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령진(仇寧鎭)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2:5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평안도 삭주군에 설치되어 만호가 관할하던 진.

개설

구령진은 평안도 강변 7읍 중 하나인 삭주군에 설치되었던 군사시설이다. 강변 7읍은 압록강 이북으로부터 이민족의 침입을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그중에서도 삭주군(朔州郡)은 압록강 하류인 의주부 인근에 위치하여 월경(越境)이나 불법 무역을 감시하고, 불시 침입에 대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18세기 초반 삭주군에는 3개의 진보가 배치되어 있었다. 구령진은 삭주군에서 유일하게 압록강 변에 설치된 진보였다.

위치 및 용도

구령진은 평안도 삭주군에서 북쪽으로 35리(약 14㎞) 거리에 있는 압록강 변에 위치하였다. 삭주군은 의주부와 창성군 사이에 있던 고을로서 압록강 건너 청의 여러 마을과 마주 보고 있었다. 구령진을 기준으로 압록강 하류로는 의주부의 청수진(靑水鎭)·청성진(淸城鎭)·방산진(方山鎭)·옥강진(玉江鎭)·수구진(水口鎭) 등이 배치되어 있었고, 상류로는 창성군(昌城郡)의 갑암보(甲巖堡)·운두리보(雲頭里堡)·묘동보(廟洞堡)·어정보(於汀堡) 등이 차례대로 위치하였다. 구령진은 의주에서 창성을 잇는 압록강 하류 방어선에서 지리적으로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다.

구령진의 역할은 외적의 방어와 감시였다. 평안도의 방어체제는 기본적으로 순(巡)·병영(兵營)―주진관(主鎭管)·독진(獨鎭)―진보(鎭堡)―파수(把守)로 이어지는 구조였다. 여기에 지휘체계가 미치기 어렵거나 주요한 군사적 요충지에는 추가적으로 방어영(防禦營)을 설치하였다. 또한 평안도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독진(獨鎭)이 많이 편성되어 있었는데, 이는 적의 침입 경로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압록강 변을 모두 독립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다. 구령진과 같은 진보는 평안도 최전방과 내지의 요충지에서 실질적인 방어를 담당하는 군사시설이었다. 진보는 적 침입 시 일차적인 방어처로서 각지에 있는 봉수(烽燧)와 파수(把守)를 관리하였다.

변천 및 현황

조선초기만 하더라도 삭주군에 소속된 구자(口子)였다(『세종실록』 21년 3월 19일). 구자란 변방 지역 요충지에 설치되었던 작은 규모의 군사시설을 말한다. 구령구자(仇寧口子)는 평안·함길도도체찰사였던 병조판서황보인(皇甫仁)의 건의에 따라 1440년(세종 22) 석보(石堡)를 쌓았고, 삭주 천호(千戶)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지키도록 하였다(『세종실록』22년 7월 29일).

조선전기 정비되었던 평안도 진보는 임진왜란 등 전란을 겪으면서 크게 약화되었다. 구령진은 17세기 초반 최현(崔晛)의 『인재집』에 따르면 실제 군액이 40여 명에 불과했다. 사실상 방어적 기능보다는 적의 동태를 감시하는 부분적인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병자호란 패배로 인한 청의 감시와 군사 재정상의 문제로 인해 17세기 후반까지도 정상적으로 복구되지 못한 상태였다.

구령진은 현종대부터 시작하여 숙종 즉위 후 본격화된 평안도 지역 군제 복구 사업과 함께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이 시기 복구된 평안도의 진보는 『속대전』을 기준으로 총 62곳이었다. 18세기 구령진은 군병 약 482명이 소속된 만호가 지휘하는 진으로 운영되었다.

형태

석축(石築) 형태의 시설로 둘레 길이는 2,817척(약 854m) 높이가 8척(약 2.4m)이었다. 18세기 중반 기준으로 군병은 총 482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인재집(訒齋集)』
  • 강석화,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압록강변의 방어체제」,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고승희,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도로 방어체제의 정비」,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이철성, 「17세기 平安道 ‘江邊 7邑’의 방어체제」, 『한국사학보』13, 고려사학회, 2002.
  • 임성수, 「18세기 평안도 鎭堡 재정의 운영과 변화」, 『한국사학보』46, 고려사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