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해신어(捷解新語)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첩해신어 |
한글표제 | 첩해신어 |
한자표제 | 捷解新語 |
상위어 | 역학(譯學), 왜학(倭學) |
관련어 | 강우성(康遇聖), 첩해신어문석(捷解新語文釋), 사역원(司譯院), 역관(譯官)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문헌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정승혜 |
저편자 | 강우성(康遇聖) |
간행처 | |
간행년일 | 1676년(숙종 2) |
권책수 | 10권 10책 |
사용활자 | 한글, 한자: 무신자(戊申字), 일본문자: 왜언자(倭諺字) |
표제 | 捷解新語 |
소장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 외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첩해신어(捷解新語) |
조선중기의 사역원 역관강우성이 일본어 학습을 위하여 편찬한 책.
개설
책 이름의 ‘첩해신어(捷解新語)’는 ‘새 말을 빨리 깨우친다.’는 뜻으로, 여기서의 ‘신어(新語)’는 임진왜란 이후 실제로 일본인들에게 배운 새로운 일본어를 말하였다. 즉, 전 시대에 사용하던 ‘구어(舊語)’의 일본어 교재에 대하여 새로운 일본어 교재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었다. 사역원(司譯院)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전기에 사용한 일본의 훈몽(訓蒙) 교과서들 대신 『첩해신어』 한 종만을 사용하였는데, 갑오경장으로 사역원을 폐지할 때까지 공식적인 일본어 교재는 『첩해신어』 하나였다.
편찬/발간 경위
『첩해신어』는 강우성(康遇聖)이 임진왜란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일본에 끌려갔다가 10년 만에 돌아와서, 왜관에 머무는 왜인을 접대할 때와 통신사행을 수행할 때 쓰던 말들을 모아 1676년(숙종 2)에 10권으로 편찬한 것이었다.
강우성이 쓴 초고는 1670년(현종 11)에 사역원 도제조정태화의 계청으로 교서관에서 주자로 간행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1676년(숙종 2)에 교서관에서 간행하였다. 그런데 개수 『첩해신어』의 범례에 의하면, 그 편성은 이미 1618년(광해군 10)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우성이 1609년(광해군 1)에 역과에 입격한 후, 부산의 왜학훈도로 있으면서 관왜들과의 통역 및 왜학생도들의 일본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1617년(광해군 9)부터 1636년(인조 15)까지 세 차례에 걸쳐 통신사행에 참여하여 일본으로 건너간 경험이 있음을 감안하면, 『첩해신어』의 원고는 1618년(광해군 10)에서 1636년(인조 15) 사이에 초고가 이루어져서 1676년(숙종 2)에 간행되기까지 몇 차례 수정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본다. 이렇게 마련된 수고본(手稿本)은 필사되어 전해졌으며 어느 시기엔가 정음으로 대역(對譯)과 주음(注音)이 이루어졌다. 이 원간본의 정음 대역과 주음이 누구의 손으로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며, 복수의 인원이 분담하여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이후 언어의 변화에 따라 1748년(영조 24), 1762년(영조 38) 두 번에 걸쳐 수정·간행되었다.
서지 사항
『첩해신어』의 원간본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두 질이 소장돼 있다(<奎貴 1638, 奎貴 1639>). 10권 10책의 활자본으로 한글과 한자는 무신자(戊申字), 일본문자인 가나(假名)는 왜언자(倭諺字)로 되어 있다. 이 왜언자는 안신휘(安愼徽)가 쓴 이로하(伊呂波)의 히라가나[平假名]를 자본(字本)으로 하여 1676년(숙종 2)에 주조한 활자로 ‘병진 왜언자’ 또는 ‘교서관 왜언자’라고도 하였다. 왜언자는 한자를 흘려 쓴 글자체이기 때문에 나무활자로 새기면 동일한 문자의 모양을 같게 할 수 없어 학습상 곤란하므로 각별히 주조를 계청해서 만들었다. 왜언자의 주조는 주로 단자식(單字式)이지만, 발음이 붙는 글자는 연자식(連字式)으로 한 것이 특징이었다. 이 연자식도 모양이 한결같이 똑같게 나타났다. 왜언자의 발음을 표기한 한글과 왜어 새김의 국한문 중 한글은 나무활자이고, 새김의 한자 작은 자와 제1권과 제10권말의 일본어 한자어 새김에 나타나는 한자 큰 자는 무신자의 작은 자와 큰 자였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에 반엽광곽(半葉匡郭)의 크기가 23.8×18.2㎝였다. 유계(有界), 6행 11자로 되어 있으며, 주쌍행(注雙行)이었다. 판심(版心)은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로 판심재(版心題)가 ‘捷解新語’로 되어 있었다. 간기는 ‘康熙十五年(1676)丙辰孟冬開刊’이 새겨져 있었다.
이 원간본은 교정되어 재판되었는데, 일본의 동경대학교와 대마도(對馬島)의 종가문고에 소장된 『첩해신어』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 활자본은 실제 역학생도들의 이용을 위하여 목판본으로 다시 간행하였는데, 고려대학교 만송문고(권1-3 1책)와 한글박물관(권4-7, 권8-10 2책)에 소장돼 있다. 이들은 본래 1질이었던 것이 각각 나뉘어 보관된 듯한데, 한글박물관 소장본은 최근까지 산기문고(山氣文庫)에 소장되었던 것이다.
구성/내용
『첩해신어』 원간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에서 권4까지와 권9의 전반부는 동래와 부산포의 조선 관리와 부산의 왜관(倭館)에 거주하는 일본인과의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내용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내왕과 접대·무역에서 사용하는 회화를 문답체로 엮었다. 권5에서 권8까지는 통신사(通信使)의 일행이 부산포를 떠나 쓰시마·오사카[大阪]를 거쳐 에도[江戶]를 다녀오는 동안에 일어난 일을 대화체로 엮어 일본어 회화를 학습하게 하였다. 권9의 후반부에는 당시 일본의 8주(州) 이름과 그에 속한 66군(郡)의 수효를 들었다. 권10은 당시 대왜 관계에 쓰이던 각종 공문서와 소로문체[候文體]의 서간문 서식을 예로 들었다. 권1과 권10의 권말에는 한자로 된 일본어의 난해어구를 우리말로 풀이하여 본문에 나타난 순서대로 모아 놓은 일종의 어록해(語錄解)가 있었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었다. 본문은 크게 일본어를 히라가나로 쓰고 그 오른편에 작은 글씨로 발음을 한글로 적었으며, 한 어구가 끝난 곳에 두 줄로 우리말의 해석을 역시 작은 글씨로 써 놓았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개수첩해신어(改修捷解新語)』
- 『동사록(東槎錄)』
- 『변례집요(邊例集要)』
- 『부상록(扶桑錄)』
- 『증정교인지(增訂交隣志)』
- 『통문관지(通文館志)』
- 정광, 『사역원 왜학연구』, 태학사, 1988.
- 정승혜,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태학사, 2003.
- 安田章, 『外國資料と中世國語』, 東京: 三省堂, 1990.
- 정광, 「첩해신어해제」, 『첩해신어』, 홍문각, 1990.
- 정승혜, 「첩해신어해제」, 『첩해신어』(규장각자료총서 어학편 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