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만(李時萬)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2일 (금) 01:51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601년(선조 34)∼1672년(현종 13) = 72세]. 조선 중기 인조~현종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우부승지(右副承旨)·병조참지(兵曹參知)·전라도 감사(監司)이다. 자(字)는 석여(錫汝)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이양휴(李揚休)이고, 어머니 여흥민씨(驪興閔氏)는 민성장(閔成章)의 딸이다. 영해군(寧海君: 세종의 서출 제 9왕자)의 7대손으로, 낙서(洛西)김자점(金自點)의 문하(門下)에서 수학하였다.

인조 때 <인조반정(仁祖反正)>의 1등 공신인 김자점(金自點)의 추천으로 사헌부 집의(執義)·사간원 사간(司諫)과 홍문관 응교(應敎) 등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쳤으나, 효종 때 영의정김자점이 반역죄로 처형되면서, 김자점 일당으로 내몰려 죽을 고비를 넘긴 후, 겨우 상주 목사(尙州牧使)·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의 지방 수령관을 역임하였다.

인조 시대 활동

1624년(인조 2) 사마시(司馬試) 진사과(進士科)로 합격하였는데, 나이가 24세였다.[『국조방목(國朝榜目)』] 성균관에 들어가서 공부하다가, 1630년(인조 8)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는데, 나이가 30세였다.[『국조방목(國朝榜目)』] 바로 승문원 권지(權知) 정자(正字)에 보임되어, 춘추관 사관(史官)을 겸임하였다. 1632년(인조 10) 승정원 가(假) 주서(注書)가 되었는데, 그해 3월에 어머니 병이 위중해지면서 사임하였다. 그해 4월에 성균관 박사(博士)가 되어, 양현고(養賢庫) 직장(直長)을 겸임하였으며, 그해 10월에 승정원 주서(注書)로 전임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10년 4월 4일] 그 후, 승륙(陞六)하여 6품의 병조 좌랑(兵曹佐郞)로 승진하였으며, 예조 좌랑(禮曹佐郞)으로 전임되었다가, 세자시강원 사서(司書)가 되었다.[비문] 1634년(인조 12) 6월,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고, 그해 11월, 용양위龍驤衛) 부사과(副司果)를 거쳐, 그해 12월 사헌부 지평(持平)이 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12년 11월 12일]

1635년(인조 13) 6월, 다시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고, 그해 7월, 다시 용양위龍驤衛) 부사과(副司果)가 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13년 6월 21일],[『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13년 7월 19일] 1638년(인조 16) 4월, 다시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으며, 1640년(인조 18) 6월, 다시 사헌부 지평(持平)이 되었다. 그해 7월, 세자시강원 사서(司書)에 임명되었으나, 76세가 된 할머니의 병을 구완하기 위하여 사임하였다. 그해 8월에 다시 사헌부 지평(持平)이 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16년 8월 19일] 1641년(인조 19) 2월, 사헌부 장령(掌令)으로 승진하였으나,(『인조실록』 19년 2월 28일) 임금에게 바른말을 하다가 연서 찰방(延曙察訪)으로 좌천되었다. 1644년(인조 22) 5월, 다시 사헌부 장령(掌令)이 되었다가,[『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22년 5월 18일] 그해 7월, 홍문관 수찬(修撰)으로 전임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22년 7월 12일] 그해 8월, 홍문관 교리(校理)로 승진하였으나, 곧 사헌부 장령(掌令)으로 전임되었고,(『인조실록』 22년 8월 18일) 그해 10월, 군기시 정(軍器寺正)에 임명되었다.

1645년(인조 23) 1월,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에 임명되었다. 그해 2월 18일에 소현세자(昭顯世子)가 8년간의 청나라 볼모생활을 끝내고 본국으로 돌아왔으나, 그해 4월 26일에 갑자기 의문의 죽음을 당하였다. 그해 5월, 사헌부 집의(執義)로 승진하였으며, 그해 윤6월, 사간원 사간(司諫)으로 승진하였다. 그해 7월, 홍문관 응교(應敎)가 되었다가, 그해 10월에 다시 사헌부 집의(執義)에 임명되었다.(『인조실록』 23년 10월 21일) 1646년(인조 24) 2월, 성균관 사성(司成)을 거쳐서, 그해 3월에 홍문관 수찬(修撰)이 되었다. 그해 4월, 홍문관 응교(應敎)로 승진하였으며, 그해 5월, 의정부 검상(檢詳)을 거쳐, 사인(舍人)으로 승진되었다. 그해 7월, 다시 홍문관 수찬(修撰)이 되었다가, 사복시 정(司僕寺正)이 되었고, 그해 10월, 홍문관 부교리(副校理)를 거쳐, 그해 11월, 다시 사간원 사간(司諫)에 임명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24년 11월 12일]

1647년(인조 25) 사간원 사간(司諫)으로 활동하다가, 그해 8월에 세자시강원 보덕(輔德)을 겸임하였으며, 그해 10월에는 사헌부 집의(執義)를 겸임하였다. 청나라로 가는 사신의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되어, 정사 홍주원(洪柱元)과 부사 민성휘(閔聖徽)와 함께 청나라의 서울 연경(燕京: 북경)에 갔다가 돌아왔는데,[비문] 그 공으로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夫)에 가자(加資)되었다. 1648년(인조 26) 2월, 홍문관 부응교(副應敎)가 되었고, 그해 3월 병조참지(兵曹參知)에 임명되었다. 그해 9월에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되었으며,(『인조실록』 26년 9월 13일) 그해 10월에 우부승지로 승진되면서, 인조의 최측근이 되었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26년 10월 21일] 1649년(인조 27) 1월에 인조는 의정부와 6조와 대간(臺諫: 사헌부와 사간원)에 명하여 각 도(道)의 감사(監司)와 병사(兵使)에 적합한 인물을 3명씩 추천하도록 하였는데, 승지이시만(李時萬)이 가장 많이 추천을 받았으므로,[『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27년 2월 1일] 인조가 그를 전라도 감사(監司)에 임명하였다. 그해 5월, 인조가 돌아가고 효종이 즉위하였다.

효종~현종 시대 활동

1649년(효종 즉위년) 10월 전라도 감사(監司)에서 파직되었다. 인조 말년에 김자점(金自點)은 인조가 총애하던 숙원(淑媛) 조씨(趙氏)와 손을 잡고 정권을 잡았으나, 형조 판서원두표(元斗杓)와 정권 다툼을 벌이면서, 공서파(功西派)는 영의정김자점 중심의 낙당(洛黨)과 원두표(元斗杓) 중심의 원당(原黨)으로 분열되었다. 효종은 즉위한 후, 김집(金集)·송시열(宋時烈) 등을 새로 등용하고, 영의정김자점을 홍천(洪川)으로 유배시켰다. 김자점의 제자인 이시만은 인조 때 김자점의 추천을 받아 여러 청요직(淸要職)을 거쳤기 때문에, 대사간신면(申冕)과 함께 낙당의 중심인물로 지목되었으므로, 대간의 탄핵을 받아 전라도 감사에서 파직되었다.(『효종실록』 즉위년 10월 24일)

이시만이 전라도 감사로 재임하고 있을 때, 전주의 유생(儒生)이 그의 군관과 싸움이 벌어졌다. 이때 감사이시만이 그 유생을 잡아다 문초하였는데, 그 과정에서서 유생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그 유생의 아들은 아버지의 원통함을 풀기 위하여, 1650년(효종 1) 2월에 이시만을 고발하였는데, 결국 그는 하옥되어 국문(鞠問)을 받고 유배되었다.(『효종실록』 1년 2월 23일)

한편 홍천에 유배된 김자점은 그의 심복인 역관 이형장(李馨長)을 청나라에 몰래 보내, 조선의 새 왕인 효종이 군대를 동원해 청나라를 치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고발하였는데, 그는 그 증거로 청나라의 연호를 쓰지 않은 인조의 장릉(長陵) 지문(誌文)을 제시하였다. 청나라에서는 즉시 사신을 파견하여 그 사실 여부를 조사하였는데, 이경석(李景奭)과 원두표 등이 사신에게 적극 해명하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 이 일로 김자점은 전라도 광양(光陽)으로 이배되었다. 1651년(효종 2) 김자점의 아들 김익(金釴)이 수어청(守禦廳)의 군사를 동원해서 원두표·김집·송시열 등을 제거하고, 숭선군(崇善君: 인조의 서출 제 1왕자)을 추대하려고 한다는 역모가 폭로되면서, 김자점은 그 아들 김익과 함께 복주(伏誅)당하였다.

1652년(효종 3) 1월, 낙당(洛黨)의 중심인물인 신면(申冕)을 비롯하여 이지항(李之恒)·이시만(李時萬)·황감(黃㦿) 등이 모두 대간의 탄핵을 받아서 신면은 죽음을 당하고, 이지항 등은 귀양을 갔다. 효종은 그해 4월에 대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시만은 용서하여 주었으므로,(『효종실록』 3년 1월 9일) 그는 집으로 돌아와 강교(江郊)에 나가 살면서, 날마다 경전(經傳)과 사서(史書)를 탐독하고 손자들을 가르쳤다.[비문]

1663년(현종 4) 경상도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부임하였으나, 그해 10월에 사간원 사간(司諫)민유중(閔維重) 등이 “이시만은 처신을 잘못하여 조정의 반열에 끼지 못한 지 오래되었는데, 갑자기 큰 고을에 임명되었으므로, 여러 사람들이 크게 놀라워하고 있으니, 파직시키소서.” 하고 탄핵하니, 결국 현종이 이시만을 파직하였다.(『현종실록』 4년 10월 19일) 1668년(현종 9) 강원도 철원 부사(鐵原府使)로 나갔으나, 그해 7월에 수어사(守禦使)김좌명(金佐明)과 업무 관계로 서로 다투게 되면서 관직을 버리고 집으로 돌아왔다. 이때 수어사김좌명이 이시만에게 죄를 주도록 청하였으므로, 결국 충군(充軍)되었다.(『현종실록』 9년 7월 4일) 그러나 곧 충군(充軍)에서 풀려나 집으로 돌아와, 강교(江郊)의 별장에서 조용히 만년을 보냈다. 1672년(현종 13) 노병으로 서울 집에서 돌아가니, 향년 72세였다.[비문]

성품과 일화

타고난 성품이 후중(厚重)하고 도량이 있었는데, 겉으로는 엄숙하였으나 내면은 화평하였다. 문장에 아주 뛰어나 문명(文名)을 날렸으나, <김자점(金自點)의 옥사>의 영향으로 끝까지 그 실력을 다 펼치지 못하였다.[비문]

1649년(인조 27) 1월, 인조는 의정부(議政府)와 6조(六曹)와 대간(臺諫: 사헌부와 사간원)에 명하여, 각 도(道)의 감사(監司)와 병사(兵使)에 적합한 인물을 3명씩 추천하도록 하였다. 감사로는 이시만(李時萬)이 5회, 신면(申冕) 3회, 김수익(金壽翼) 2회, 민응협(閔應協) 2회, 김익희(金益熙) 2회씩 각각 추천되었고, 병사에는 조필달(趙必達)이 5회, 김경(金鏡) 3회, 김진(金鎭) 2회, 김적(金逷) 2회, 구의준(具義俊) 2회씩 각각 추천되었다. 이때 승지이시만(李時萬)과 길주 목사(吉州牧使)조필달(趙必達)이 가장 많이 추천을 받았으므로, 인조는 즉시 이시만을 전라도 감사(監司)에 임명하였다. 이 사실로 미루어 이시만은 당시 조정의 의정부와 6조와 대간에서 큰 명망을 얻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승지이시만과 대사간신면(申冕: 신익성의 아들)이 모두 김자점(金自點)의 낙당(洛黨)에서 중심인물로 활동하였으므로, 인조 말년에 정권을 잡았던 영의정김자점의 영향이 컸기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은 서인(西人)의 주도로 이루어졌는데, 반정이 성공한 이후에 서인은 반정에 직접 참여한 김류(金瑬)·이귀(李貴)의 공서파(功西派)와 반정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유학자 김상용(金尙容)·김상헌(金尙憲)의 청서파(淸西派)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공서파의 김류와 이귀가 정권을 잡기위하여 또 다시 다툼을 벌였는데, 인조 전반기에는 이귀(李貴)와 그의 심복인 이서(李曙)·신경진(申景禛) 등이 정권을 잡았으나, 인조 후반기에는 김류(金瑬)와 그의 심복인 김자점(金自點)·심기원(沈器遠)·원두표(元斗杓) 등이 정권을 잡았다. 그러므로 김자점의 심복인 이시만·신면이 인조 후반기에 정권의 실세가 되어,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던 것이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직접 참여한 김자점(金自點)은 그 공으로 1등 공신에 책봉되었다. 하지만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도원수(都元帥)로서 토산(兎山) 싸움에서 참패한 죄로 문외출송(門外出送)당하였다. 그러나 영의정김류(金瑬)의 주선으로 그의 손자 김세룡(金世龍)을 효명옹주(孝明翁主 : 인조의 외동딸)와 결혼시키면서 왕실의 외척이 되어, 탄탄한 세력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는데, 효명 옹주는 당시 인조가 가장 총애하던 숙원(淑媛) 조씨(趙氏)가 낳은 외동딸이었다. 1642년(인조 20) 병조 판서로 승진한 김자점은 같은 공서파인 원두표(元斗杓)와 세력 다툼을 벌였는데, 김자점의 낙당(洛黨)이 결국 원두표의 원당(原黨)을 조정에서 모조리 축출하였다. 김자점의 낙당(洛黨)은 청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는 주화파(主和派) 김류(金瑬)·최명길(崔鳴吉)의 주장을 계승하였고, 원두표의 원당(原黨)은 청나라에 반대하는 척화파(斥和派) 김상헌(金尙憲)·정온(鄭蘊)의 주장과 가까웠다. 이때 낙당의 주류를 형성한 사람들이 바로 이지항(李之恒)·이시만(李時萬)·황감(黃㦿) 등이었다. 1644년(인조 22) 좌의정으로 승진한 김자점은 또 다시 경쟁자인 심기원(沈器遠)을 역모 혐의로 제거하였고, 이어 낙흥부원군(洛興府院君)에 봉해졌다.

1645년(인조 23) 소현세자(昭顯世子)가 갑자기 의문의 죽음을 당하자, 숙원(淑媛) 조씨(趙氏)는 세자빈 강씨(姜氏)와 그 세 아들까지 궁중에서 몰아내려고 하였다. 1646년(인조 24) 숙원(淑媛) 조씨(趙氏)와 손을 잡은 김자점은 세자빈 강씨(姜氏)가 인조의 수라에 독약을 넣었다고 무고(誣告)하는 이른바 <강빈(姜嬪) 옥사>를 일으켜, 세자빈 강씨(姜氏)를 죽이고, 소현세자의 세 아들까지 모두 제주도로 유배 시켰다. 당시 김자점은 김류(金瑬)와 손을 잡고 봉림대군(鳳林大君: 효종)을 세자(世子)로 책봉하는데 앞장섰는데, 청서파의 대다수가 소현세자의 맏아들을 세손(世孫)으로 책봉하도록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김자점이 효종이 왕위에 즉위하는데 1등 공신의 역할을 한 셈이었다. 그러나 1649년 5월에 인조가 죽고 효종이 즉위하자, 효종은 <북벌(北伐) 계획>을 세우고 청류 유학자 김집(金集)·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을 등용하였는데, 원두표(元斗杓)·김경록(金慶錄)·송준길(宋浚吉) 등은 영의정김자점을 탄핵하여, 강원도 홍천(洪川)으로 유배시켰다.

이에 반발한 김자점은 효종이 북벌(北伐)을 계획하고 있다고 청나라에 몰래 역관(譯官) 이형장(李馨長)을 파견하여 고발하였는데,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장릉(長陵: 인조 왕릉)의 지문(誌文)에 청나라의 연호(年號)를 쓰지 않고 명나라의 연호를 쓴 것을 그 증거로 제시하였다. 청나라에서는 즉시 사신을 파견하여 이를 조사하였으나, 이경석(李景奭)·원두표(元斗杓) 등이 청나라 사신을 잘 무마시키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 결국 조정에서는 김자점을 다시 전라도 광양(光陽)으로 이배시켰다. 그러나 1651년(효종 2) 진사(進士) 신호(申壕)가 김자점의 아들 김익(金釴)이 수어청(守禦廳)의 군사를 동원하여 원두표·김집·송시열 등을 제거하고, 숭선군(崇善君: 인조의 서출 제 1왕자)을 추대하려고 한다고 고변(告變)하면서, 김자점은 결국 그 아들 김익과 함께 복주(伏誅)당하였다.

1652년(효종 3) 1월, 사헌부에서 “역적의 괴수 김자점(金自點)은 오래도록 조정에서 권세를 잡아 그 위세가 하늘을 찌를 듯하였고, 화복(禍福)과 영욕(榮辱)의 권한이 모두 그의 손아귀에 있었습니다. 당시 무관(武官)이나 음관(蔭官)들이 모두 노비처럼 굽실거리며 그의 집에 드나든 것이야 이야기할 것도 못 되지만, 이지항(李之恒)·이시만(李時萬)·황감(黃㦿) 같은 무리는 모두 명류(名流)인데, 김자점에게 아부하여 아침저녁으로 그 집에 모여서 김자점이 지시하는 대로 따르면서도 부끄러워할 줄을 몰랐습니다. 또 신면(申冕)은 김자점과 한 몸이 되어 은밀히 모함하는 계책을 꾸며서, 하마터면 사류(士類)에 큰 화(禍)를 끼칠 뻔하였습니다. 이지항·이시만·황감을 모두 중도부처(中道付處)하소서.” 하고 이시만을 탄핵하였는데, 효종이 처음에는 따르지 않다가, 사헌부에서 연달아 세 번이나 탄핵하자, 그대로 따랐다. 신면(申冕)은 국문(鞠問)을 받다가 장살(杖殺)되었으나, 그해 4월에 효종이 이시만(李時萬)을 용서해 주면서 곧 석방되었다.(『효종실록』 3년 4월 17일) 당시 김자점의 제자인 이시만이 실제 그 모의에 얼마나 깊이 관여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 일에 깊이 관여한 신면이 국문(鞠問)을 받다가 장살(杖殺)된 반면에, 이시만은 중도부처(中道付處)되었다가, 효종이 관대하게 석방한 것을 보면, 이시만은 깊이 관여하지 않았던 것 같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강원도 철원의 산곡(山谷)에 있는데, 명곡(明谷)최석정(崔錫鼎: 최명길의 손자)이 지은 묘표(墓表)가 남아있다.[비문]

부인 안동권씨(安東權氏)는 참판(參判)권기진(權己盡)의 딸인데, 자녀는 2남 1녀를 낳았다. 장남 이백린(李伯麟)은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持平)을 지냈고, 차남 이중린(李仲麟)은 생원(生員)이며, 딸은 승지(承旨)민주면(閔周冕)에게 시집갔다. 손자 이언기(李彦紀: 이백린의 맏아들)는 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 참찬(參贊)·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냈고, 손자 이언강(李彦綱: 이백린의 둘째아들)도 문과에 급제하여 도승지(都承旨)·예조 판서(禮曹判書)·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다.[비문]

참고문헌

  • 『인조실록(仁祖實錄)』
  • 『효종실록(孝宗實錄)』
  • 『현종실록(顯宗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 『명곡집(明谷集)』
  • 『기언(記言)』
  • 『미수기언(眉叟記言)』
  • 『백호전서(白湖全書)』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응천일록(凝川日錄)』
  • 『해사록(海槎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