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공신(定社功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36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정사공신 |
한글표제 | 정사공신 |
한자표제 | 定社功臣 |
상위어 | 공신(功臣) |
하위어 | 정공신(正功臣), 정훈공신(正勳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
관련어 | 왕자의 난(王子-亂) |
분야 | 정치/인사/녹훈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정종, 태종 |
집필자 | 신명호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정사공신(定社功臣)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종실록』 즉위년 9월 17일 |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정도전 등을 제거한 공로로 정종대와 태종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직후에 태조 이성계의 둘째아들 방과가 세자에 책봉되었다가 9월 5일에 내선(內禪)을 받아 정종이 되었다. 정종이 왕이 된 지 12일 후인 9월 17일에 29명의 정사공신이 책봉되었다. 1등공신은 이방원을 비롯하여 익안대군 이방의·회안대군 이방간 등 12명이었고 2등공신은 이숙번·민무구 등 17명이었다. 그러나 제2차 왕자의 난과 태종대의 외척 숙청으로 11명이 공신에서 삭제되고 18명만 정사공신으로 남게 되었다.
용례
上與我殿下 論第定社功臣(『정종실록』 즉위년 9월 17일)
참고문헌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정두희, 『조선초기 정치지배세력연구』, 일조각, 1983.
- 김윤주, 「조선 초 공신책봉과 개국·정사·좌명공신의 정치적 동향」, 『한국사학보』 35, 2009.
- 박천식, 「조선 개국공신에 대한 고찰-책봉 과정과 대우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1, 1977.
- 한영우, 「조선 개국공신의 출신에 대한 연구」,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을유문화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