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록(西征錄)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서정록 |
한글표제 | 서정록 |
한자표제 | 西征錄 |
분야 | 군사/무기 |
유형 | 한문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세종 |
집필자 | 성낙수 |
저편자 | 이천(李蕆) |
간행년일 | 1516 |
권책수 | 1책 |
소장처 | 규장각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서정록(西征錄) |
조선세종 때 이천(李蕆, 1376~1451)이 4군을 개척한 뒤에 그 전말을 기록한 책.
개설
이 책은 1437년(세종 19) 이천(李蕆, 1376~1451)이 평안도 도절제사(平安道都節制使)로 있으면서, 파저강(婆猪江)의 야인(野人)을 정벌하고, 4군을 개척한 뒤에 그 전말을 기록한 것이다.
이천은 무관으로 입신했지만, 세종의 두터운 신임 아래 경자자(庚子字) 및 표준저울의 제작과 사륜차의 개발, 군선(軍船)의 개량, 노궁(弩弓) 개발, 악기 개선 등을 이끌었다. 특히 간의(簡儀)ㆍ혼의(渾儀)ㆍ앙부일구(仰釜日晷) 등 천문기구의 제작을 지휘하여 조선 초기 과학기술 발달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기도 하였다.
내용은 1432년(세종 14)에서 1437년(세종 19)까지의 여진과의 관계 사실이 연대순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군사적인 정벌이나 토벌뿐만 아니라 사민(徙民)ㆍ수세(收稅)ㆍ진휼(賑恤) 등에 관한 현지 실상의 치계(馳啓), 이에 대한 조정의 대책 등이 있다.
이 책은 조선 초기 여진정책 및 북방정책을 이해하고, 나아가 당시의 국방 및 국제관계사를 이해하는 데에 참고 자료가 된다.
편찬/발간 경위
이천의 현손인 이순(李純)과 관찰사윤금손(尹金孫)의 발문(跋文)이 붙어 있다. 1516년(중종 11) 이순이 서북의 도사(都事) 봉훈랑(奉訓郎)으로 재직하면서, 관찰사윤금손에게 부탁하여, 간행하였다.
서지 사항
1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목판본이다. 크기는 세로 32.0cm 가로 20.5cm이며,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야인정벌의 정벌군 편성 및 월경작전 양해 교섭 과정과 작전지침 등을 밝혔다. 둘째, 동북방 국경 개척, 포로 송환 분쟁, 동북 군진의 강화와 우도리 대응책 등을 썼다. 셋째, 제2차 야인정벌의 정벌 준비 단계, 서북국경의 방위태세 강화, 정보수집, 김종서의 보복 공격계획 등을 썼다. 넷째, 제2차 야인정벌의 작전계획, 지침하달, 작전 경과 및 사후조치 등을 밝혔다. 그 외에 후기와 부록으로 주요인물과 참고자료 목록이 있다.
조선은 1432년(세종14)부터 국토개척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고려 멸망 이후(1392) 조선 건국 초기 이래 압록강 일대와 함경북도지역을 점거한 여진족(女眞族)을 정벌하였다. 『서정록』은 두만강 유역의 육진(六鎭)과 압록강 유역의 사군(四郡)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여진족의 본거지인 파저강(婆狙江), 즉 현 중국 요녕성(遼寧城) 환인현(桓因縣) 훈강 (渾江) 일대를 1433년과 1437년 2차에 걸쳐 공격 소탕한 작전을 기록하였다.
『서정록』의 발문(跋文)에서는 1515년(중종10년)에 이순(李純)이 함경도 관찰사윤금손(尹金孫)의 막하에서 근무할 때 집에 소장해있던 책을 소매 속에 넣고 가서, 관찰사에게 ‘이 책은 서북방 야인정벌의 시말과 작전내용 육진 설치등 함경도에 관한 내용이니, 인쇄하여 널리 전하였으면 좋겠습니다.’고 진언하니, 관찰사가 기꺼이 호응하여, 일을 시작한 지 3개월 만에 완성한 것이 지금까지 보존된 『서정록』이라고 하였다.
다른 학설도 있다. 이순이 집에 소장한 책의 원류는 세종께서 세상을 떠난 지 2년 후 1452년(문종 2)에 의정부 좌의정정인지를 비롯한 당대의 학자와 사관(史官) 58명이 편찬한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의 사초(史草)를 인용함으로서, 실제로 세종실록과 대조한 결과 글자 하나 틀리지 않게 옮겨 쓴 것이 대부분이고, 심지어 토벌작전의 주장 중심인물과 관련이 없는 동북방 개척사업 추진실적(함경도의 병마도절제사김종서의 전적)까지 여실하게 필사 수록되어 있다는 점으로 보아, 실록청 사관 중에 자신의 조상이나 문 중의 빛나는 공적을 기리기 위해, 사료의 일부를 복사하여 『서정록』이라 이름을 붙였는데, 가문에 비전(秘傳)한 것을 1516년에 목판본으로 처음 간행한 것이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서정록』이라는 주장도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우리 선조들이 남긴 전통적 군사 사상과 용병술이 어떠했으며, 그것이 국난 극복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가를 볼 수 있다. 또한 세종이 출정군의 작전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치밀하고도 뛰어난 전략가였으며, 세종을 비롯한 민(民)과 군(軍)이 어떻게 한마음 한 뜻으로 단결하여, 국가적 난국에 슬기롭게 대처해 나갔는지 알게 한다.
특히 『서정록』은 국경 개척과 영토 보호를 위하여 전개한 공세적 방어 작전의 가장 생생한 기록으로서, 장차 있을 수도 있는 이와 유사한 국경 분쟁시 국가 통수 및 군사 지휘기구가 의사결정을 하는데 귀중한 역사적 사례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 박정빈, 「조선초기의 여진 관계와 여진인식의 고착화 –태조~세종대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35, 한일관계사연구회, 2010.
- 임홍빈, 「『서정록』의 편저자에 관하여」, 국방부 연구보고서, 199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