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적후라(賀赤厚羅)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1:48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전기에 사역원의 몽학에서 사용한 몽골어 교재.

개설

『하적후라(賀赤厚羅)』는 1430년(세종 12) 상정소(詳定所)에서 제학(諸學)의 취재에 출제서를 정하여 보고한 계문(啓文)(『세종실록』 12년 3월 18일)에 몽골어의 역관 취재에 사용할 출제서로 들어 있었다. 또 『경국대전』 「예전」 역과몽학의 과시서에는 『하적후라(何赤厚羅)』가 있는데, 한 글자가 다르지만 동일한 몽골어 교재를 말하였다. 『통문관지(通文館志)』(권2) 「과거(科擧)」 몽학팔책(蒙學八冊)조에도 『하적후라(何赤厚羅)』가 보여 이 시대 몽골어 교재였음을 알 수 있으나 원전이 전하지 않아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었다.

편찬/발간 경위

하적후라(賀赤厚羅, 何赤厚羅)는 몽골어로 ‘우수함’이라는 뜻의 ‘Haci hure, Aci ure’를 한자로 전사한 것으로 보인다. 『하적후라(賀赤厚羅)』는 몽골인의 훈몽(訓蒙) 교재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후기에 사역원에서 수입하여 몽골어 교재로 편찬하였으나 왜란과 호란에 잃어버려 조선후기에는 사용이 폐지되었다.

서지 사항

원전이 전하지 않는다.

구성/내용

책 이름으로 보아 모범적이고 우수한 아동의 예를 들어 몽골인들이 사용한 훈몽서(訓蒙書)로 보인다. 조선전기에 역과(譯科)와 각종 취재(取才)에서 몽학(蒙學), 즉 몽골어의 출제서로 사용되었다. 어린이 교육을 위한 교재는 몽골족을 비롯한 북방민족의 관례로 보이며 아마도 훌륭한 아동의 덕목을 제시한 내용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정광, 『역학서 연구』, J&C, 2002.
  •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교육』, 김영사, 2014.
  •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