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항검(柳恒儉)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10일 (수) 00:18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754년(영조 30)~1801년(순조 1) = 48세]. 조선 후기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천주교도로, <신유박해(辛酉迫害)> 순교자.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거주지는 전라북도 전주이다. 아버지는 유동근(柳東根)이고,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權氏)이다. 호남지역 천주교의 사도로 불린다.

정조~순조 시대 활동

1754년(영조 30) 전주 초남이(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의 부호(富戶) 집안에서 태어난 유항검(柳恒儉)은 1784년(정조 8) 조선에 정식으로 천주교가 창설된 직후 천주교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는데, 호남 지역에서 가장 먼저 신자가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에게 천주교 교리를 전파한 자는 경기도 양근 지역에서 활동하던 권일신(權日身)으로 그의 집에서 권철신(權哲身)과 문하생들이 서학(西學)을 공부한다는 소식을 듣고 유항검이 직접 방문하여 천주교 교리를 배운 후 세례를 받았다.

입교 직후 고향으로 돌아와서는 가족과 친척, 노비 등에게 천주교를 전파하기 시작하였다. 1786년(정조 10) 이승훈(李承薰)을 비롯한 당시 천주교 지도자급 신자들이 모임을 갖고 자신들 임의로 가성직자단을 만들었는데 유항검은 이때 전라도 지역의 신부로 임명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얼마 후 이들은 자신들의 이 같은 행위가 천주교 교리에 어긋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모든 활동을 중단하였다.

이후 조선 천주교의 지도자급 신자들은 북경교회에 조선 천주교의 사정을 알릴 수 있는 밀사 파견을 준비하였는데, 유항검은 1789년(정조 13) 말 윤유일(尹有一)이 북경(北京)에 파견될 때 필요한 자금을 헌납하였다. 1790년(정조 14) 북경의 구베아(A. Gouvea) 주교가 조상제사에 대한 금지령을 내리자 유항검은 교회의 명을 충실히 지키기 위해 신주를 땅에 묻고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그러나 이듬해인 1791년(정조 15) 이종사촌인 윤지충(尹持忠)이 제사를 지내지 않은 일로 체포되어 <신해박해(辛亥迫害)>가 발발하자, 잠시 다른 곳으로 피신했다가 전주 감영에 자진출두하여 배교한 뒤 석방되었다.

석방 이후 유항검은 다시 신앙생활을 계속하였는데, 1794년(정조 18) 말 주문모(周文謨) 신부가 입국하였다는 소식을 듣고는 동생 유관검(柳觀儉)을 보내 전라도 순방을 요청하였다. 그런데 마침 조정에서 주문모 신부의 입국 소식을 알고 체포령을 내리자 주문모 신부는 지방으로 피신을 다녔고 그 과정에서 전라도 지역까지 내려와 유항검의 집에 방문하여 미사를 봉헌한 후 인근 신자들에게 세례를 주었다.

당시 조선에서 활동하던 주문모 신부는 북경의 구베아 주교에게 선교사를 태운 서양 선박을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계획을 세웠는데 유항검이 이 일에 앞장서 참여하였다.(『순조실록(純祖實錄)』 1년 4월 25일) 그러나 이 일이 성사되기 전 1801년(순조 1) 어린 순조(純祖)를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천주교를 사학(邪學)으로 규정하고, 천주교에 대한 금압령을 내리면서 천주교도들을 탄압하는 신유박해가 시작되었다.(『순조실록(純祖實錄)』 1년 1월 10일) 이때 전국에서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기 시작하였고, 유항검 또한 그해 3월에 전라도 지역 교회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어 전주 감영에 체포되었다.

심문 과정에서 “서양 군함이 나와 조정에서 말을 순순히 듣지 않는다면 무력으로 한바탕 결판을 내려야 한다”고 한 사실이 밝혀져 서울로 압송되어 포도청, 형조, 의금부에서 계속하여 심문을 받았으나 유항검은 아무런 진술을 하지 않았고, 결국 대역부도의 죄목을 들어 사형선고가 내려졌다.(『순조실록』 1년 9월 11일) 다시 전주로 이송된 유항검은 그해 9월 17일 전주 풍남문 밖에서 능지처사형으로 사망하였으니, 당시 그의 나이 48세였다.

성품과 일화

유항검의 성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유항검은 천주교에 입교한 이후 빈부귀천을 따지지 않는 교회의 가르침을 몸소 실천하며 모두에게 모범을 보였고, 가난한 이웃과 노비들에게 애긍을 베풀었다. 그가 교리를 배우고 복음을 전했던 모습에 대해서 “처음 교리를 듣자마자 그의 올바른 영혼은 진리의 빛을 따랐고, 이를 지체 없이 실천하기 시작했으며, 자신의 집에 돌아온 뒤로는 많은 가족들에게 이를 알렸는데, 그들 역시 복음을 받아들였다. 그가 지방(전주)에서 누리던 크나큰 존경과 영향력은 그가 친구와 지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그는 확실히 이 지방 교우공동체의 기반이었고, 어떤 사람들은 그가 남부지역의 신부로 지명됐다고 말하기까지 하지만 충분한 증거는 없다.”라고 전한다.[다블뤼, 『조선 주요 순교자 약전』]

참고문헌

  • 『순조실록(純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사학징의(邪學懲義)』
  •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벽위편(闢衛編)』
  • 다블뤼, 『조선 주요 순교자 약전』
  •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 한국교회사연구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