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운(高聖云)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9일 (화) 22:42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816년(순조 16) = ?]. 조선 후기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천주교인으로, <을해박해(乙亥迫害)> 순교자. 세례명은 요셉.

정조~순조 시대 활동

‘성일’이라고도 불리운 고성운(高聖云)은 충청도 덕산 별암(현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상장리)에서 태어나 형 고성대(高聖大)와 함께 부모님으로부터 천주교 교리를 배우며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던 가운데, 1801년(순조 1) 어린 순조(純祖)를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천주교를 사학(邪學)으로 규정하고, 천주교에 대한 금압령을 내리면서 천주교도들을 탄압하는 <신유박해(辛酉迫害)>가 시작되었다.(『순조실록(純祖實錄)』 1년 1월 10일) 당시 고성운의 형 고성대가 체포되었다가 배교를 약속하고 풀려났는데, 이후 고성운과 고성대는 함께 경상도 청송 노래산(현 경북 청송군 안덕면 노래 2동) 지역으로 이주하여 천주교 신자들과 함께 모여 사는 교우촌을 형성하며 신앙생활을 지속하였다.

1815년(순조 15) 2월에서 4월 사이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이존수(李存秀)는 경상도와 강원도 지역 교우촌을 급습하여 천주교 신자들을 체포하는 을해박해를 감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고성운도 경주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 이후 심문 과정에서 배교를 거부하자 형 고성대와 함께 대구에 있던 경상도 감영으로 이송되었고, 이곳에서도 수차례의 문초와 형벌이 이어졌다.(『순조실록』 15년 6월 18일),[『일성록』순조 15년 6월 19일]

끝까지 천주교 신앙을 고수한 고성운은 형과 함께 그해 10월 18일 사형선고를 받았지만[『일성록』순조 15년 10월 18일],[『승정원일기』순조 15년 10월 18일] 1년이 지난 1816년(순조 16) 11월 1일 대구 관덕정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사망하였다.(『순조실록』 16년 11월 8일),[『일성록』순조 16년 11월 8일] 이후 그의 시신은 형장 인근에 매장되었다가 1817년(순조 17) 3월 2일(양력) 친척과 교우들에 의해 당시 처형된 신자들의 유해와 함께 거두어져 무덤 4개로 나뉘어 안장되었으나, 그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는다.[『하느님의 종 125위 약전』]

성품과 일화

고성운의 성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고성운은 본래 심성이 착하여 어렸을 때부터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도 지극했다. 천주교 신앙을 가진 후부터는 다른 신자들의 모범이 되는 신앙생활을 하며 순교할 때까지 동정을 지키며 살았다. 을해박해로 체포되었을 당시 경상도관찰사이존수는 “고성대·고성운 형제는 어리석고 무식한 무리로 천주교에 미혹되어 깨달을 줄 모르며, 엄한 형벌을 하거나 깨우치려고 하였지만 끝내 마음을 돌리지 않았습니다. 또 한번 죽기로 한 마음을 목석같이 고집하니 그들의 죄를 도저히 용서할 수 없습니다.”라고 보고하였다고 한다.[『하느님의 종 125위 약전』]

참고문헌

  • 『순조실록(純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한국교회사연구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1, 2006.
  • 한국천주교 주교회의,『하느님의 종 125위 약전』, 2009.
  • http://www.catholi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