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부(三陟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1:48 기준 최신판



고려시대 삼척 지방을 관장하여 다스리던 관아. 조선시대 삼척 지방을 관장하던 관청 및 행정기구.

개설

고려시대 지방관제에 따라 995년(고려 성종 14) 10도제에서 삭방도(朔方道) 소속의 척주단련사(陟州團練使)로 편제되었다. 이후 수차례 관제의 개편에 따라 이름이 바뀌면서 존속하였다. 1393년(태조 2) 목조의 외가 고을이라는 이유로 삼척부(三陟府)로 승격되었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방관제 개편에 따라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로 개편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강원도의 군현으로서 이 지방을 통치하는 관아이면서 행정기구로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신라 505년(신라 지증왕 6) 삼척에 실직군주(悉直軍主)가 파견되었고, 경덕왕 때 삼척군(三陟郡)으로 편제되었다가 고려로 계승되었다.

고려시대 삼척은 이전 시대의 공동체적 습속을 유지하였으며, 995년(고려 성종 14)에 척주단련사로 편제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현령(縣令)으로 강등되었고, 신라 이래로 속현이었던 우계현(牛溪縣)이 강릉부로 이속되었다. 이후 도제의 개편에 따라 5도양계 체제에서 동계(東界)에 귀속되어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의 통제를 받았고, 1178년(고려 명종 8)에 연해명주도(沿海溟州道) 소속으로 개편되었다. 1263년(고려 원종 4)에 강릉도(江陵道)에 귀속되었으며, 1373년(고려 공민왕 22)에 안집중랑장(安集中郞將)을 두었다. 1378년(고려 우왕 4)에 교주강릉도(交州江陵道)의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으며, 1387년(고려 우왕 13)에 삼척포만호(三陟浦萬戶)를 겸하였다.

조선 1393년(태조 2)에 목조의 외가 고을이라는 이유로 삼척부로 승격되었다. 1397년(태조 6)에 각 도에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를 두고 각 진에 첨절제(僉節制使)를 두는 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삼척진첨절제사(三陟鎭僉節制使)가 설치되었고 삼척부사가 겸임하였다(『태조실록』 6년 5월 21일). 1412년(태종 12)에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로 고쳐서 겸임하였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방관제 개편에 따라 삼척도호부로 개편되었다. 1421년(세종 3)에 삼척진병마사(三陟鎭兵馬使)로 고쳐서 삼척부사가 겸임하였고, 1422년(세종 4)에 병마수군첨절제사(兵馬水軍僉節制使)로 고쳐 삼척부사가 겸임하였고, 이로부터 삼척진은 강릉진관병마동첨절제사(江陵鎭管兵馬同僉節制使)에서 분리되었다. 1466년(세조 12)에 삼척부사가 겸직하던 삼척진병마수군첨절제사를 분리시켜 별도로 진장(鎭將)을 두었다. 『경국대전』에서 삼척진병마수군첨절제사는 진장으로서 강릉의 안인포, 고성의 고성포, 울진의 울진포, 평해의 월성포 등 4개의 만호영(萬戶營)을 거느렸다. 1490년(성종 21) 안인포의 만호영을 양양의 대포(大浦)로 이전하였다. 1672년(현종 13)에 영장(營將)을 두고 삼척포첨절제사가 겸직하면서 영동지방 9개 군현의 병권을 관장하였다. 1673년(현종 14)에 삼척영장이 토포사(討捕使)를 겸직하면서 영동 9개 군과 울릉도의 치안을 담당하였다(『현종실록』 14년 12월 27일).

조직 및 역할

조선초기에 부사(府使)와 교수 각 1인을 배치하였다. 부사는 문음(文蔭)으로 종3품관을 배치하였다. 향청(鄕廳)에는 좌수(座首) 1인과 별감(別監) 3인을 두었다. 조선후기에 6방(六房) 관속으로 창감관(倉監官) 2인, 군관으로 행수군관(行首軍官) 1인, 병방군관(兵房軍官) 2인, 장무군관(掌務軍官) 1인, 번군관(番軍官) 15인, 아전(衙前) 30인, 지인(知印) 20인을 두었다. 그리고 사령(使令) 11명, 관노(官奴) 20명, 관비(官婢) 15명을 두었다. 6방 관속은 읍치(邑治)에 세워진 각종 관아에 배속되어 업무를 분장하였다.

변천

1895년(고종 32)에 갑오개혁으로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시행하면서 삼척도호부는 삼척군으로 개편되어 강릉부 관할로 편제되었다. 1896년(고종 33)에 23부제를 폐지하고 13도제를 시행하면서 강원도 관할로 편제되었고, 삼척포진과 평릉도찰방(平陵道察訪)은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강원도, 『강원도사』11, 강원도사 편찬위원회, 2015.
  • 강원도·삼척시, 『삼척의 역사와 문화유적』, 관동대학교박물관, 1995.
  • 삼척군, 『삼척군지』, 삼척군지 편찬위원회,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