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남성(天南星)"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1:11 기준 최신판



둥근잎천남성(Arisaema amurense), 천남성(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또는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의 덩이뿌리에서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 것.

개설

천남성(天南星)은 중국 남방에서 생산되며 형태는 둥글고 빛은 마치 남방에 나타나는 노인성(老人星)과 비슷하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고 가래를 삭이며[燥濕化痰], 풍증을 없애 주고 경련을 그치게 하며[祛風止痙], 뭉친 것을 풀어 주고 종기를 제거하는[散結消腫]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황해도, 충청도, 평안도, 함길도,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2월과 8월에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불에 구워서 사용한다고 하였다.

중풍을 치료하고 담(痰)으로 마비가 온 것을 낫게 한다. 기를 내리고 단단한 덩어리를 없애 주며 여러 가지 종기를 빨리 아물게 한다. 흉격을 잘 통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 주지만, 임산부에게 잘못 사용하면 유산의 위험도 있다. 쇠붙이에 다친 데, 상해서 뼈가 부러진 데, 멍든 데에 뿌리를 짓찧어 붙인다. 뱀이나 독벌레에게 물린 것, 옴, 오래되어 낫지 않는 상처 등을 치료한다. 약에 넣을 때에는 젖은 종이에 싸서 불에 구운 다음 사용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건강, 생강과 같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하였다. 독성이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강병수 외, 『(원색)한약도감: 임상을 위한 한약활용의 필독지서』, 동아문화사, 2008.
  • 신전휘·신용욱, 『향약집성방의 향약본초』,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