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보국(電報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00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전보국 |
한글표제 | 전보국 |
한자표제 | 電報局 |
하위어 | 전보분국(電報分局) |
동의어 | 조선전보총국(朝鮮電報總局), 전보총국(電報總局), 남전국(南電局) |
관련어 | 화전국(華電局), 전보사(電報司), 통신원(通信院), 전우총국(電郵總局), 서로전선(西路電線), 세창양행(世昌洋行), 남로전선(南路電線), 전보장정(電報章程), 만국전보연합조약(萬國電報聯合條約), 북로전선(北路電線), 역체국(驛遞局), 전신국(電信局), 통신국(通信局), 통신원(通信院), 전보사(電報司), 거리차등제(距離差等制) |
분야 | 정치/행정/관청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고종 |
집필자 | 은정태 |
폐지 시기 | 1893년(고종 30) 8월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전보국(電報局)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25년 8월 18일 |
고종대 전보 사업을 총괄하던 관서.
개설
전보국은 1887년(고종 24) 조선의 전보 사업을 총괄하기 위해 설치한 중앙 관서이다. 1893년에 전우총국(電郵總局)에 흡수·통합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갑신정변을 계기로 한반도를 둘러싸고 청·일 간의 각축이 진행되는 가운데 1885년 조선과 청나라가 합작하여 설치한 인천-한성-의주 간의 서로전선(西路電線)이 개통되었다. 서로전선은 조선이 청나라화전국(華電局)에 은 10만 냥을 빌려 추진한 사업이다. 청나라는 그 대가로 향후 25년간 육로·해로 전선 가설권과 전선 운영권을 장악하였다. 전신(電信) 시설은 청나라의 기기(機器)와 장비, 그리고 기술에 의해 가설되었고 전보국의 기술 요원도 대부분 중국인이었다. 이때 서로전선을 관리하는 한성전보총국 곧 화전국이 설립되었는데 이것은 청나라전보총국의 한 지국이나 다름없었다. 인천과 의주에는 각각 분국이 설치되었다.
청나라 측 주도의 서로전선 가설에 맞서 일본 정부는 한성-부산 간 남로전선(南路電線)의 설치를 강하게 요구하였다. 조선 정부는 청나라의 동의를 얻는 한편, 남로전선을 직접 가설하고자 준비하였다. 그리고 1887년 3월 이를 전담할 관서로 전보국을 창설하였다. 조선 정부는 자금을 어렵게 모으고, 노동력을 징발하며, 서양 기술자를 고빙하고, 세창양행(世昌洋行)에서 34,150원의 차관을 빌려 전선을 가설하였다.
조직 및 역할
전보국의 원래 명칭은 조선전보총국(朝鮮電報總局)으로 공식 기록에는 일반적으로 전보국으로 표기되어 있다. 흔히 남전국(南電局)이라 불렀다. 조선전보총국은 당시 청나라의 화전국이 관장하고 있던 서로전선을 제외한 한반도의 모든 전신선을 관할하였다.
전보국이 직제상으로 설립되고 그 책임자인 전보국 총판(總辦)이 임명된 것은 1887년 3월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건물이 배정되고 업무가 개시된 것은 남로전선이 완공된 이듬해 6월이었다. 전보국에는 총판과 방판(幫辦)·주사(主事)·위원(委員)·역원(驛員)이 배속되었는데, 전신 업무 수행의 중추적인 구실은 주사와 위원이 담당하였다. 공주, 전주, 대구, 부산 등에는 전보 분국이 설치되었고, 부산의 경우에는 방판이 배치되었다. 한편, 한글 전신 부호와 요금 등이 명시된 독자적인 「전보장정(電報章程)」을 제정하여 초창기 전신 사업의 확고한 기틀을 다지기도 하였다. 당시 전보의 요금은 거리차등제였고,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요금이 달랐다.
전보국은 국제 전보 선로와 연결하기 위해 일본체신성과 조약을 체결하여, 부산에 있는 일본 우편 전신국 지점이 설치되었다. 부산을 경유하는 전보 가운데 구미(歐美)로 보내는 전보는 만국전보연합조약(萬國電報聯合條約)에 준하도록 하였다. 조선, 일본, 청나라 사이에 한문으로 전보하는 경우에는 숫자로 표시하여 매 3자를 한 단어로 하여 국제 전보비를 책정하였다(『고종실록』 25년 8월 18일).
전보국의 운영은 관보(官報)가 대부분으로 민간의 활용이 그리 많지 않아 경영에 어려움이 있기도 하였다. 전보국은 각 지방관을 통해 전신 선로를 보호하였고, 전신 업무를 담당할 요원을 양성하기 위해 외국인을 고용하였다.
변천
서로전선과 남로전선에 이어 1891년에는 한성-원산 간 북로전선(北路電線)이 개통되고 청주지선 등 여러 지선도 개통되어 전보국의 업무가 증가하였다. 그런데 갑신정변으로 중단되었던 우편 사업이 재개되면서 1893년 8월 전보총국은 전우총국(電郵總局)으로 확대·개편되었다. 이후 우편 사업과 전신 사업을 담당할 중앙 관서는 1894년 갑오개혁 때에는 공무아문의 역체국(驛遞局)과 전신국으로, 이듬해 을미개혁 때에는 농상공부 통신국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대한제국 때는 통신원으로 발전해 갔다. 반면 지역의 분국은 1896년부터 전보사(電報司)로 개칭되어 서울을 비롯하여 각지에 배치되었다.
참고문헌
- 전기통신사 편찬위원회, 『한국 전기 통신 100년사(상)』, 체신부, 198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