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매(李如梅)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2일 (금) 01:15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임진왜란 때 조선에 파견된 명의 장수.

개설

명나라 말기의 요동총병(遼東摠兵)이다. 임진왜란 당시 참장(參將)으로 형인 제독(提督)이여송(李如松)과 함께 참전하여 평양성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일본과의 강화교섭이 진행되고, 전쟁이 고착화되자 이여송과 함께 요동으로 돌아갔다가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다시 참전하였다. 울산성 전투에서 선봉으로 나서서 외성(外城)을 함락하는 등 큰 공헌을 하였지만, 가등청정(加藤淸正)을 사로잡거나 내성까지 함락시키지는 못하였다. 형인 이여송이 광녕에서 죽자, 형의 관직인 요동총병을 승계하여 요동을 방어하였다.

가계

이성량(李成梁)은 이여송이 임진왜란에 참전하자 “조선은 바로 우리 선조의 고향이니, 너는 힘쓰라”고 하였는데, 그의 선조가 바로 조선의 이산군(理山郡) 출신이었다(『선조수정실록』 26년 9월 1일). 이여송도 스스로 말하기를, “선조가 대대로 두만강 가에 살다가 동령위(東寧衛)로 옮겨 살았다”고 하였다(『선조실록』 26년 3월 24일).

활동 사항

임진왜란 때 1차로 파병 온 조승훈이 3천 명을 이끌고 평양성을 공격하다가 패배하여 요동으로 돌아가자, 명나라는 경략(經略)송응창(宋應昌)을 총사령관으로, 제독(提督)이여송을 지휘관으로 한 5만여 명의 군사를 2차 원병을 보냈다. 이때 이여매는 참장으로, 형인 이여송·이여백 등과 함께 참전하였다. 평양성 전투에서는 이여송과 함께 대동문(大同門)으로 진격하였고, 의주위진수참장(義州衛鎭守參將)으로 마병 1천 명을 거느렸다(『선조실록』 26년 1월 9일)(『선조실록』 26년 1월 11일).

일본과의 강화교섭이 진행되고 전쟁이 고착화되자, 이여송과 함께 요동으로 돌아갔다가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부총병(副摠兵)으로 다시 참전하였다(『선조수정실록』 26년 9월 1일)(『선조실록』 30년 9월 19일). 유격(遊擊)파귀(頗貴)·파새(擺賽)·우백영(牛伯英)·참정(參政)양등산(楊登山) 등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남쪽으로 내려갔는데, 전주·남원 등 호남의 일본군을 격퇴하기 위해서였다(『선조실록』 30년 10월 7일)(『선조실록』 30년 10월 10일). 이에 전주·남원·곡성·구례 등에 주둔하면서 일본군과 접전하였다(『선조실록』 30년 10월 21일)(『선조실록』 30년 10월 27일).

이여매는 울산성 전투에서는 선봉에 나서 적진에서 20리(약 7.9㎞) 되는 곳에서 일본군을 만나 학익진(鶴翼陣)으로 습격하여 400여 명을 베었고, 성 아래로 진격하여 여러 종류의 화포를 발사하여 외성을 제일 먼저 함락하였지만, 일본군이 겹겹이 된 토굴 속으로 도망치고, 세 겹으로 된 석축이 견고하여 격파하진 못하였다(『선조실록』 31년 1월 1일)(『선조실록』 31년 1월 3일). 이때 이여매는 가등청정을 거의 사로잡을 뻔했지만, 마귀(麻貴)·양호(楊鎬)와 공을 다투다가 실패하였다는 참소를 받기도 하였다(『선조실록』 31년 2월 4일)(『선조실록』 31년 9월 6일).

또한 적선 10여 척을 격파하기도 하였고, 울산성 전투를 전후해서 이여매가 이끈 좌협(左協)이 적을 벤 숫자가 690여 급이었다(『선조실록』 31년 1월 16일).

울산성을 함락하지 못하자 조명연합군은 성을 포위하였는데, 이여매는 파새와 함께 강변에서 서생포(西生浦)의 왜적을 차단하였다. 이때 서생포의 왜적은 매일 수로를 따라 출몰하지만 명군에 의하여 차단당하여 왔다가 되돌아가기를 하루에 두세 차례나 하고 있었다(『선조실록』 31년 1월 3일).

조명연합군이 울산성을 포위하자 각지에서 일본군의 구원병들이 도착하여 무려 8만여 명에 이르렀다. 마침내 조명연합군의 방어선이 일본군에 의해 무너졌고 조명연합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으며 철수하였다. 이여매는 추격하는 왜적을 강가에서 방어하기도 하였지만, 회군하는 군사가 무질서하게 행동을 멋대로 하게 내버려두어 조선의 마을이 명군에 의해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선조실록』 31년 1월 16일).

한편 이여매가 말을 무역하는 일로 조선에서 요동으로 들어가 있을 때, 형인 이여송이 광녕(廣寧)에서 타타르[韃靼]의 토만(土蠻)을 토벌하다가 전사하였다(『선조실록』 31년 4월 21일). 이에 이여매가 광녕의 총병이 되었으며(『선조실록』 31년 4월 29일), 형의 관직인 요동총병을 승계하여 요동을 방어하였다.

묘소

이여매의 손자 이성룡(李成龍)은 심하(深河) 전투에서 도독(都督)유정(劉綎)의 휘하(麾下: 한자 삭제)에 있다가 조선의 장수 장만(張晩)에게 몸을 의탁하여 조선으로 들어와 살게 되었다(『숙종실록』 31년 6월 10일)(『영조실록』 14년 12월 13일). 영조대에는 이성룡의 후손인 이면(李葂)이 강화(江華)에 살고 있어 영조가 이여매의 신주(神主)를 만들어서 불천(不遷)의 위(位)로 정하여 삼을 것을 명하였지만, 이면이 가난하여 사당을 건립하지 못하였다. 이에 영조는 강화부에 명하여 이여매의 묘(廟)를 세우게 하고 비용을 지원하여 그 제사를 보조하게 하였다(『영조실록』 17년 9월 14일).

참고문헌

  •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