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생광(帶生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2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대생광 |
한글표제 | 대생광 |
한자표제 | 帶生光 |
관련어 | 개기식(皆旣食), 복광(復光), 식심(食甚), 일식(日食), 일출입(日出入), 월식(月食) |
분야 | 문화/과학/천문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은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대생광(帶生光) |
식심(食甚)과 복원(復圓) 사이에서 일출입(日出入)이 일어나는 일식(日食) 또는 월식(月食).
개설 및 내용
해가 뜨고 질 때 일식 또는 월식이 일어나는 경우, 해가 뜨기 전에 이미 식(食)이 시작되어 해가 뜬 뒤에 식의 중심 시각인 식심에 이르거나, 해가 지기 전에 식이 진행되어 해가 진 뒤에 식심에 이르는 경우를 대식(帶食)이라고 한다. 이에 비해 해가 뜨기 전에 이미 식심에 이르러 해가 뜬 뒤에 복원에 이르거나, 해가 지기 전에 식의 후반이 시작되어 해가 진 뒤에 복원에 이르는 경우를 대생광(帶生光)이라고 한다. 즉 일식 또는 월식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가 뜨거나 질 때, 그 시각이 식심 이후 복원(復圓) 이전인 경우를 말한다.
대생광(帶生光): 식심(食甚) < 일출입분 < 복원(復圓)
(1) 일식의 경우
여기서 생광(生光)은, 개기식(皆旣食)에서 태양의 서쪽 변두리가 빛을 내기 시작하는 순간을 말한다. 일식의 경우, 일출 때의 대생광은 동쪽 지평선 밑에서 이미 식심에 이른 뒤 지평선 위에서 복원에 이르고, 일몰 즉 일입 때의 대생광은 서쪽 지평선 위에서 식심에 이른 후 지평선 밑에서 복원에 이른다.
(2) 월식의 경우
월식은 항상 태양과 반대쪽에서 일어나므로 일출 때의 대생광은 서쪽 지평선 위에서 식심에 이른 뒤에 일출, 바꿔 말하면 월입(月入)이 되고 그 후에 지평선 밑에서 복원에 이른다. 일입 때의 대생광은 동쪽 지평선 아래에서 식심에 이른 뒤 일입, 즉 월출(月出)이 되고 그 후에 지평선 위에서 복원에 이른다.
참고문헌
- 안영숙, 『칠정산외편의 일식과 월식 계산방법 고찰』, 한국학술정보, 2007.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칠정산외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