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경(金之慶)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10일 (수) 00:01 판 (XML 가져오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419년(세종 1)~1485년(성종 16) = 67세]. 조선 초기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집현전(集賢殿) 직제학(直提學)과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예문관(藝文館)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했다. 자는 유후(裕後)이고, 호는 송파(松坡)이다.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김지(金地)이고, 어머니는 오씨(吳氏)이다. 할아버지는 김양보(金揚普)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김주(金澍)이다.

세종~세조 시대의 활동

1439년(세종 21) 친시(親試) 문과에 병과 8등으로 급제하여 교서관(校書館) 교감(校勘)에 제수되었다. 이후 집현전 정자(正字), 예문관 검열(檢閱), 성균관(成均館) 사예(司藝) 등의 직책을 거쳤는데, 1450년(문종 즉위년)에는 춘추관(春秋館) 기주관(記注官)으로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방목(榜目)』],[『세종실록』 편수관명단],(『문종실록』 즉위년 9월 7일),(『성종실록』 16년 7월 8일)

1453년(단종 1)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에 임명되어,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환관들을 봉군(封君)한 일이 옳지 않다는 상소를 지속적으로 올려 환관들에 대한 봉군을 취소하게 만들었다.(『단종실록』 1년 11월 8일),(『단종실록』 1년 11월 21일),(『단종실록』 1년 11월 24일),(『단종실록』 1년 11월 25일),(『단종실록』 1년 11월 26일),(『단종실록』 1년 11월 30일),(『단종실록』 1년 12월 21일),(『성종실록』 17년 7월 8일) 이어 1454년(단종 2)에는 여러 도(道)의 공물 가운데 줄여야 할 것과 기한을 정해서 감면해야 할 것을 공안에 따라 고치도록 건의했다. 당시 수양대군(首陽大君)으로서 정권을 잡고 있던 세조(世祖)는 이 건의에 따라 평안도와 황해도의 공물을 면제해 주었다.(『단종실록』 2년 1월 15일) 아울러 춘추관 기주관으로서 『문종실록(文宗實錄)』의 편찬에도 참여했다.[『문종실록』 편수관명단]

1455년(세조 1)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어 1457년(세조 3)에는 세조의 명에 따라 『국조보감(國朝寶鑑)』의 찬술에 참여했다.(『세조실록』 3년 1월 8일) 같은 해 경상도 안동의 관노 이동(李同)이 중추원(中樞院) 판사(判事)이징석(李澄石)을 통해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자 세조는 김지경과 한성부서윤(漢城府庶尹)윤자(尹慈) 등을 각각 예천과 순흥 등에 보내 관련 인물을 국문하도록 했다.(『세조실록』 3년 6월 27일) 이듬해인 1458년(세조 4) 『신찬국조보감(新撰國朝寶鑑)』이 완성되면서 김지경은 포상으로 한 자급을 더해 통정대부(通政大夫)가 되었다.(『세조실록』 3년 1월 4일) 1463년(세조 9)에는 사헌부 집의(執義)에 제수되었으며, 1467년(세조 13)에는 도사(都司)의 선위사(宣慰使)로서 명(明)나라 사절단에 참여한 후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에 제수되었다.(『세조실록』 9년 2월 24일),(『세조실록』 11년 7월 3일),(『세조실록』 13년 8월 14일),(『세조실록』 13년 9월 13일)

1468년(세조 14) 김지경이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 인산군(仁山君)홍윤성(洪允成)의 노비들이 홍산정병(鴻山正兵)나계문(羅季文)을 살해한 일이 있었다. 이 일로 나계문의 아내 윤덕녕(尹德寧)이 행궁의 북문 밖에서 억울함을 상소하면서, 김지경이 왕명을 핑계로 홍윤성의 노비들을 모두 방면하고 나계문의 가족들을 구금했다고 했다. 이후 세조가 김지경을 불러 사건의 정황을 물었으나 제대로 대답하지 못했으므로 국문을 열고 김지경의 고신을 거두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세조의 건강이 안 좋아지면서 반역이나 살인자 이외에는 모두 놓아주도록 했는데, 이때 김지경 또한 고신을 돌려받았다.(『세조실록』 14년 2월 20일),(『세조실록』 14년 2월 22일),(『세조실록』 14년 3월 5일),(『세조실록』 14년 7월 20일),(『세조실록』 14년 7월 20일),(『세조실록』 14년 7월 21일)

예종~성종 시대의 활동

1469년(예종 1) 이조 참의(參議)에 제수되었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에 찬수관(纂修官)으로 참여했다.[『세조실록』 편수관명단],(『예종실록』1년 4월 30일) 같은 해 이조에서 관직을 배정할 때 이조 판서(判書)홍응(洪應)과 이조 참판(參判)이형(李衡) 등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갈 김지경의 품계를 더해주길 청했다. 그러자 예종(睿宗)은 개인적인 친분으로 김지경을 천거한다고 생각하여 홍응과 이형을 파직하고 김지경의 고신을 거두었으나, 아무런 혐의가 없는 것이 밝혀지자 곧 고신을 돌려주었다.(『예종실록』 1년 8월 7일),(『예종실록』 1년 8월 9일),(『예종실록』 1년 8월 10일),(『예종실록』 1년 8월 14일)

1470년(성종 1) 예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다.(『성종실록』 1년 4월 26일) 이듬해인 1471년(성종 2) 성종은 명나라에 보낸 사신들에게 정희왕후(貞熹王后)를 위해 불경을 구해오도록 했다. 그러자 김지경은 불교는 백성을 피폐하게 할 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불경을 사오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고 상소했으나, 성종은 듣지 않았다.(『성종실록』 2년 1월 20일),(『성종실록』 2년 1월 22일) 같은 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에 제수된 김지경은 식솔들을 다스리지 못한 죄로 좌의정에서 파직되었음에도 원상(院相)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김국광(金國光)과 병조 정랑(正郞)으로 있을 당시 군사의 녹패(祿牌)를 위조하였음에도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된 오백창(吳伯昌)에 대한 문제 제기를 했다. 또한 이런 사람들이 안팎으로 있으면 조정에 해가 된다며 이 두 사람의 파직을 청했으나 성종은 받아들이지 않았다.(『성종실록』 2년 11월 8일),(『성종실록』 2년 11월 13일),(『성종실록』 2년 11월 18일),(『성종실록』 2년 11월 21일),(『성종실록』 2년 11월 22일),(『성종실록』 2년 11월 23일),(『성종실록』 2년 11월 25일),(『성종실록』 2년 12월 1일),(『성종실록』 2년 12월 1일),(『성종실록』 2년 12월 2일),(『성종실록』 2년 12월 3일),(『성종실록』 2년 12월 4일),(『성종실록』 2년 12월 9일),(『성종실록』 2년 12월 12일)

같은 해 12월과 이듬해인 1472년(성종 3) 『세조실록』과 『예종실록(睿宗實錄)』이 각각 완성되면서 김지경은 거듭 포상을 받았으며, 이후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 참판(參判)을 거쳐 중추부(中樞府) 지사(知事) 겸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 제수되었다.(『성종실록』 2년 12월 18일),(『성종실록』 3년 5월 10일),(『성종실록』 3년 6월 22일),(『성종실록』 3년 6월 29일) 이 무렵 사헌부 지평(持平)박시형(朴時衡)이 성종에게 아뢰길, 대신에게 자질구레한 일을 맡기는 것은 마땅치 않은 일인데 요즘 대신이 작은 관사의 제조가 되는 일이 잦다고 했다. 또한 성종 즉위 초에는 원상과 함께 정사를 의논했지만 지금은 정사를 직접 결정하고 있으니 조정에 일이 있으면 승정원과 의논하고 대신에게는 사람을 보내 묻는 것이 옳다고 했다. 그러므로 원상을 없애는 한편 대신이 작은 관사에 있는 일을 없애는 것이 좋겠다고 건의했다. 이에 김지경은 박시형을 불러 아무런 의논도 없이 단독으로 이런 발언을 한 것을 나무랐고, 박시형은 성종에게 함부로 말한 것을 사죄하며 파직당하기를 청했다. 사헌부에서는 이와 같은 김지경의 언행을 두고 대신이 두려워서 박시형을 핍박한 것이니 김지경을 파직해야 한다고 청했으나, 성종은 듣지 않았다.(『성종실록』 3년 6월 19일),(『성종실록』 3년 6월 19일),(『성종실록』 3년 6월 19일),(『성종실록』 3년 6월 20일),(『성종실록』 3년 6월 21일),(『성종실록』 3년 6월 21일),(『성종실록』 3년 6월 26일),(『성종실록』 3년 7월 2일),(『성종실록』 3년 7월 9일),(『성종실록』 3년 7월 13일),(『성종실록』 3년 7월 24일)

1475년(성종 6) 김지경은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으려고 하자, 성종이 그를 직접 불러 평안도의 상황이 무척 안 좋으니 평안도 수령들의 불법 행위를 다스리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할 것을 당부했다.(『성종실록』 6년 8월 16일),(『성종실록』 6년 8월 26일) 같은 해 9월 평안도에서 구령보성(仇寧堡城), 동장성(東長城), 서장성(西長城) 등을 쌓았고, 1477년(성종 8)에는 성종의 명에 따라 평안도 의주(義州)의 소곶이역관[所串驛館] 근방에 있는 옛 성터의 상태를 살펴본 후 축성 여부와 그 기간에 대해 조사했다.(『성종실록』 6년 9월 30일),(『성종실록』 8년 6월 17일) 1478년(성종 9) 중추부 첨지사(僉知事)를 거쳐 1479년(성종10) 중추부 동지사(同知事)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품계를 올려 가정대부(嘉靖大夫)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에 임명되었다. 1485년(성종 16) 병으로 개성부유수에서 사직하자 성종은 그를 한직인 호군(護軍)에 임명하였으나, 김지경은 이듬해인 1486년(성종 17) 6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성종실록』 15년 9월 3일),(『성종실록』 17년 7월 8일)

성품과 일화

김지경의 성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일을 처리함이 바르고 상세했는데, 맡은 관직에 임해서는 부지런하고 몸가짐을 조심하면서 일을 열심히 했다. 또한 언관으로서 직언을 서슴지 않았으며 조금도 사사로운 마음으로 아첨하는 일이 없었다.

한편 사관이 논평한 바에 따르면, 김지경은 타고난 성품이 강직하고 정의심이 가득하여 지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일에 임해서는 열심히 하고 겉치레를 꾸미지 않아서 사람들이 모두 공경하고 중요하게 여겼다. 그러나 집을 다스림에 있어서는 담박한 데에 이르지 못했다고 한다.(『성종실록』 17년 7월 8일)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리에 있다.

부인 신천 강씨(信川康氏)는 영덕현감(盈德縣監)강거례(康居禮)의 딸로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은 중종(中宗) 대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金應箕)이다. 차남 김응규(金應奎)는 1477년(성종 7) 20세의 나이로 평안도의 향공(鄕貢)에 응시했으며 연이어 세 차례 장원을 차지했다. 그런데 진사(進士) 회시(會試)에 들어갔다가 시험장에서 죽었으므로 당시 여론이 애석하게 여겼다. 장녀는 돈용교위(敦勇校尉)최빈(崔彬)의 처이며, 차녀는 예문관 검열하윤(河潤)의 처이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문종실록(文宗實錄)』
  • 『단종실록(端宗實錄)』
  • 『예종실록(睿宗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보감(國朝寶鑑)』
  • 『추강집(秋江集)』
  •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