
  • 『황단의(皇壇儀)』
  • 『황단증수의(皇壇增修儀)』
      1. 그림1_00017954_「동궐도」, 창덕궁 대보단의 중문과 남문 부분,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