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원(鐵道院)"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1:59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철도원 |
한글표제 | 철도원 |
한자표제 | 鐵道院 |
상위어 | 철도(鐵道), 궁내부(宮內府) |
관련어 | 서북철도국(西北鐵道局) |
분야 | 정치/행정/관청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대한제국기 |
집필자 | 김종준 |
폐지 시기 | 1905년(광무 9) 2월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철도원(鐵道院) |
대한제국 시기에 철도를 관할하고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기구.
개설
철도원은 1900년(광무 4) 경부철도·경인철도 관할을 위해 설치한 기구이다. 기존 통신사 철도과와 농상공부 철도국의 업무를 인수하였다. 당시 대한제국은 철도 부설 이권을 지키기 위해 애썼는데, 철도원은 이 과정에서 설치된 것이었다. 즉, 경부철도·경인철도 부설권은 결국 일본에 넘어갔지만 이들 철도의 관리를 전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울러 경의철도 부설을 직접 행하기 위해 서북철도국을 별도로 만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철도원과 서북철도국의 설립을 통한 자력 철도 부설 노력은 결국 실패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철도원은 황실 소속 철도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궁내부 소속으로 1900년 4월 설립된 부서이다. 통신사 산하 철도과를 철도원으로 승격시킨 이 시기는 대한제국 정부가 철도 부설 이권을 지키기 위해 애쓰던 때였다. 당시 경의철도 부설권은 박기종(朴琪淙)이 설립한 대한철도회사가 프랑스 회사에게서 넘겨받았다. 그러나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자 내장원 경이용익(李容翊)은 1900년 9월 서북철도국을 설치하여 자력 철도 부설 노력에 박차를 가하였다.
조직 및 역할
1900년 4월 6일 궁내부 관제 개정에 따르면 궁내부 소속 중 통신사 아래 철도과는 폐지하고, 철도원이 설치되었다. 통신사 철도과와 별도로 존재하던 농상공부 소관 철도국의 업무도 철도원으로 통합되었다. 소속 직원은 칙임관인 총재 1인, 감독 2인, 주임관인 기사 3인, 판임관인 주사 3인, 기수 2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01년 5월 1일에 다시 감독 3인, 기사 6인, 주사 6인, 기수 4인으로 직원이 늘어났고, 기사 중 3인은 철도과장, 문서과장, 회계과장을 겸임하게 하였다. 1902년 8월, 9월에는 철도원 철도과를 서무과로 개정하고, 기사 6인은 4인으로, 주사 6인은 7인으로 조정하며, 부총재를 더 두었다. 철도원의 경우 이미 부설권이 외국으로 넘어간 경부철도·경인철도의 관할이 주된 임무였다. 반면 서북철도국은 정부가 직접 건설하고자 만든 기구였다.
변천
대한제국 정부는 철도원과 서북철도국 설립을 통해 자력 철도 부설을 위해 노력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1904년 2월 러일전쟁 발발 즈음 일본은 경의철도를 군용 철도로 직접 건설하기로 결정하였다. 자주적 철도 건설 운동의 실패는 일본의 압박 때문이기도 했지만, 내부적으로는 민간이나 정부 모두 철도 건설을 위해 필요한 자본을 폭넓게 동원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서북철도국은 1904년 8월 9일 폐지되었고, 그 업무는 철도원으로 넘어갔다. 1905년 2월 28일에는 철도원 역시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한말근대법령자료집(韓末近代法令資料集)』
-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1892~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철도청, 『한국철도 100년사』, 철도청, 1999.
- 오연숙, 「대한제국기 고위관료층 연구: 의정부와 궁내부의 칙임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