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집(退溪集)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2일 (금) 01:17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중기의 학자 퇴계(退溪)이황(李滉, 1501~1570)의 문집.

개설

『퇴계집(退溪集)』은 조선 중기의 학자 퇴계(退溪)이황(李滉, 1501~1570)의 문집이다. 이황은 주자의 학문과 사상을 이은 도학자로서, 이기호발설 등 성리학 관련 분야에서 고명한 탁견과 학문으로 매우 뛰어난 인물이다. 특히 이황이 당시 군왕인 선조에게 올린 『성학십도(聖學十圖)』는 성학에 대한 선학의 도(圖)와 설(說)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유학의 핵심을 10개의 도(圖)로써 정리한 것으로, 군주는 사단(四端)의 마음을 확충해 본성을 회복한 성인이 되는 학문인 성학을 돈독히 닦아 그것으로써 정치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68세의 나이에 지은 것이다.

이 책은 선조 대에 유희춘(柳希春)의 건의에 따라 정부에서 간행하려고 했으나, 임진왜란이 일어나 중단되었다. 그 뒤 문인 조목(趙穆) 등이 1599년(선조 32)에 간행하기 시작해, 이황이 죽은 지 30년이 되는 이듬해인 1600년에 원집(原集) 49권, 별집(別集) 1권, 외집(外集) 1권 등 모두 51권 31책으로 간행하였다. 이것이 경자본(庚子本)으로 불리는 『퇴계문집』 초간본으로 목총목록과 당시 전하지 않는 글의 목록인 일목록(逸目錄)이 각각 1책씩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문집은 퇴계가 서거한 한 해 뒤인 1571년에 유문(遺文)을 집록(輯錄)하기 시작하여, 경자1600년에 처음 간행되기까지 무려 3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집록본(輯錄本)인 초본 『퇴도선생집(退陶先生集)』에서 문집 초고본인 중본(中本) 『퇴계선생집(退溪先生集)』 등의 과정을 거쳐, 정본(定本)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이 만들어지는 복잡한 편집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시(詩)에 있어서는 퇴계가 직접 산절(刪節)까지 해둔 소록본(手錄本)이 존재했기 때문에, 그것에 의거해서 문집을 내집(內集)ㆍ별집(別集)ㆍ외집(外集)으로 나누어, 저작 순서대로 편집하는 방침이 그 편찬 초기부터 이미 정해졌다. 그리고 문집의 체재와 편차는 『주자대전(朱子大全)』의 것을 준용하되, 서간(書簡)만은 그것의 내용중심의 분류 편집 방식을 따르지 않고, 인물 중심으로 바꾸었다.

1869년(고종 6) 후손 이휘부(李彙溥)ㆍ이휘재(李彙載)ㆍ이만호(李晩浩)ㆍ이만각(李晩慤) 등과 유생 40여 명이 도산서원에 모여, 중간본을 내되, 『주자대전(朱子大全)』의 체재를 따르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들은 당시 도산서원에 보관중인 책을 열람해 최초본인 『퇴도집(退陶集)』 20책, 중본(中本)인 『퇴계선생집』 40책, 경자본의 정본(定本)으로 간행할 때 대본이 되었던 『퇴계선생문집』 30책, 『퇴계선생수간(退溪先生手簡)』 2책, 『선생문집초본』 1책, 『문집초본』 1책, 『퇴계선생집습유』 12책 등 모두 105책을 초본과 대조해, 불필요한 부분을 뺀 뒤 유생들에게 베껴 쓰게 하고, 이휘부가 더 수집한 유고를 합해, 모두 97권 75책으로 편찬해, 번남가숙(樊南家塾)에 수장하였다. 이것이 번남본(樊南本)으로 불리는 『도산전서(陶山全書)』로서 필사본이다. 원집 66권 49책, 외집 1권 1책, 별집 2권 2책, 속집 8권 6책, 유집(遺集) 20권 17책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제는 ‘퇴계선생전서(退溪先生全書)’이다.

그러나 이 책은 완성된 것이 아니어서, 특히 유집의 경우에는 그 목록과 실제 수록된 내용이 다른 부분이 많고, 편찬 원칙을 밝힌 범례에는 부록에 『언행통록(言行通錄)』, 연보 등을 수록한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 한편의 글도 수집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문에 중점을 두어 다른 저술은 소홀히 취급된 한계가 있다. 그 뒤 1910년 이후에 후손이 번남본을 대본으로 재정리하고 유집을 보충해 원집 66권 27책, 속집 8권 3책, 별집 1권 1책, 외집 1권 1책, 유집 20권 7책 등 모두 96권 39책으로 된 『도산전서』를 편찬해 도산서원의 상계(上溪) 광명실(光明室)에 보관했는데, 이것이 상계본(上溪本)이다. 그런데 1950년 한국전쟁 때 몇 책이 없어졌다.

서지 사항

36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목판본이다. 크기는 세로 21.3cm 가로 17.3cm이며, 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퇴계집(退溪集)』 원집은 권1~5에 시, 권6에 교(敎)ㆍ소(疏), 권7에 차(箚)ㆍ경연강의(經筵講義)ㆍ계의(啓議), 권8에 사장(辭狀)ㆍ계사(啓辭)ㆍ서계수답(書契修答), 권9~57에 서(書), 권58에 잡저, 권59에 서(序)ㆍ기(記), 권60에 발(跋), 권61에 잠명(箴銘)ㆍ표전(表箋)ㆍ상량문, 권62에 축문ㆍ제문, 권63ㆍ64에 묘갈지명(墓碣誌銘), 권65ㆍ66에 행장을 수록하였다. 외집과 별집은 앞에 목록이 있고, 모두 시가 수록되었다.

속집은 목록이 있고 권1ㆍ2에 시, 권3~7에 서(書), 권8에 서(序)ㆍ발(跋)ㆍ갈명(碣銘)ㆍ잡저가 수록되었다. 유집은 내편과 외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내편은 앞에 범례와 목록이 있고, 권1에 가사(歌辭)ㆍ시ㆍ서(書), 권2~9에 서(書), 권10에 잡저ㆍ축문ㆍ행략(行略)이 수록되었다. 외편은 권1에 가사ㆍ부(賦)ㆍ시, 권2~6에 서(書), 권7에 책(策)ㆍ잡저ㆍ갈명ㆍ지(識)ㆍ사실(事實)ㆍ기ㆍ후(後), 권8~10에 잡저가 수록되었다.

이 책은 조선 중기 성리학을 독자적인 학문 체계로 수립하고, 이원적 이기론, 주리론(主理論)을 주창해 후에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주가 되어, 사상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인물의 저술을 모은 것으로서, 이 시기의 사상사 연구, 특히 성리학의 이해 수준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문집은 우리나라 고문집(古文集)의 표본이 된 문집이다. 이 문집은 그 이전까지의 문집과는 달리 서간(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이다. 『퇴계집』 이전까지의 문집에서 서간은 산문(散文)의 한 종류로, 작품성이 높은 일부 것들만 수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퇴계집』에서는 서간이 양적으로 문집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비중 있는 것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서간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이 문집에서는 그것을 대방인물(對方人物)을 기준으로 ‘시현(時賢)ㆍ지구(知舊)ㆍ문인(門人)ㆍ가인(家人)’의 네 부류로 분류해서 편집하였다. 시현(時賢)은 당시의 명사(名士)들이며, 지구(知舊)는 실제 벗을 포함한 친분을 갖고, 교류한 인물들이며, 문인(門人)은 당시 퇴계학단(退溪學團)을 형성한 제자들이며, 가인(家人)은 집안사람들이다.

이 네 부류에는 퇴계가 활동하던 당대의 주요인물들이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보낸 서간 내용에는 학문적인 것에서부터 정치ㆍ사회ㆍ문화 전반에 걸친 그 시대의 주요한 관심사가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한 마디로 퇴계는 서간을 매개로 당대 조선의 전 지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정치ㆍ사회ㆍ문화ㆍ학술 전반에 걸친 주요 관심사를 화두로 소통한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전면에 부각시켜 편집된 문집, 다시 말하면 서간이 중심이 된 문집은 작품과 그 창작활동이 중심이 된 전래의 문집이 아닌, 인간과 인간관계가 중심이 된 문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퇴계집』의 경우, 서간의 경우에만 서간 왕래가 있는 인물들과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시문(詩文) 작품에서도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 있다. 이 문집이 간행된 이후 그 체재를 따른 우리나라 고문집(古文集)에서는 이러한 면이 더욱 두드러진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문집이 그 문집의 저자와 그 저자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힌 채 역동적으로 움직여가는 인간관계의 망을 보여주는 하나의 작품으로 읽히는 경우도 흔하게 발견하게 된다. 우리나라 고문집의 상황이 이와 같다면, 앞으로 고문집을 읽을 때 그와 같은 측면에 특히 초점을 맞추어서 읽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문석윤, 「경자본(庚子本) 『퇴계집』(退溪集)과 경희대 도서관 소장 『퇴계집』 3건에 관하여」, 『인문학연구』 제10호, 서울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6.
  • 심경호, 「금성판 『계산잡영』과 경자본 『퇴계집』의 간행」, 『국문학연구와 문헌학』, 태학사, 2002.
  • 이가원, 「해제」, 『퇴계전서』,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5.
  • 이원주, 「퇴계선생문집 중간본 삽의(挿疑)」, 『한국학논집』 12,계명대한국학연구소, 1985.
  • 정석태 편, 『퇴계선생년표월일조록』1~4, 퇴계학연구원, 2006.
  • 정석태, 「『퇴계집』의 편간 경위와 그 체재」, 『퇴계학논집』 제2호, 퇴계학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