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채(刺揄寨, 刺楡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1:59 기준 최신판



명대 압록강에서 요동도사에 이르는 통로에 위치한 지역.

개설

자유채는 요동도사(遼東都司)의 동남쪽에서 압록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다. 조선은 의주에서 강을 건너 연산관(連山關)으로 가는 사행로를 이용하였으나 길도 험하고, 건주여진(建州女眞) 등의 약탈 위협 등으로 자체 무장한 군사를 대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조선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종대부터 성종대까지 자유채를 경유하는 길을 이용하고자 몇 차례에 걸쳐 명에 요청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변천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명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그 길은 의주에서 요동도사로 가기 위한 동팔참(東八站)이었다. 특히, 연산관은 압록강에서 180여 리(약 71㎞) 떨어진 곳으로, 명으로 들어가는 책문이 설치된 곳이었다. 이처럼 압록강에서 연산관까지 이르는 길은 명의 영토에 포함되지 않는 변경지대였다. 그러므로 명에 입경하는 조선의 사신들은 압록강을 건너 연산까지 조선 자체의 호위 병력을 대동하였다. 특히, 1436년경(세종 18)에 이르면 연산관 남쪽에 자유채를 경유하는 길이 인민도 흩어져 살고, 산과 물의 험준함도 없어서 이용하기 편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세종실록』 18년 12월 8일).

또한 1437년에 조선은 건주여진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추장인 이만주(李滿住)를 놓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오히려 이만주는 조선에 보복할 마음을 품고, 조선의 변경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동팔참로는 이만주의 건주여진과 가까워서 자유채를 통하는 새로운 길을 열자는 의견이 다시 대두되었다(『세종실록』 19년 12월 25일).

이듬해 세종은 이 의견을 채택하여 명에 자문을 보내 자유채로를 이용하도록 허가해 달라고 요청하였다(『세종실록』 20년 1월 21일). 그러나 명은 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요동도사에서 관원을 보내 답사하였으나 아무 소득이 없었다며 일단 유보하겠다고 대답하였다(『세종실록』 20년 5월 13일).

이후 한동안 이와 관련된 내용이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조선은 자유채가 아닌 이전에 사용하던 도로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1449년에 명 정통제(正統帝)가 오이라트의 에센[也先]에게 포로가 된 ‘토목보(土木堡)의 변’으로 요동 지역의 정세가 긴박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은 보다 안정적으로 명에 사행하기 위하여 1450년(문종 1) 8월에 또다시 자유채를 이용하고 싶다는 의사를 피력하였다(『문종실록』 1년 8월 19일). 세조대에도 명에 자유채의 길을 이용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하였으나 실패하였다(『세조실록』 6년 8월 26일).

1479년(성종 10)에 명과 조선은 연합하여 건주여진을 공격하였다. 이때 조선은 명으로 파견하는 사신단이 건주여진으로부터 습격을 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명에 다시 자유채의 길을 이용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하였다(『성종실록』 10년 윤10월 7일). 이후에도 성종은 끊임없이 자유채의 길을 이용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나 실패하였다(『성종실록』 16년 11월 1일).

최종적으로 명은 요동팔참의 봉황성을 중심으로 성보(城堡)를 쌓아 군대를 주둔시켜 조선의 사신을 보호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된 내용은 더 이상 『조선왕조실록』에 보이지 않는다.

한편, 현재 자유채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다만 “요동에서 남쪽으로 가까운 자유채”라는 표현을 통하여 요동도사의 남쪽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문종실록』 1년 8월 19일). 『요동지』와 『전요지』에 자유채는 “요양 동남쪽 170리”라고 보인다. 또한 『명실록』 등의 기록을 보면 요양 동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유채가 역로상에 위치하거나 그 부근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 『명실록(明實錄)』
  • 『명사(明史)』
  • 『요동지(遼東志)』
  • 『전요지(全遼志)』
  • 『이문(吏文)』
  • 『무안동이기(撫安東夷記)』
  • 구범진 역주, 『이문역주』(중), 세창출판사, 2012.
  • 남의현, 『明代遼東支配政策硏究』,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8.
  • 남의현, 「고지도를 통해서 본 15~17세기의 변경지대: 압록강, 두만강 변을 중심으로」, 『만주연구』 14, 201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