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경(帖經)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4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서시험에서 경서의 한 부분만 보여 주고 전문을 답하도록 하는 것.

개설

첩경은 당(唐)나라 때 명경과(明經科)에서 경서(經書)시험을 보는 방법의 하나였다. 경서 중 문제가 되는 부분에 종이를 붙여 가리고 몇 자만 보인 후 응시자에게 그 전문(全文)을 대답하게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첩경은 당나라 때 명경과에서 경서시험을 보는 방법이었는데 조선에서는 첩경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시행 여부는 분명하지 않았다. 성종대 강경시험에서 얼굴을 대하고 보면서 글을 강하는데 아는 사람에게 사정(私情)이 개입될 수 있어 이를 막을 수 있는 방책으로 거론된 적이 있었다. 첩경법을 쓰면 한갓 글을 외울 뿐 뜻을 모를 것이니 강론하는 것만 못하다고 하여 시행되지는 않았다(『성종실록』 13년 11월 10일). 강경에서 대면하여 서로 보는 방법은 아는 사람에게 유리하여 합격자는 모두 경화자제(京華子弟)들이고 외방의 한미한 선비로 합격한 사람은 드물었다. 이를 막을 수 있는 방책으로 첩경법이 제시되었지만 얼굴을 보지 못하게 한다 해도 만약 본래부터 아는 사람이라면 목소리를 듣고서 알 수 있을 것이라 하여 시행에 옮기지 않았다(『성종실록』 19년 4월 11일).

과거에서는 첩경 대신 강첨(講籤)이라 하여 강경할 때 글귀가 적힌 찌를 뽑아 답하게 하였다. 대쪽으로 만들어진 찌에는 강할 책의 글장의 첫 구절이 적혀 있었다(『성종실록』 10년 11월 12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