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국공(鎭國公)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4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개성의 성황신에게 수여한 작위.

내용

조선 왕조는 건국 이듬해인 1393년(태조 2) 대사성유경(劉敬)의 건의에 따라 예조가 상정하여 이조가 건의하는 형식으로 전국의 명산과 대천(大川)·성황·해도(海島)의 여러 신들에게 작위를 수여했다. 이때 개성 송악(松岳)의 성황신을 진국공으로 봉했다. 이같은 봉작은 조선 왕조의 건국을 경축하고 신들의 계속적인 지지를 바라기 위한 것이었다.

신들에게 작위를 수여하는 전통은 7세기 당나라에서 시작했고, 한국에서는 신라시대 말부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 유행했다. 그리고 그 목적은 신들을 예우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신들을 등급화하는 것이었다. 당시 다른 고을의 성황에게는 백(伯)이란 작위를 주었지만, 송악성황만은 그보다 한 등급이 높은 공(公)으로 봉하여 성황신들 가운데 최고로 예우했다. 그것은 아직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하기 이전으로 수도가 개성이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국도의 성황신을 정점으로 전국의 성황신을 등급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송악산 위에는 5개의 신당이 있어 각각 성황·대왕(大王)·국사(國師)·고녀(姑女)·부녀(府女)를 모셨다고 한다. 그러므로 1393년에 진국공으로 봉해진 성황은 송악산 위에서 모셔진 성황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성황당 내에는 성황신과 그 가족을 흙으로 4기의 신상을 만들어 모셨다. 그러나 인간이 신에게 작위를 수여하는 것은 불경이며 신상을 모시는 것도 잘못이라는 중국 명나라 초기의 『홍무예제(洪武禮制)』에 따라, 1413년(태종 13)부터 성황신에게 수여한 작위를 폐지하고 신상을 위패로 바꾸자는 논의가 일어난다. 이에 따라 1430년(세종 12) 송악성황사에는 진국공이란 표현은 삭제하고 ‘송악지신(松岳之神)’이라고만 쓴 위패를 모시게 되었다.

용례

吏曹請封境內名山大川城隍海島之神 松岳城隍曰鎭國公 和寧安邊完山城隍曰啓國伯 智異無等錦城雞龍紺嶽三角白嶽諸山晋州城隍曰護國伯 其餘皆曰護國之神 蓋因大司成劉敬陳言 命禮曹詳定也(『태조실록』 2년 1월 21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