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은전(延恩殿)"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2:33 기준 최신판



경복궁에 있던 덕종(德宗)과 인종의 위판을 모신 원묘.

개설

원묘(原廟)는 ‘원(原)’이 ‘이중’, ‘거듭’이라는 뜻으로 이미 정묘(正廟)인 종묘(宗廟)가 있지만 다시 세운 사당을 말한다. 조선초기에는 혼전(魂殿)이 그 역할을 다한 뒤 폐지되지 않고 ‘원묘’로 성격이 바뀐 경우도 있다. 혼전은 산릉에서 장례를 치른 뒤 신주를 모시고 궁궐로 돌아와 종묘에 신주를 부묘(祔廟)할 때까지 신주를 봉안하는 곳이다.

내용 및 특징

연은전은 성종이 생부 의경세자(懿敬世子)를 덕종으로 추숭한 뒤 그의 위판(位版)을 봉안한 원묘이다. 명나라에서 그에게 내린 시호 ‘회간(懷簡)’을 따라서 그를 회간대왕(懷簡大王)이라 일컬었고, 별전(別殿)을 연은전이라 칭하였다(『성종실록』 6년 10월 14일). 경복궁의 옛 세자궁에 연은전을 건립하였다.

1788년(정조 12)에 편찬된 『춘관통고(春官通考)』에는 ‘덕종이 예종과 형제이고, 덕종이 왕위에 즉위한 적이 없어서 문소전에 들어갈 수 없기에 별도로 신무문(神武門) 안에 연은전을 건립하여 향사(享祀)한다.’라고 되어 있다. 그 뒤 1547년(명종 2) 9월 16일 인종의 혼전인 영모전(永慕殿)에서 위판을 받들어 내어 다음 날 9월 17일 연은전에 부(祔)하였다.

변천

연은전이 있었던 경복궁은 이후 임진왜란이 발생하여 왜적이 궁궐을 불태웠을 때 소실되었다.

참고문헌

  • 『춘관통고(春官通考)』
  •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