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황(袁黃)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2일 (금) 01:1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파견되어 참모와 병참 역할을 수행한 명의 장수.

개설

원황이 임진왜란 당시 명에서 맡았던 정식 관직은 병부의 직방청리사주사(職方淸吏司主事)였다. 따라서『조선왕조실록』에서 원황은 대체로 ‘원 주사’로 표현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명의 정규군이 조선에 파견될 때 병부원외랑(兵部員外郞)유황상(劉黃裳)과 함께 찬획으로 파견되어 참모 역할 등을 수행했다. 특히 병참과 관련된 업무를 많이 담당해서 군량 문제 등을 조선 조정과 논의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 사항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처음으로 파견되었던 명군은 조승훈(祖承訓) 등이 인솔하는 요동군(遼東軍)이었다. 1592년(선조 25) 7월 당시 명군은 3천 명의 병력을 동원해 평양성을 공격했지만 일본군의 매복 작전 때문에 크게 패했다. 이후 명에서는 조선에 사신을 보내 10만 대군을 파병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그해 11월까지도 명군은 조선으로 출동하지 않고 있었다. 물론 명에서 전쟁의 상황을 좌시하고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 기간 동안 명은 조선에 대한 대규모 출병을 준비하고 있다가, 대군을 조선으로 파견했다. 제독(提督)이여송(李如松)이 먼저 압록강을 건넜다. 명에서는 병부 시랑(侍郞) 송응창을 경략군문(經略軍門)으로, 도독동지(都督同知)이여송을 제독군무(提督軍務)로 삼았다. 그리고 이들은 4만 3천 명 규모의 명군을 인솔하고 조선으로 출동했다. 이때 원황은 유황상과 함께 찬획으로 파견되어 참모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다(『선조수정실록』 25년 12월 1일).

원황은 찬획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는 일이 많았던 유황상과는 달랐다. 병참 업무를 수행하면서 명군의 군량 문제를 가지고 조선 조정을 압박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조선 조정은 대화 상대로 유황상보다는 원황을 보다 편안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조선 측의 좋은 평가를 받았던 인물은 아니었다. 조선 측의 기록에 의하면 그는 불교에 심취한 인물이었던 듯하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원황이 불교를 좋아해 몸가짐을 승려처럼 했기 때문에 접대가 편했다는 것과, 그의 글 중에 조선에 전하는 것은 모두 주자(朱子)를 배척한 내용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결국 원황은 명의 언관들에게 사도(邪道)라는 이유로 탄핵되어 본국으로 돌아간 뒤 머리를 깎고 입산하였다고 한다(『선조수정실록』 26년 1월 1일).

한편 원황은 일본군에 포로가 되었던 조선의 왕자들을 구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했다. 1593년(선조 26) 1월 영의정최흥원(崔興源)은 원황에게 함경도에 잡혀 있던 두 왕자를 구하기 위한 글을 사람을 시켜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원황은 즉시 글을 작성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지은 글을 전달할 수 있는 병력을 파견했다. 그리고 자신의 글을 일본군에 전달해 조선의 왕자들이 무사히 돌아올 수 있도록 공을 세운 병사는 병부(兵部)에 보고하여 세습으로 지휘(指揮)에 임명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는 약속을 하기도 했다(『선조실록』 26년 1월 7일)(『선조실록』 26년 1월 25일).

하지만 원황은 유황상과 함께 평양성 전투에 대한 자신들의 역할을 과장하고자 했던 행동 때문에 조선의 군신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 더욱이 일본군과 강화협상을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조선 군신의 인식은 좋아지기 어려웠다. 1593년 6월에 명으로 돌아갔다.

참고문헌

  • 『기재사초(寄齋史草)』
  • 『명신종실록(明神宗實錄)』
  • 『양조평양록(兩朝平壤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정한위략(征韓偉略)』
  •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 김경태, 「임진전쟁 강화교섭 전반기(1593.6~1594.12), 조선과 명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연구』166, 한국사연구회, 2014.
  • 손종성, 「임진왜란시 대명외교 - 청병외교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제14집, 국사편찬위원회, 1990.
  • 이현종, 「16세기 후반기 동아(東亞)의 정세」, 『한국사』12, 국사편찬위원회, 1977.
  • 조원래, 「5. 조·명군의 반격과 전국의 추이」, 『한국사』29, 국사편찬위원회, 1995.
  • 최소자, 「임진란시 명의 파병에 대한 논고」, 『동양사학연구』11, 동양사학회, 1977.
  • 최영희, 「임진왜란 중의 대명사대에 대하여」, 『사학연구』18, 한국사학회, 196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