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吳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오자 |
한글표제 | 오자 |
한자표제 | 吳子 |
상위어 | 무과(武科), 복시(覆試), 무경칠서(武經七書), 강서(講書) |
하위어 | 도국(圖國), 요적(料敵), 치병(治兵), 논장(論將), 응변(應變), 여사(勵士) |
동의어 | 오기병법(吳起兵法), 오자병서(吳子兵書), 손오병법(孫吳兵法) |
관련어 | 오기(吳起), 손자(孫子), 사마법(司馬法), 위료자(尉繚子),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 삼략(三略), 육도(六韜)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문헌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시대 |
왕대 | 조선시대 |
집필자 | 곽낙현 |
저편자 | 오기(吳起) |
권책수 | 3권 6편 |
표제 | 오자(吳子), 오기병법(吳起兵法), 오자병서(吳子兵書)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오자(吳子)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2년 1월 6일 |
조선시대 무과의 복시에서 응시자가 강서에서 선택한 무경칠서 가운데 한 책.
개설
『오자(吳子)』는 무경칠서(武經七書) 가운데 한 책이다. 무경칠서는 『손자(孫子)』·『오자』·『사마법(司馬法)』·『위료자(尉繚子)』·『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삼략(三略)』·『육도(六韜)』 순으로 이루어졌다. 『오자(吳子)』는 『손자』와 더불어 무경칠서 중 가장 뛰어난 병서로 일컬어졌으며, 이 둘을 합쳐 흔히 ‘손오병법(孫吳兵法)’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오자(吳子)』는 무경칠서에 속하는 다른 책과 더불어 무과(武科)의 복시(覆試)에 응시하려는 응시생들의 교과서로 통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오자』는 전국시대 위(魏)나라 장수 오기(吳起)가 지은 병서였다. 『오자』 또는 『오기병법(吳起兵法)』·『오자병서(吳子兵書)』 등으로도 불렀다. 그의 병법은 3권 6편으로 구성되었다.
중심 내용은 오자와 위나라 문후·무후 사이에 주고받은 말들이 문답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문답이 아닌 것은 앞에 “오자가 가로되”라는 말을 붙이고 일반 원리를 설명하는 글로 되어 있었다. 실제 용병 작전의 일부 원리와 원칙 등을 제시하였으며 그 밖에 전쟁과 관계되는 철학 사상에 대해서도 일정하게 논하였는 점이 특징이었다. 그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이 세 가지인데, 첫째로 전쟁의 기원을 밝힌 것이고, 둘째로 전쟁 승리의 내적 요인을 천명한 것이며, 셋째로 생사 문제를 탐구한 것이었다. 또한 『오자』는 『손자』의 완벽하고 체계적인 전쟁 이론의 전략과 달리 실용성에서 출발한 전술에 치중하였다.
조선전기에는 무과 시험에 무예와 강서(講書)가 병행되었으나, 조선후기에는 무예만으로 무인을 선발하였다. 『오자』는 조선전기 무과의 복시에서 강서 과목으로 채택된 무경칠서 가운데 하나였다(『태종실록』 2년 1월 6일). 이러한 병서를 시험 보는 목적은 장수로서 지략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였다.
서지 사항
무경칠서의 두 번째 책에 해당하는 『오자』는 3권으로 이루어졌고, 도국(圖國)부터 여사(勵士)에 이르기까지 6편으로 구성되었다.
구성/내용
『오자』는 모두 6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표제를 간추려 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1편 도국은 전체의 서론에 해당하는 내용이자 『오기병법』 사상의 기반을 이루는 부분이었다. 무엇보다 백성들과의 인화(人和)를 다지고 안으로 문덕을 닦아야만 밖으로 무비(武備)를 다스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인(仁)·의(義)·예(禮)·도(道)에 의한 정치가 우선되어야만 군사를 길러 전쟁을 하고 승리를 거둘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2편 요적(料敵)은 적정(敵情)을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었다. 먼저 육국(六國)의 습성에 따른 장단점을 자세히 분석하여 각각의 나라를 상대하는 대책을 기술한 뒤, 구체적으로 적정을 살펴 교전해야 할 8가지 경우와 교전을 피해야 할 6가지 경우, 적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법과 허실(虛實)을 노려 공격하는 방법을 논하였다.
3편 치병(治兵)은 전쟁에 이길 수 있는 군사를 훈련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장비와 수레, 군마를 정비하고 병사와 고락을 같이 하며 훈련을 통하여 전투 기술을 숙지하게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4편 논장(論將)은 전쟁의 실질적 수행자인 장수의 자질을 논하였다. 장수는 병사를 수족처럼 운용하는 통솔력[理], 유비무환의 자세[備], 죽음을 각오하는 과단성[果], 언제든 신중한 경기태세[戒], 간단명료한 군령[約]이라는 자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용장(勇將)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5편 응변(應變)은 전쟁의 가장 실용적인 전술과 전략으로 임기응변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논한 것이었다. 병사의 중과(衆寡)에 따라 유리한 지형을 선점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펴며, 전거(戰車)와 기병(騎兵)·보병(步兵)을 적절히 운영하여 변화무쌍한 공수(攻守)를 펼쳐 적의 허점을 찌른다는 것이었다. 여기에 적의 급습에 대비하고 적의 양민(良民)까지 포용하는 필승의 전략을 내세우고 있었다.
6편 여사는 신상필벌로 군사의 사기를 높이는 방법을 논한 것이었다. 이로써 명예를 추구하는 인간의 공명심을 부추겨 소수의 정예 결사대로 최고의 성과를 거둘 것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대전회통(大典會通)』
- 『오기병법(吳起兵法)』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무경칠서』,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 김광수 역, 『손자병법』, 책세상, 1999.
- 김기동, 『중국병법의 지혜』, 서광사, 1993.
- 곽낙현, 「무경칠서를 통해서 본 조선전기 무과시취에 관한 연구」, 『동양고전연구』 34집 , 2009.
- 심승구, 「조선전기 무과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장학근, 「선초 무경칠서의 도입 배경」, 『동서사학』 2, 199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