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원문(興元門)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흥원문 |
한글표제 | 흥원문 |
한자표제 | 興元門 |
상위어 | 궁문(宮門) |
관련어 | 경덕궁(慶德宮), 경희궁(慶熙宮) |
분야 |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후기 |
집필자 | 신지혜 |
장소 | 경희궁 |
규모(정면/측면/칸수) | 정면 1칸/측면 1칸/총 1칸 |
양식 | 목조, 맞배지붕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흥원문(興元門)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순조실록』 19년 윤4월 29일 |
경희궁 동편의 궁장에 설치된 궁문.
개설
1617년(광해군 9)에 광해군은 인왕산 아래에 경덕궁을 새롭게 짓기 시작하였으며, 1620년(광해군 12)에 완공하였다. 1617년에 궁궐을 조성할 때 경덕궁(慶德宮)이라 궁호를 정했으나, 1760년(영조 36)에 경희궁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경희궁을 처음 조성할 때 궁역을 둘러 궁장(宮墻)을 쌓고 사방에 문을 두었다. 경희궁의 동측 궁장 남쪽 하단에는 정문인 흥화문(興化門)이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 북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흥원문(興元門)이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흥원문 안쪽에는 상의원(尙衣院)이 있다. 흥원문 밖에는 인달방(仁達坊)과 적선방(積善坊)이 있는데, 이곳에 내섬시(內贍寺)와 봉상시(奉常寺), 훈국신영(訓局新營) 등의 관청 건물이 있었다.
위치 및 용도
흥원문은 경희궁 궁장의 동쪽에 있는 작은 문으로 대비전인 장락전(長樂殿)과 동궁이 머물던 집희당(緝熙堂)과 경선당(慶善堂)에서 가깝다. 1819년(순조 19)에 왕세자빈을 간택하기 위하여 간택 장소를 경희궁의 대비전인 장락전으로 정하고 흥원문을 통하여 장락전에 이르도록 하였다(『순조실록』 19년 윤4월 29일).
변천 및 현황
흥원문은 경희궁의 전각들이 철거되고 궁궐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사라졌다. 고종은 경복궁을 중건하기 위하여 경희궁의 건물을 철거하여 그 재목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1868년(고종 5)에 경희궁은 공허지가 되어 용동궁(龍洞宮), 수진궁(壽進宮), 명례궁(明禮宮), 어의궁(於義宮)과 함께 경작지로 분배되었다. 이때 경희궁의 건물들이 대거 철거되기 시작하였다. 1892년(고종 29)경에 그려진 「슈션젼도[首善全圖]」에는 경희궁의 궁장과 궁문이 그대로 그려졌으나, 1911년에 제작된 「경성부시가도(京城府市街圖)」에는 경희궁의 경계가 반듯하게 정리되었다. 아마도 이즈음에 궁장이 허물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형태
「서궐도안(西闕圖案)」에 흥원문의 모습이 동쪽 궁장 사이에 그려져 있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참고문헌
- 『궁궐지(宮闕志)』「서궐도안(西闕圖案)」
-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지도』, 범우사, 1994.
- 은정태, 「고종시대의 경희궁-훼철과 활용을 중심으로-」,『서울학연구』34,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