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이진(包伊鎭)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포이진 |
한글표제 | 포이진 |
한자표제 | 包伊鎭 |
상위어 | 진보(鎭堡) |
관련어 | 영도진(影島鎭) |
분야 |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허지은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포이진(包伊鎭)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27년 9월 12일 |
수군절도사가 주재해 있던 경상좌수영에서 관장하던 진보.
개설
경상좌수영에서 부산진(釜山鎭)·다대진(多大鎭)·개운진(開雲鎭)·서생진(西生鎭)·두모진(豆毛鎭)·서평진(西平鎭)·감포진(甘浦鎭)·칠포진(漆浦鎭)·축산포진(丑山浦鎭)과 함께 관장했던 진보(鎭堡)였다.
위치 및 용도
수영교(水營橋) 다리 부근.
변천 및 현황
개운진, 서평진, 포이진은 경상좌수영의 속진(屬鎭)이었다. 그 가운데 포이는 아주 가까운 데 있어 호흡이 서로 잘 맞았으나 3개 진을 모두 혁파하고 영도진(影島鎭)에 합설(合設)하였다. 이에 영도진은 꽤 견고해졌는데, 본영보다도 강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영도진의 전선(戰船)은 3척이었는데, 이는 본영의 선척 수와 같았다. 경상좌수사이재호(李在頀)는 영도진에 합설한 3개 진 가운데 1개 진을 본영에 소속시켜 달라고 요청하여 의정부(議政府)에서 포이진을 본영에 환속시켰다(『고종실록』 27년 9월 12일).
참고문헌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